• Title/Summary/Keyword: 지식경제 기술혁신사업

Search Result 6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국내 과학기술 연구개발 현황 및 전망

  • 조경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echnology of Plastici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7-17
    • /
    • 2003
  • 1960년대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시작과 함께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발전을 위한 투자가 본격화되었고, 과학기술 혁신이 정부정책의 가장 중요한 시책으로 부각되었다. 지난 40 여 년간 우리나라 과학기술은 선진기술의 모방에서 출발하여 효율적으로 단계별 성장을 거치면서 2000 년대에는 세계수준의 지식 및 기술을 창출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본 발표에서는 한국과학기술의 현주소와 향후 전망을 분석하여 국내 연구개발의 방향을 조명해 보고자 한다. 1982년 특정연구개발사업을 시작으로 국가적 차원에서 목표설정 및 연구개발 자원을 전략적으로 집결하여 다양한 국가 연구개발 사업들이 수행되어 왔다. 그 후 20여년이 지난 현재 20개 부처에서 200 여개의 국가 연구개발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개발사업의 성과로서 DRAM, TFT-LCD, CDMA 등 첨단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국제경쟁력을 갖춘 기술들이 다수 확보되었다. 주력 산업인 IT산업, 자동차, 철강, 조선, 섬유 등도 기술혁신에 의한 국제 경쟁력 강화로 수출이 확대되면서 우리 경제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 10년간 연구개발 투자규모는 3배 이상 증가하여 2000년 기준으로 세계 8위의 투자규모를 달성하였으며, 민간의 연구개발 투자 비중도 크게 늘어나 민간주도형 연구개발체제로 전환되게 되었다. 2001년에 이르러서는 총연구비 투자규모가 15조 이상으로서 이는 전체 GDP의 ∼3% 에 해당되는 수치이며 선진국 수준에 육박하고 있음을 짐작 할 수 있다. 지식기반사회를 선도하여 국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정부는 연구개발 투자를 계속 확대할 정책을 시도하고 있으며 창의적 과학기술인력의 양성 체제 구축 및 효율적인 활용에도 적극 투자하고 있다. 과학기술부는 과학기술혁신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20,000여개이상의 과제를 수행하여 국가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하여왔다. 정부는 국내외 과학기술 환경변화가 심한 21세기를 맞이하여 새로운 기회와 도약을 위하여 과학기술 중심국가 건설이라는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게 되었다. vision 2025를 통해 2025년까지 21세기 첫 4반세기 동안 과학기술 경쟁력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려 과학기술에 기반을 둔 선진국 진입을 실현하고자 다양한 정책적 대응을 물색하고 있다. 세계 시장규모, 전략적 중요성 등을 토대로 한 10대 산업을 육성하기 위하여 과학기술부는 기술수요조사를 바탕으로 49개 주요기술을 도출하여, 과학기술 일류 국가 실현, 국민소득 2만불 달성이라는 국가적 슬로건을 내걸고 “차세대 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범정부차원의 기획과 연구비의 집중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on Cooperative Activities of Multidisciplinary Research i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국가 출연연구소의 협업적 융합연구 성과 분석)

  • Cho, Yong-rae;Woo, Chung-won;Choi, Jong-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653-685
    • /
    • 2017
  • '기술융합'은 기존기술 간 결합 또는 전혀 새로운 기술개발을 통한 신산업 창출과 사회적 난제 해결을 가능하게 하는 혁신의 최근 트렌드이다. 과학기술을 통한 한국 경제성장 전략의 첨병이었던 국가 출연(연)구소에 대해서도 융합연구 조직으로의 역할 변화를 둘러싼 정책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출연(연) 융합연구의 성공 핵심요소를 '협력'으로 보고 다음의 연구 목적을 설정하였다. 첫째, 기술개발 목적과 문제해결 과정 관점에서 융합연구 개념과 범위를 정의하고, 그 특성을 반영하는 분석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둘째, 융합연구에서의 협력활동과 그 성과를 유형화하고 새로운 분석지표를 제안한다. 셋째, 융합연구에서의 협력활동 특성과 그 정도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 및 NST 융합연구사업을 통한 융합연구 과제 수행 경험이 있는 각 출연(연) 104명의 연구책임자들에게 협력의 방식 및 정성적 성과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이후,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협력활동 특성과 성과 간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식 창출활동에서는 협력 파트너 다변화가 중요한 변수였다. 둘째, 유사분야 연구자들 간 집체형 협력활동은 특허 기술이전과 같이 목적이 명확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자들에게 독립성과 자율성을 부여하고, 지식 노하우 등 기술역량의 상호공유가 이루어질수록 창출지식의 다양성 및 관계의 지속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융합연구를 위한 협력과 성과 분석방법의 정책방향을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the method of Patent Audit using patent index analysis - Focused on the PRI(Public Research Institute) - (특허지표 분석을 통한 특허실사 방법론 고찰)

