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상 강우자료

Search Result 19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on Quality Control Method for Minutely Rainfall Data (분 단위 강우자료의 품질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Kim, Min-Seok;Moon, Young-Il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5 no.2
    • /
    • pp.319-326
    • /
    • 2015
  • Rainfall data is necessary component for water resources design and flood warning system. Most analysis are used long-term hourly data of surface synoptic stations from the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others. However, It will be used minutely data of more high density automatic weather stations than surface synoptic stations expecting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heavy precipitation. But minutely data has a problem about quality of rainfall data by auto observation. This study analyzed about quality control method using automatic weather station's minutely rainfall data of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It was performed assessment of the quality control that was classified quality control of miss Data, outlier data and rainfall interpolation. This method will be utilized when hydrological analysis uses minute rainfall data.

Radar Rainfall Adjustment by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Runoff Analysis (신경망에 의한 레이더강우 보정 및 유출해석)

  • Kim, Soo Jun;Kwon, Young Soo;Lee, Keon Haeng;Kim, Hung S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0 no.2B
    • /
    • pp.159-16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the adjusted radar rainfalls by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 In the case of radar rainfall, it has an advantage of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rainfall while point rainfall has an advantage at the point. Therefore we adjusted the radar rainfall by ANN method considering the advantages of two rainfalls of radar and point. This study constructed two ANN models of Model I and Model II for radar rainfall adjustment. We collected the three rainfall events and adjusted the radar rainfall for Anseong-cheon basin. The two events were inputted into the Modeland Model to derive the optimum parameters and the rest event was used for validation. The adjusted radar rainfalls by ANN method and the raw radar rainfall were used as the input data of ModClark model which is a semi-distributed model to simulate the runoff. As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the runoff by raw radar rainfall were overestimated but the peak time and peak runoff from the adjusted rainfall by ANN were well fitted to the observed hydrograph.

The Correction of Mean-Field Bias of Rain Radar Rainfall and Estimation of Sampling Error (강우레이더 자료의 편의 보정과 관측오차 산정)

  • Yoo, Chul-Sang;Yoon, Jeong-Soo;Kim, Kyoung-Junn;Choi, Je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32-36
    • /
    • 2009
  • 레이더 강우의 편의 추정은 근본적으로 레이더 강우의 평균과 참값으로 가정되는 우량계 강우의 평균과의 차이를 결정하는 문제이다. 두 관측치의 차이를 정확히 결정하기 위해서는 두 관측치의 차이에 대한 분산이 매우 작아야 하며, 따라서 비교되는 관측치의 수가 충분히 확보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는 임진강 유역에서와 같이 일부 지역에만 우량계의 설치가 가능한 경우를 대상으로 하고자 한다. 임진강 유역에서와 같이 지역적으로 편중된 지상 강우자료를 활용하여 강우레이더 자료의 편의 보정을 통한 품질 향상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차폐 등을 이유로 레이더 강우가 대상 유역 또는 소유역을 완전하게 포괄하지 못하는 경우에 대해 가용한 레이더 강우를 이용하여 면적평균강우를 산정하는 경우에 포함될 수 있는 오차의 규모를 추정하였다. 강화 강우레이더의 반경은 한강 유역의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을 덮는다. 이러한 강화 강우 레이더의 한강유역에 대한 수문 적용성을 판단하기 위해 차폐로 인한 관측오차 산정 시 한강유역에도 적용해보았다.

  • PDF

Application of HEC-HMS Model using Weather Research Forecast(WRF) Model (기후예측모형(WRF)을 이용한 HEC-HMS 모형 적용)

  • Baek, Jong-Jin;Jung, Yong;Choi, Mi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74-277
    • /
    • 2011
  • 기후변화는 전 세계적으로 많은 관심을 얻고 있으며 그로 인한 재산과 인명피해의 증가가 우려되고 있다. 기후변화에 대해 가장 취약한 부분은 수자원분야이며 수자원 활용의 극대화를 위하여 여러 예측방법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변화의 예측 및 모델링 기법 중 하나와 수문모델의 융합 기법을 활용하였다. 선행 연구에서는 레이더 강우자료와 지상 우량계의 강우자료로 여유추정시간에 대한 단기 예측만이 가능하게 하였는데 이 방법은 조금 더 여유 추정시간을 증가 시키는 장점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여유추정시간의 증가에 대한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청미천 유역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ArcGIS와 Arc-View을 사용하여 대상유역의 Curve Number (CN) 값을 추출하고, 강우예측모형인 Weather Research Forecast (WRF) - Advanced Research WRF (ARW) 결과자료와 과거 강우자료의 비교 검증을 통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두 자료는 HEC-HMS의 입력자료가 되며, 이를 바탕으로 지역 유출량 산정 및 지표면 유출 모의를 통한 강우-유출현상을 검토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청미천 유역 지표면에서의 강우-유출모의를 개선하여 대상유역의 현상을 보다 유사하게 나타내고자 하였으며, 이와 함께 WRF-ARW 모형을 통하여 여유추정시간의 증가를 모색하고 지역강우 모형이 대한민국 지형의 잘 어울리는 최적화된 매개변수들의 조합을 알아내고 그의 적용현실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 PDF

