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속가능 개발목표

Search Result 28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Development of Evaluation Model for achieving the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 in KEC2005 (한국공학교육인증의 '프로그램 교육목표' 달성을 위한 평가 모형 개발)

  • Kim, Myoung-Lang;Yoon, Woo-Young;Kim, Bok-Ki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11 no.2
    • /
    • pp.42-49
    • /
    • 2008
  • Though the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 is the first and important criterion in ABEEK's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exact meaning and implementation methods have not been understood well. It was often confused with 'Program Outcomes' and its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methods do not reflected well on the concepts of "outcomes based and demand driven education". A new implementation model for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 has been developed using step by step application. The model explains the meaning of every step (phase), and key constituents in each phase. The specialization and CQI of the program could be satisfied by applying the model properly.

A Study on Effects of a MAKEathon Programme Focusing on Problem-Solving for Sustainable Development (지속가능발전 문제해결 중심 메이커톤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Lee, Hana;Park, Curie;Lee, Yoon-Jung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35 no.4
    • /
    • pp.117-133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evaluate a MAKEathon programme designed to address climate change and dietary concerns, and to enhance competencies related to entrepreneurship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he programme was developed as a voluntary-based extracurriculum for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survey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focusing on the measures of the three competencies i.e. sustainable development competencies, creativity, and entrepreneurship, as well as the programme satisfaction and demographic background. Paired t-tests of pre-/post-tests were conducted on the responses of 29 participants and the results indicate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three competencies and high programme satisfaction.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value of incorporating extracurricular programmes related to sustainability in home economics education, suggesting potential for broader application in topics like clothing, food, and housing. Such programmes are poised to enhance educational effectiveness in teaching problem-solving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tudy on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capacity building toward the livelihood assets of ethnic minority Villages in the northern part of Vietnam (역량강화사업이 베트남 북부 소수부족민 마을의 생계자산에 끼친 긍정적 영향에 관한 연구)

  • Kim, Sun Ho;Nguyen, Thi Minh Hie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
    • v.23 no.4
    • /
    • pp.1-13
    • /
    • 2017
  • 베트남 북부 산악지형에 거주하는 소수 부족민들의 생계개선이 베트남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 사업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특히 지속가능한 개발 및 인적자원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는 베트남 경제사회개발정책(2011~2020)의 하위전략인 신농촌 개발정책(New Rural Development)에 의한 사업들이 적절히 수행되고 있는지 의문이 대두되었다. 한편, 베트남 라오까이성 행복프로그램은 한국 코이카 재원으로 새마을운동 경험과 정신을 바탕으로 설계되었으며 심각한 빈곤상태에 있는 성내 8개 소수부족민 마을에 마을특성과 주민 의견이 반영된 개발계획을 수립하고 계획실행의 주체인 마을주민들과 현장 공무원에게 다양한 훈련 사업들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생계개선에 대한 이론 고찰과 함께 한국 및 베트남의 농촌개발 경험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다양한 역량강화 사업들이 8개 소수부족 주민들의 의식변화와 생계자산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결과는 프로그램에서 제공한 다양한 역량강화 훈련들이 주민의식의 긍정적인 변화와 소수 부족민들의 생계자산에 대하여 상당한 만족도를 가져왔는바, 신농촌 개발정책은 직접자재 위주의 지원을 줄이는 대신 주민들의 자신감 고취를 위한 주민의식 교육과 주민들의 생계활동 능력향상을 위한 다양한 훈련 사업을 확대해야 함을 보여준다.

Strategies for a Phase 2 Road Map of Global Problem Solving Center 2030 (2030 글로벌문제해결거점 2단계 사업 추진전략 로드맵)

  • Maeng, Min-Soo;Ahn, Sung-Hoon;Moon, Ji-Hyun;Dockko, Seok
    • 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 /
    • v.7 no.1
    • /
    • pp.115-124
    • /
    • 2021
  • Due to the successful accomplishments of the first-stage base center project, a road-map for the second-stage, global base center 2030 project has recently been proposed. The vision of the base center is to build a technology centered, cooperation based platform for a sustainable global community. The global base center 2030 project is based on three core strategies as well as three key strategies. The main goal of the core strategy is to establish an interdisciplinary smart platform, as well as a global tech-coordination facility to implement sustainable, inclusive, and innovative science and technology based ODA projects. To achieve such goals, the global center will focus on developing a global living lab, interdisciplinary smart linkage systems, and a global operating platform. The main goals for the key strategies are to solve issues at the base centers while establishing an international relationship through sustainable technology. To achieve such goals, key projects are centered in establishing a ICT package, and a global living lab based on smart interconnected system. With this, a global inter-connected business platform will also be established to support technical and operational issues.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nsistency between Domestic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Development Cooperation in the Area of Climate Change (지속가능발전목표의 국내이행과 개발협력 간 일관성에 관한 국별 비교와 시사점 - 기후변화 분야 -)