  • Park Jung-Kyu;Heo Eun-N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05.10a
    • /
    • pp.637-646
    • /
    • 2005
  • 우리나라 정부는 공공연구기관에서 개발된 기술을 민간부문에서 사용을 극대화하여 기업 및 국가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기술이전과 기술평가 및 기술정보유통 등의 기반을 확충하여 산업전반의 기술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기술이전촉진법 제정(2000. 1. 28). 이와 같은 변화는 국가경쟁력의 무게중심이 산업기반경제에서 지식기반경제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것이며, 미국을 비롯한 선진 국가들의 움직임은 우리나라보다 10년 이상 앞선 상태이다. 지식기반경제에서는 특허의 전략적 활용이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으며 각 연구기관 및 기업은 특허의 포트폴리오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특허의 사업화 가능성을 판단하여 우수 특허군을 분류하거나 특허의 등록유지에 관한 결정을 내릴 때 현재 특허실사 맵, Risk-Return chart, 전문가 심의 방법을 범용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세 가지 방법은 평가자 개인의 주관적 입장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본 고에서는 기존의 특허실사 방법론의 맹점인 평가의 주관성을 배제하기 위하여 객관적이고 표준화된 정보인 특허를 사용하여 고안된 두 가지 특허지수(CPP, TCT)를 사용하여 객관적인 특허실사 방법을 제안하고 실증분석을 통하여 사용 가능성을 고찰해 보았다.

  • PDF

A Planning Study on the Fusion Technology Project in National R&D Program(II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융합기술과제 기획연구(Ⅱ))

  • Kim, Hyun-Cheol;Son, Chung-Geun;Na, Kyoung-Hoan
    • Proceedings of the KSME Conference
    • /
    • 2007.05a
    • /
    • pp.490-495
    • /
    • 2007
  • 지식기반경제시대는 과학기술 혁신과 창조적 능력이 국가성장을 좌우함. 세계적으로 이종기술간의 융합을 통한 신시장 창출이라는 뉴 패러다임이 등장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현재 처한 넛크랙트 위기를 돌파할 수 있는 창조형 연구 전략의 수립이 절실함. 원천융합기술은 기술의 성격상 와해적이며 블루오션 신시장 창출가능이 높으며, 따라서, 향후 미래 신산업 및 신시장 창출을 위해서는 기초원천 및 미래태동 기술에 부합하는 사업발굴이 필요한 상황임. 이에 본 기획연구에서는 미래유망 파이오니어사업의 개념, 주요특징, 파이오니어사업에서 추구하는 원천융합기술의 제반 환경, 사업성 분석 및 과학기술적 기대성과와 경제사회적 파급효과 등을 조사/분석하고자함

  • PDF

정보통신 아파트와 홈네트워크

  • 류명주;김재동;서태석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8 no.2
    • /
    • pp.3-11
    • /
    • 2004
  • 세계는 인터넷과 정보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경제 (Digital Economy)의 급속한 진전으로 지식$.$정보의 창출과 유통이 사회발전을 견인하는 지식기반사회 (Knowledge based Society)로 전환되고 있으며 기술혁신이 국가경제를 리드하여 과거 설비투자나 원가절감으로 경쟁우위를 확보하던 시대에서 벗어나, 신기술 확보, 인적 및 지적 자본 등이 국가 및 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기술$.$지식 경쟁시대에 진입하고 있다. 이러한 21C 신지식경제시대를 주도하기 위해 해외 선진 각국에서는 자국의 산업육성 및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지능형 홈네트워크에 대한 기술개발 및 표준화와 시범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Readjustment of the Nigerian National Innovation System through Korean Case Analysis (한국 사례분석을 통한 나이지리아 국가 혁신 시스템 개선 방안 고찰)

