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상파이프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7초

경과년에 따른 비닐하우스 서까래 파이프 인장 강도 변화 (Change of Tensile Strength for Rafter Pipes of Plastic Greenhouse according to Elapsed Period)

  • 송호성;임성윤;류희룡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130-130
    • /
    • 2017
  • 비닐하우스의 골조를 구성하는 파이프는 부식을 방지할 목적으로 아연도강관을 사용한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아연도금량 감소와 여러 외부 환경인자 등에 의하여 부식이나 침식이 진행되어, 외관상 녹이 생기고 강도와 연신율 등이 감소하게 된다. 이는 비닐하우스 전체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이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이나 기준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업시설의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각기 다른 경과년수를 갖는 비닐하우스로부터 채취한 서까래 파이프의 인장 시험을 실시하였다. 인장 시험에 사용된 서까래 파이프는 (구)시설원예시험장에 설치되어 있는 비닐하우스에서 경과년별로 채취하였으며, 지중매설부와 지상노출부로 구분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인장 실험 결과 서까래 파이프의 경과년이 오래될수록 시편의 인장 강도는 작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파단연신율은 경과년과 연관성을 찾아보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동일한 경과년을 갖는 서까래 파이프 시편에서 지중매설부의 인장 강도와 파단연신율이 지상노출부에 비해 대체로 작게 측정되었으며, 경과년이 증가할수록 인장 강도의 감소폭이 커지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영상처리를 이용한 로봇의 파이프 잡기 연구 (A Study on a Pipe catch method by using image processing)

  • 이스라엘;이재철;최유락;김재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493-1494
    • /
    • 2013
  • 파이프 로봇은 검사원이 접근하기 어려운 높은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파이프 및 기기의 건전성을 검사하기 위해 사용된다. 높은 지역의 파이프를 이동할 경우 지상에서 파이프 로봇을 조종하는 방법으로는 파이프를 잡기 힘들다. 그러므로 파이프 로봇의 카메라 영상을 이용하여 파이프 로봇의 파이프 잡기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카메라 영상을 이용하여 파이프 로봇이 파이프를 잡기 위한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지상 파이프 반사계수 규명 (Identification of Reflection Coefficients for Overground Pipes Using Finite Element Method)

  • 김영환;박경조;강우석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8-24
    • /
    • 2011
  • In this study, the reflection of the L(0,2), axially symmetric guided elastic wave from defects in pipes above ground is examined using finite element method. Phase and group velocity dispersion curves for the pipe were presented for the selection of the excitation mode. Some simple signal processing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amplitude of each of the reflected waves and to calculate the reflection coefficient. The results show the reflection coefficient of this mode is very close to a linear function of the circumferential extent of the defect. The motivation for the work was the development of a technique for inspecting chemical plant pipelines, but the study addresses the nature of the reflection function and its general applicability.

소방용수시설의 공설소화전 종류에 따른 사용 준비시간 비교분석 (Comparison Analysis of Ready to Use Time Depending on The Type of Public Fire Hydrant of Fire-fighting Water Facility)

  • 전재인;공하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87-92
    • /
    • 2019
  • 이 연구는 공설소화전에 대한 지상식 및 지하식 소화전의 소방용수 사용 준비시간을 분석하였다. 1단계인 장비 준비시간은 지상식은 20.50초, 지하식은 24.67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준비시간이 다소 차이가 난 것은 지하식 소화전은 맨홀 뚜껑을 개방하는 빠루와 지하식 소화전 본체 관구에 연결하기 위하여 스탠드 파이프가 추가로 필요했기 때문이다. 2단계인 물탱크차의 보수구에 숫커플링의 수관결합은 지상식은 48.50초, 지하식은 49.00초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것은 물탱크차 보수구에 소방호스를 연결하는 동작이 같기 때문이다. 3단계인 본체 관구에 수관 결합은 지상식은 43초, 지하식은 174.33초로 나타났는데 이와 같이 수관을 소화전 관구에 연결하는 시간이 큰 차이가 난 것은 지하식 소화전은 맨홀 뚜껑을 개방한 후 소화전 본체 관구에 스텐드 파이프를 연결한 후에, 스텐드 파이프 관구에 수관을 결합하는 추가 과정이 필요하여 소요시간을 크게 올린 것으로 판단된다. 4단계인 제수 밸브와 스핀들 개방은 지상식은 66.50초, 지하식은 78.83초 소요되었다. 이 같은 차이가 난 것은 지상식 소화전의 스핀들은 본체 관구위에 위치하여 쉽게 개방이 가능하지만, 지하식은 맨홀 아래 관구 옆에 위치하여 개방 장비인 복스퍼너를 연결하는 추가시간이 필요하여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온실 환경 하에서 20년 경과된 농업용 강관의 부식 및 강도변화 (Corrosion and Strength Changes of Agricultural Steel Pipes Elapsed 20 Years under the Greenhouse Environment)