  • Lim, Soyoung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22 no.4
    • /
    • pp.209-227
    • /
    • 2018
  • The issue of climate change, which calls for urgent and improved action by countries around the world, requires cooperation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refore, consistency among various policies on climate change is particularly important.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lementation of SDGs and the scale of assistance in the field of climate change in order to see if there is consistency between domestic policy and aid policy to address climate change issues.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dices related to the domestic implementation of SDGs and ODA amounts in the field of climate change by OECD countries was conducted. As a result, there i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imported CO2 emissions and the portion of climate change ODA. On the other hand, the amount of CO2 emissions embodied in fossil fuel export i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ortion of ODA for climate change. Consistency between domestic and aid policies of OECD countries in the field of climate change is not sufficiently ensured, and climate change, the cross-cutting issue, is not being pursued in a consistent direction across national policy.

A Study of Determinants of the Sustainability of the Social Innovative Enterprise: Case Research on Fragrant People Co. (사회혁신기업의 지속가능성 결정요인 연구: (주)향기내는사람들 사례분석)

  • Yang, Oh-Suk
    • Journal of International Area Studies (JIAS)
    • /
    • v.19 no.1
    • /
    • pp.157-204
    • /
    • 2015
  • This paper explores firm-specific internal and external determinants of the sustainability of "the social innovative enterprise(SIE)" by conducting a case research on Fragrant People Co. In doing so, some business and policy implications have been produced concerning the components and determinants of the sustainability of the SIE. First, entrepreneurship is a necessary factor for the survival and growth of the SIE. A social entrepreneur does manage effectively social and economic opportunities for making economic and social values interact dynamically beyond their trade-off relationship and creating new market chances. Second, the SIE also needs competitive advantages as commercial enterprises do. Valuable resources to be used for taking opportunities and avoiding threats, rare resources not to be possessed by other firms, and resources not to be easily imitated by competitors are extremely necessary for achieving objectives of the SIE. In addition, a firm must be well organized for those valuable, rare, and not easily imitated resources. Economic performance achieved by the SIE gives a birth to its financial independence, contributing to the realization of symmetric social performance. Third, the SIEs will be allowed to seek symmetrically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only when they use sufficiently competitive advantage resources with entrepreneurship, which is composed of innovativeness, proactiveness, agility and risk-taking attitudes. In doing so, financial assistance from central or local governments may not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the SIEs. In addition, vision & value sharing(person-organization fit) can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the SIEs only when it is connected with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국산 자동횡편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현황

  • 하인중
    • 전기의세계
    • /
    • v.39 no.6
    • /
    • pp.59-66
    • /
    • 1990
  • 국내의 연구개발 사례를 보면 핵심기술을 요하는 부분은 여전히 외국 선진국으로부터의 구입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소개한 자동횡편시스템의 경우에는 고급 센서 및 엑츄에이터들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완전히 국산으로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고급 센서 및 엑츄에이터는 모든 자동화 분야에 필수불가결한 요소들로 이들의 국산개발은 한국 산학연계가 많은 분야에서 기술수준이 고도로 성장되어 있는 시점에 가능할 것으로 본다. 한국이 진정한 선진공업국가가 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중소 기업이 설립되어야 하며 고급 기술인력들이 이들 중소기업에 많이 가게되어야 하며 고급 기술인력들이 이들 중소기업에 많이 가게 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정부 및 많은 "무서운 젊은이"들에 의하여 이런 여건이 조성되어 가고 있는 것으로 알며 더욱 가속화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국내개발에 성공한 첨단기술제품들이 외국의 파격적 가격 인하 같은 공세속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도록 직간접으로 정부가 지원해 주는 것이 개발한 첨단기술의 지속적 향상뿐 아니라 국내 산학연계의 첨단기술 개발의욕을 계속 고취시키는데 중요하다.시키는데 중요하다.