Ensemble Generation of Rainfall Based on the Error Characteristics of Radar Rainfall (레이더 강우 오차특성 기반의 강우 앙상블 생성)

  • Kang, Na Rae;Joo, Hong Jun;Lee, Myung Jin;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47-247
    • /
    • 2017
  • 수문분석이 있어 정확한 강우량 추정 및 강우 자료의 품질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유출분석의 기본 입력 자료인 만큼 홍수유출 결과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현재 하나의 확정적인 값으로 제공되는 레이더 강우 자료는 추정과정에서 많은 오차 및 불확실성을 포함하고 있다. 강우 자료의 불확실성은 기상현상의 예측능력 한계로 인한 것으로 관측지점에서의 발생 가능한 다양한 강우시나리오의 범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임의의 값을 추정하는데 있어 하나의 값이 아닌 가능한 값들의 범위를 정의하거나 확률분포를 표현할 수 있는 확률론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레이더 강우 앙상블을 생성하고자 하였다. 2012년 남강댐 유역에 발생한 태풍 '산바', '볼라벤'을 대상으로 자료간 오차 공분산을 고려하여 강우 앙상블을 생성하였으며, 레이더 강우에 내포된 불확실성 정도를 정량적으로 제시하였다. 생성된 강우 앙상블은 레이더 강우의 전체적인 편의보정뿐만 아니라 지상강우의 패턴을 잘 모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레이더에 의해 추정한 강우의 불확실성을 잘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강우 앙상블 생성 방법은 발생 가능한 다양한 강우 시나리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홍수예경보와 같은 의사 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stimation of Missing Rainfall Data Considering Spatio-Temporal Variation Using Radar Data (레이더 자료를 이용한 시공간적 변동성을 고려한 강우의 결측치 추정)

  • Song, Chang-U;Song, Chang-Joon;Kim, Byeong-Sik;Kim, Soo-Jun;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196-1200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지점 강우의 결측치를 추정하기 위해 전통적인 통계학적 내삽기법을 이용한 역거리가중치법(IDWM), 역지수가중치법(IEWM), 상관계수가중치법(CCWM)과 패턴 인식의 일종인 인공신경망(ANN)기법 그리고 시공간적 강우분포의 측정이 가능한 레이더 자료를 이용해 결측치를 추정하여 각각의 방법을 비교하였다. 임진강 유역의 15개 지상관측소를 대상으로 교차검정(Cross validation) 분석을 실시해 본 결과, CCWM 방법과 ANN기법에 의한 RMSE가 0.46~1.79의 범위를 보였고, 보정레이더를 이용하여 결측치를 추정한 경우RMSE가 0.05~2.26의 범위를 보여 기존의 전통적 결측치 추정방법보다 실측치에 가까운 결과를 보였다. 이는 레이더자료가 지점 강우자료와는 달리 강우의 시공간적 변동성을 고려한 공간분포의 정보를 지니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Radar rainfall estimation and accuracy verification according to rainfall types (강우유형에 따른 레이더 강우 추정 및 정확도 검증)

  • Gi Moon Yuk;Sang Min Jang;Kyoung Hun 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67-267
    • /
    • 2023
  • 최근 이상기상현상과 기후변화로 인하여 국지적인 집중호우의 빈도 및 규모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돌발 홍수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레이더는 넓은 영역에 대해 고해상도의 강우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위험기상 감시 및 실황 예측 모형의 입력자료로써 활용도가 높다. 레이더 강우량은 대기 중 강수입자에 대한 레이더 반사도와 강우강도의 Z-R 관계식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강우 추정 과정에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여름철 한반도의 집중호우는 층운형 강우와 함께 대류형 강우가 동반되는 복합적인 강우시스템에서 자주 발생하지만, 레이더 강우는 일반적으로 단일 강우시스템에 대한 고정된 Z-R 관계식으로 추정하므로, 이러한 현상에 대해 과대 추정 혹은 과소 추정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집중호우에 적합한 강우를 추정하기 위해 2021년 8월 21일부터 8월 25일까지 경남 호우사례를 대상으로 층운형, 대류형, 열대형의 Z-R관계식과 반사도 조건에 따라 층운형과 적운형을 구분하여 Z-R 관계식을 적용하여 레이더 강우량 자료를 산출하였으며, 지상강우자료를 이용하여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레이더 자료 처리를 위해 Radar Software Library (RSL)를 이용하여 수평으로 1km 해상도의 1.5km CAPPI (Constant Altitude Plan Position Indicator) 자료로 변환하였다. 레이더 강우 추정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 레이더 지점으로부터 100 km 이내에 위치하고 있는 기상관서와 자동기상관측소의 강우관측 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 PDF