  • Temitayo, Shenkoya;Kim, Euiseok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21 no.4
    • /
    • pp.1237-1267
    • /
    • 2018
  • After independence in 1945, the South Korean economy rose steadily from a developing country to a developed country while, after independence in 1960, Nigeria is still a developing country with poverty on the increase, despite its large amount of natural resources. This research seeks to find a viable solution to this issue while studying the relationship that exist amongst Economic Development Plans (EDPs), National Innovation System (NIS) and economic development in Korea. The methodology used herein is a mixture of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a semi-structured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EDPs are essential to the enhancement of communication, and the flow of knowledge and innovation of the NIS. Furthermore, our result shows that the efficiency of the NIS is relevant to drive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Therefore, based on our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in Nigeria and the development trajectory of Korea, we developed, introduced and recommended a theoretical framework called the "Multiple skipping" development trajectory as a model for development in Nigeria.

An Empiric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lobal Investment Corporation (글로벌 투자기업의 특성에 관한 실증연구)

  • Lee, Eung-Kweon
    • Journal of Arbitration Studies
    • /
    • v.21 no.2
    • /
    • pp.157-183
    • /
    • 2011
  • 본 연구는 한국의 다국적 기업이 세계 여러 지역(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아메리카)에서 글로벌 경제 활동과 사업을 범세계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범세계적인 글로벌 사업수행에서 지역별 경제변화가 지역적으로 다양하면서, 복잡하게 전개되는 것에 대해서 글로벌기업이 지역별 특성에 적합하게 사업을 영위하면서 글로벌하게 현지시장 접근 방법을 어떠한 기준으로 우선 접근하는지에 대한 방법을 통계처리를 하였으며 향후 어떠한 방법을 수용하여 전략적 방법과 모델을 개발하여 자연스럽게 글로벌화 추이를 알아보고자 연구과제들을 실증 분석 하였음. 그리고 글로벌화 하는 TNC's 기업의 지식과 정보의 습득이 중요하며, 변화와 혁신을 통해서 자신의 분야에서는 세계적 선도 기업이 되고자 하는 TNC's 기업이라면 선진국 TNCs 기업보다는 더 적극적인 전략과 사업 모델을 모색해야 한다는 전제하에 실증모형을 설정하고 연구과제들을 정리하였음. 1. TNC's에 의하여 세계경제 활동에 중요한 변수들을 여러 가지 측면에서 검토하고 지리적요인과 경제적 요소들을 고려하여 기술과 자원의 아웃소싱의 글로벌화 방법을 고려하여 세계경제체제의 변화와 향상에 많은 투자내용들이 지리적인 여건과 글로벌화를 고려하여 투자가 진행되어지는가의 추이를 분석하였음. 2. TNC's의 역량에 따라 사업경영에서 현지국가의 경영관리와 산업의 변화에 까지 영향을 주었고 향후에도 글로벌화 경제의 발달과 향상에 협력하는 기업, 자국의 경제 발달과 향상에 협력하는 기업에까지 긍정적인 협조가 이루어지는 투자형태의 글로벌화 지수의 내용을 실증분석 하였음.

  • PDF

A Study on the Direction of Reform in Licensing Policy of Government R&D Outputs to Promote Academic Technology Transfer (대학의 기술이전 촉진을 위한 국가 연구개발사업의 기술료제도 개선방안)