  • PDF

기획특집 - 미래형 도시, 꿈꾸는 탄소 제로도시 개발

  • 환경보전협회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s.389
    • /
    • pp.8-24
    • /
    • 2010
  • 도시생활과 관련된 교통 주택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43%를 차지하고 있어 도시에서의 온실가스 저감대책 마련이 시급하며, 저탄소 녹색성장의 시대적 요구에 따라 기후변화 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이 필요한 실정이다. '저탄소 녹색도시'는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의 주요 원인인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획기적으로 감축하고, 지속가능한 도시기능을 확충하면서 자연과 공생하는 도시를 말한다. 최근의 '저탄소 녹색도시'는 기존의 녹색도시와 또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자원순환과 신재생에너지원의 도입을 주장하고, 탄소상쇄를 위한 에너지 및 자원절감 전략을 중요시 하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이미 주거단지내 소비되는 난방과 전력은 단지내에서 생산되는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하고 있으며, 모든 주택의 지붕위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고 단지 내 열병합 자가발전소에서 산업폐기물을 소각하여 에너지를 생산함으로써 제로 에너지(Zero Energy)를 실현하고 있다. 선진국 뿐 아니라 전 세계의 이목이 '저탄소 녹색도시'에 집중되고 있으며 저탄소 녹색도시를 조성해야 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의무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20년 그린홈 100만호 보급을 목표로 주택분야 보급가능 신재생 에너지원을 태양열, 지열, 소형풍력, 연료전지 등으로 다양화하여 안정적 보급 기반을 확보해 가고 있다. 녹색도시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저탄소 주택, 저탄소 에너지, 녹색교통, 생태녹지, 물 및 자원순환등 핵심요소들의 적용방안이 검토되어져야 한다. 이에 본지에서는 "저탄소 녹색도시의 해외사례와 국내 적용방향", "그린홈 100만호 보급사업 그간 성과와 발전방향", "온라인 전지자동차의 기술 개발 동향" 내용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신경망 기반 응용최적통계 기법을 이용한 전략 계획에 따른 단기 계획 조정 방법에 관한 연구

  • 김우주;최대우;김정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1997.10a
    • /
    • pp.53-73
    • /
    • 1997
  • 대부분의 조직들은 그 조직의 생존과 발전을 위해 장기 전략 계획과 동시에 운영 을 위한 구체적 단기 계획(예 : 생산 계획)을 항상 수립 또는 조정하고 있다. 특히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이익 극대화와 생존을 위해 수립되거나 조정된 장기 전략 계획을 효과적으로 달 성하기 위해서는 실제 그 전략을 수행하기 위한 단기 계획에 대한 전략 계획 결과의 일관되 고 지속적인 반영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단기 계획 수립 시점에서 전략 목표나 전략 계획의 내용을 단기적으로 실현 가능한 이익 관점에서 양적으로 구체화하여 평가하기 어려운 현실 적 이유로 인해 대부분의 경우 객관적으로 측정 가능한 단기 이익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단기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이러한 단기 계획의 수립은 장기 전략 계획과 의 불일치를 가져오게 되며 궁극적으로 기업의 장기적 이익 극대화와 생존에 불리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장기전략 계획이 구체적인 단기 계획에 있어 어떤 구체적이고 명시적인 의미나 결과를 가지게 되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체계를 모형화 하고, 이를 바탕으로 장기 전략 계획을 달성하기 위해 혹은 장기 전략 계획의 변화가 발생 했을 경우 이에 따른 단기 계획에의 일관된 조정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 제시하고 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장기 전략 계획으로는 포트폴리오(Portfolio) 계획 모형을 가정하고 있으며, 단기 계획 수립은 최적화 모형(예 : 선형계획법)을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신경망 기반 응용최적통제(Adaptive Optimal Control)기법을 통해 포트폴리오 모형을 전략 목표를 위한 최적화 모형의 통제 및 조정을 수행함으로써 전략 계획에 의한 단기 계획 조정을 달성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론은 장기 전략 목포를 달성하기 위한 일 관적인 기군에 따른 적절한 단기 계획의 통제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나아가서 장 기 전략 목표와 단기 이익간의 체계적인 상호 교환적 절충의 가능성 역시 경험적으로 증명 하고 있다. 이는 대부분의 기업 환경에 적용되어 현대의 빠른 기업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 계획의 변화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단기 계획에 반영할 수 잇는 방법을 제시함 으로써 기업의 전략 목표 달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신산학협력 패러다임에서 조망한 창업대학원 사업의 실태조사 연구

  • Kim, Jeong-Ho;Min, Gyeong-Se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175-20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신(新)산학협력 패러다임에서 출발한 창업대학원 사업의 실태를 조사하여 자생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창업대학원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역할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5개 창업대학원 설문조사에 의하면, 창업대학원은 창업교육프로그램 결정과정에서 수요자 중심의 창업교육 활성화 요인들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이것은 창업교육기관의 프로그램 개발과 과정에서 수요자(학습자, 지역사회, 기관)의 요구를 분석하고 목표를 설정하는 등 일련의 절차가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창업대학원에게 신산학협력 패러다임의 중요성을 전달하고 창업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있어 신산학협력 패러다임의 주요 원칙을 적용토록 유도하여 지속적인 생존과 발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유관기관에 대한 역할 모형을 제시하여 창업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상생의 협력이 가능한 유관기관을 선정 할 수 있도록 기준과 역할모형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업대학원 사업의 실태를 조사하여 창업교육프로그램 개발 모델들이 신산학협력의 패러다임과 부합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의 접근을 시도하였다. 첫째, 본 연구는 이론적 검토를 통해 신산학협력 패러다임의 주요 원칙들을 도출하고 창업교육에 효과적인 적용방법을 고찰하였다. 둘째, 5개 창업대학원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주요 원칙이 얼마나 잘 지켜지고 있는가를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