Runoff Simulation of An Urban Drainage System Using Radar Rainfall Data (레이더 강우 자료를 이용한 도시유역의 유출 모의)

  • Kang, Na Rae;Noh, Hui Seung;Lee, Jong So;Lim, Sang Hun;Kim, Hung Soo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5 no.3
    • /
    • pp.413-422
    • /
    • 2013
  • In recent, the rainfall is showing different properties in space and time but the ground rain gauge only can observe rainfall at a point. This means the ground rain gauge has the limitations in spatial and temporal resolutions to measure rainfall and so there is a need to utilize radar rainfall which can consider spatial distribution of rainfall This study tried to apply radar rainfall for runoff simulation on an urban drainage system. The study area is Guro-gu, Seoul and we divided study area into subbasins based on rain gauge network of AWS(Automatic Weather station). Then the radar rainfalls were adjusted using rainfall data of rain gauge stations the areal rainfalls were obtained. The runoffs were simulated by using XP-SWMM model in subbasins of an urban drainage system. As the results, the adjusted radar rainfalls were underestimated in the range of 60 to 95% of rain gauge rainfalls and so the simulated runoffs from the adjusted radar and gauge rainfalls also showed the differences. The runoff peak time from radar rainfall was occurred more fast than that from gauge rainfall.

Flood Simulation using Vflo and Radar Rainfall Adjustment Data by Statistical Objective Analysis (통계적 객관 분석법에 의한 레이더강우 보정 및 Vflo를 이용한 홍수모의)

  • Noh, Hui Seong;Kang, Na Rae;Kim, Byung Sik;Kim, Hung Soo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4 no.2
    • /
    • pp.243-254
    • /
    • 2012
  • Recently, the use of radar rainfall data that can help tracking of the development and movement of rainfall's spatial distribution is drawing much attention in hydrology. The reliability of existing radar rainfall compared to gauge rainfall data on the ground has not yet been confirmed and so we have difficulties to apply the radar rainfall in hydrology. The radar rainfall for the applications in hydrology are adjusted merging method derived from gage. This study uses the Mean-Field Bias (MFB) and Statistical Objective Analysis (SOA) as correction methods to create adjusted grid-based radar rainfall data which can represent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rainfall. This study used a storm event occurred in August 2010 for the adjustment of radar rainfall. In addition, the grid-based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Vflo), which enables more detailed examinations of spatial flux changes in the basin rather than the lumped hydrological models, has been applied to Gamcheon river basin which is a tributary of Nakdong River located in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r and the basin area is $1005km^2$. The simulated runoff was compared with the observed runoff in an attempt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radar rainfall data and the reliability of the correction methods. The error range of peak discharge using each correction method was within 20 percent and the efficiency of the model was between 60 and 80 percent. In particular, the SOA method showed better results than MFB method. Therefore, the SOA method could be used for the adjustment of grid-based radar rainfall and the adjusted radar rainfall can be used as an input data of rainfall-runoff models.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Radar Rainfall by Comparing with Flood Inundation Record Map Using KIMSTORM (Grid-based KI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l) (분포형 강우유출모형 KIMSTORM을 이용한 침수실적자료와의 비교를 통한 레이더강우의 효용성 연구)

  • Ahn, So Ra;Jung, Chung Gil;Kim, Seong J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8 no.11
    • /
    • pp.925-93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dual-polarization radar rainfall by comapring with the flood inundation record map through KIMSTORM(Grid-based KI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l). For Namgang dam ($2,293km^2$) watershed, the Bisl dual-polarization radar data for 3 typhoons (Khanun, Bolaven, Sanba) and 1 heavy rain event in 2012 were prepared. For both 28 ground rainfall data and radar rainfall data, the model was calibrated using observed discharge data at 5 stations with $R^2$, Nash and Sutcliffe Model Efficiency (ME) and Volume Conservation Index (VCI). The calibration results of $R^2$, ME and VCI were 0.85, 0.78 and 1.09 for ground rainfall and 0.85, 0.79, and 1.04 for radar rainfall respectively. The flood inundation record areas (SY and MD/SG district) by typhoon Sanba were compared with the distributed modeling results. The spatial distribution by radar rainfall produced more surface runoff from the watershed and simulated higher stream discharge than the ground rainfall condition in both SY and MD/SG district. In case of MD/SG district, the stream water level by radar rainfall near the flood inundation area showed 0.72 m higher than the water level by ground rainf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