  • 남상운;류희룡;최만권;신현호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96-201
    • /
    • 2020
  • 파이프 골조 온실의 내구성 증대를 위하여 4가지의 부식방지 처리를 한 파이프를 실험온실 내부에 설치하여 20년경과 후 표면부식 상태와 강도 변화 실험을 실시하였다. 대기 중에 노출된 지상부위에서 무처리 파이프는 강도가 1.3%정도 줄었지만 다른 처리와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 매설부위에서 중방식 처리한 파이프의 강도는 0.6%정도 줄어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무처리는 15.7%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방청 페인트나 아스팔트 도포는 4.2~4.4%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부위는 모든 시료에서 심한 부식상태를 보이지 않았다. 중방식 처리는 변화가 없었고, 방청페인트 처리도 녹은 발견되지 않고 약간의 변색만 있었다. 아스팔트 도포는 검게 변색되고 약간의 녹이 발견되었으며, 무처리는 표면의 20~30%정도가 녹슨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 매설부위 무처리 파이프의 경우에는 전체가 완전히 녹슬어 있었고, 아스팔트 도포한 파이프도 표면의 80~90%가 녹슬어 있었다. 방청페인트 처리는 20~30%정도 녹슬어 있었고, 중방식 처리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중방식 처리는 지하 매설부위에서도 확실한 부식 방지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방청페인트 처리도 어느 정도 부식 방지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현장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매립된 파이프에서 유도초음파의 종파 모드 특성 (Mode Characteristics of Longitudinal Guided Waves in Buried Steel Pipes)

  • 이주원;신성우;나원배;김재민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674-677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지반에 매립된 파이프에서 전파되는 유도초음파의 종파 모드 특성을 분석하였다. 지상 배관과는 달리 매립 배관에서는 주변 매질로 유도초음파의 누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유도초음파의 감쇠가 상대적으로 커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도초음파의 여러 특성들 중 종파 모드의 감쇠 특성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감쇠에 영향을 미치는 지반의 파동 특성(밀도, 체적종파속도, 체적횡파속도)을 결정하기 위하여 포화도와 다짐을 고려하였다. 포화도가 증가할수록 지반의 체적종파속도와 체적횡파속도는 감소하며, 다짐된 지반은 밀도와 체적종파속도, 체적횡파속도를 증가시킨다. 이와 같은 조건으로 결정된 지반의 파동 특성치와 배관의 물성치를 바탕으로 유도초음파 종파 모드의 감쇠 곡선을 계산하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포화도가 증가할수록 종파 모드의 감쇠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다짐이 증가할 경우 감쇠는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 PDF

Rod pipe의 센서 정보 전송기술 (Sensor Information Transmission Technology of Rod Pipe)

  • 윤언호;이상락;최한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9-50
    • /
    • 2021
  • 광산 분야 등의 채굴을 위한 천공 과정에서 현재 진행 중인 천공 위치의 실시간 측정이 요구되는데 이를 위해 드릴 후면에 부착된 센서 정보를 로드 파이프를 통해 지상으로 전송할 수 있는 통신방식을 제안하였다. 드릴 후면에 장착된 센서에서 검출된 신호는 송신부에서 변조를 통해 로드 파이프로 전송하고, 수신부에서는 이에 대응되는 복조 과정을 통해 센서 데이터를 추출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검증을 위해 설계된 장치를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 결과 제안된 방법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이 정상적으로 동작함을 확인하였다.