  • Song, Choong-Han;Kim, Hae-Do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1 no.1
    • /
    • pp.1-22
    • /
    • 2008
  • The Korean government has tried to increase the total national R&D investment and, to streamline acts and regulations concerning national R&D activities. Korea's total R&D expenditure in the field of S&T for the year 2006 amounted to about 27.3 trillion won including government R&D of 8.9trillion won. The Korean government enacted several pieces of legislation concerning S&T: the "Technology Transfer Promotion Act (1999)" ; the "Framework Act on Science and Technology (2000)", and the "Presidential Regulation for Managing the Government R&D Programs (2001)." With these efforts the capacity of Korea S&T has made great strides recently. But for years Korea has run a severe deficit of technology trade. The Korea's balance ratio of technology trade is 0.36 (export/import). It means that Korean industry excessively depends on foreign resource in introducing new technologies. The Korean government has put a lot of effort into promoting the commercialization of technologies developed in universities. The public technology transfer policy of the government has improved the infrastructure of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However, the government has realized that these policies have not been as effective as they were anticipated. In spite of these various efforts, the technologies obtained from the government R&D Programs have not been transferred to the Korean industry properly. Only 13.6% of technologies developed in universities for the year 2005 were transferred to industry. The academic royalty revenues for the year was 0.15% of their total R&D expenditure It shows only a twentieth of the percentage of royalty revenues for the American universities. The reasons of poor commercialization of academic technologies are intermingled with imperfection of technology transfer system, lack of licensing experience, immaturity of socio-economic circumstance and inadequacy of legal system and government policy.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roblems of legal system and policy in licensing of government R&D outputs and suggested proper alternatives.

  • PDF

The Effect of Team Characteristics of Technology-based Startup Programs on Patent Performance: Focusing on Team Diversity (기술기반 창업 프로그램의 팀 특성이 특허 성과에 미치는 효과 분석: 팀 다양성을 중심으로)

  • Lee, Jai Ho;Sohn, Youngwoo;Han, Jung Wha;Lee, Sang-Myung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 /
    • v.25 no.1
    • /
    • pp.21-41
    • /
    • 2024
  • The global Industry has been shaped by start-ups that originated with knowledge-based innovative strategies or technologies in the 21st century. Specifically, laboratory start-ups that rely on research papers or patents for new technology development are recognized for their high survival rate and the creation of employment opportunities. Our study concentrated on 'I-Corps', which also introduced in Korea, standing for innovation corps is a laboratory startup program launched in 2011 by the NSF(National Research Foundation) to commercialize R&D results and foster entrepreneurship as part of the policy to build a start-up system at the national innovation level. In this study, we proposed and empirically tested a research model focusing on teams participating in the I-Corps program to determine how startup team diversity, among the team characteristics of laboratory startups, affected patent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mong the proposed variables, age diversity, educational background diversity, and value diversi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atent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further strengthe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foundations of researchers or practitioners of the I-Corps program, as well as related areas involving technology & laboratory startups, intellectual property and knowledge management fields in the future.

The Patterns and Direction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Windpower Industry (풍력산업 기술혁신 패턴과 전개방향)

  • Lee, Jonghoon;Kang, Youngsu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177.2-177.2
    • /
    • 2010
  • 전세계 풍력발전 시장은 2009년말 160GW로 지난 5년간 연평균 36.1%로 성장하였으며, 2012년 310GW, 2020년에는 1,900GW에 이를 전망이다. 특히, 풍력산업은 조선, 중공업 등 우리나라가 강세에 있는 산업과 연관성이 높아 관련분야 대기업을 중심으로 시장진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지식경제부에서 지원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기술개발사업 R&D지원실적을 토대로 풍력산업 및 기술혁신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풍력산업 발전을 위한 기술혁신 지원전략을 연구하였다. 분석결과, 풍력시장이 급성장함에 따라 대기업을 중심으로 급진적 혁신 행태을 보였으며, 기술도입 및 선진기술의 모방이라는 전형적인 초기산업화 패턴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기업전략은 기술혁신체제 관점에서 기술학습을 통한 기술축적이 부족하고, 부품소재 중심으로 공급사슬을 구성하는 중소 중견기업군이 취약하여 원가절감 등 시장 경쟁력에 장애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첫째, 시스템 기업은 중소 중견기업을 중심으로 부품국산화 노력을 통한 경쟁력 있는 공급사슬 구현이 시급하다. 둘째, 정부는 부품소재 중심의 원천연구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여야 하며 셋째, 경쟁력 있는 국가의 기술혁신체계 구현을 위해 정부 출연연구소 및 대학을 중심으로 기술축적을 위한 방안이 시급하다. 마지막으로 초기 풍력산업의 주요 수요자가 정부 및 공공기관인점을 감안할 때, 풍력시스템의 국산화 비율을 구매 조건의 핵심 평가요인으로 채택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