특허데이터 분석을 통한 천연가스 공급용 대규모 파이프라인을 위한 자립형 고효율 부식 방지 기술의 동향평가 (Trend Evaluation of Self-sustaining, High-efficiency Corrosion Control Technology for Large-scale Pipelines Delivering Natural Gas by Analyzing Patent Data)

  • 이종원;지상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730-736
    • /
    • 2019
  •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고려되고 있는 천연가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이와 동시에 천연가스의 공급을 위한 대규모 파이프라인의 시장 규모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대규모 파이프라인의 부식은 천연가스 운송의 효율성을 저하시킨다. 이에 본 연구는 천연가스 공급용 대규모 파이프라인을 위한 에너지 자립형 고효율 부식방지 기술에 대한 특허의 정량분석을 통해 관련 기술의 특허권 확보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특허 기술동향 조사에서는, 2018년 6월까지 출원, 공개 및 등록된 한국, 미국, 일본 및 유럽 특허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전문가토의를 거쳐 기술분류체계 및 분류기준을 마련하였다. 천연가스 대규모 파이프라인의 부식방지를 위한 외부전원으로 연료전지를 이용하기 위해, 1) 파이프라인의 분기 구조와 설비 설계(감압기/압축기/열교환기) 그리고 2) 고압 천연가스의 감압/예열과 가압/냉각 기술을 구비하는 에너지 제어 시스템 및 방법으로 권리화를 시도해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상용 소형 루프히트파이프 성능에 관한 연구 (Thermal Performance of a Small-scale Loop Heat Pipe for Terrestrial Application)

  • 정원복;부준홍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52-1057
    • /
    • 2004
  • A small-scale loop heat pipe with polypropylene wick was fabricated and tested for its thermal performance. The container and tubing of the system was made of stainless steel and several working fluids were used to see the difference in performance including methanol, ethanol, acetone, R134a, and water. The heating area was 35 mm ${\times}$ 35 mm and there were nine axial grooves in the evaporator to provide a vapor passage. The pore size of the polypropylene wick inside the evaporator was varied from 0.5 m to 25 m. The size of condenser was 40 mm (W) ${\times}$ 50 mm (L) in which ten coolant paths were provided. The inner diameter of liquid and vapor transport lines were 2.0 mm and 4.0 mm, respectively and the length of which were 0.5 m. The PP wick LHP was operated with methanol, acetone, and ethanol normally. R134a was not compatible with PP wick and water was unsuitable within operating limit of $100^{\circ}C$. The minimum thermal load of 10 W (0.8 W/cm2) and maximum thermal load of 80 W (6.5 W/cm2) were achieved using methanol as working fluid with the condenser temperature of $20^{\circ}C$ with horizontal position.

  • PDF

통신방송위성 Ka-대역 기술인증모델 탑재체의 열진공시험을 위한 MGSE 패널 열설계 (Thermal Design of MGSE Panel for Thermal Vacuum Test of Ka-band Engineering Qualification Model Payload of Communications and Broadcasting Satellite)

  • 김정훈;최성봉;양군호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96-102
    • /
    • 2003
  • 통신방송위성 Ka-대역 기술인증모델(EQM)탑재체의 열진공시험을 위한 기계지상지원장비 패널의 열설계를 수행하고 열진공 챔버내에서의 성능시험을 위한 열환경을 수치적 방법으로 예측하였다. 탑재체 패널의 히트파이프 배열 설계 검증을 위한 열해석은 SINDA를 사용하였다. 개발된 16개 히트파이트 배열은 Ka-대역 중계기 전장품들의 성능시험을 위해 적절하게 설계되었다. 고온 성능시험은 패널 외부 면재에 가해지는 열유속이 265W/㎡ 일 때 수행되고, 저온 성능시험은 패널 외부로부터 열유입이 없을 때 수행된다. 히트파이프의 최대 열수송 용량은 2723 W-cm로 예측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