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상경계

Search Result 13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Comparative Analysis on Parcel Boundary inconsistency between Town and Agricultural village (도시와 농촌지역의 지적경계불부합에 대한 비교 분석)

  • 정영동;최한영;박성규;조형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4.11a
    • /
    • pp.497-505
    • /
    • 2004
  • 오늘날과 같이 산업사회의 급격한 발달로 인하여 토지의 재산적인 가치가 높게 평가되면서 국민들은 토지에 대한 정확하고 다양한 정보제공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토지조사사업으로 작성된 지적공부를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으나 토지이동에 따른 지적경계의 변동과 지적도면이 변질되고, 신축과 훼손이 심해져서 지적도의 경계선과 지상경계선의 불일치로 토지분쟁을 유발하여 대국민관계에 불신을 초래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정확한 해결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현행 지적공부의 문제점인 경계불부합을 효율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방안을 위해서 지상경계를 TS측량방법을 이용하여 필지별 면적과 경계점간 거리의 변화를 측정하여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에 관한 도상 경계와 지상경계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지상경계위주의 좌표로 등록하여 정리하는 것이 효율적인 방법임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Boundary agreed under Special Act On Cadastral Resurvey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상 합의경계에 관한 연구)

  • Mun, Seung Ju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52 no.2
    • /
    • pp.5-16
    • /
    • 2022
  • Since 1910 the enactment of the Land Survey Act, Special Act on Cadastre Resurvey was enacted after about a century and the Surveying for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will be scheduled by 2030. The establishing boundaries occupies an important proportion in this project and the regulation on surveying for the cadastral resurvey provide specific examples of the criteria for it. This regulation can be set according to not only ground boundary and cadastral boundary, but also customary boundaries of the relevant region and boundaries agreed between landowners. However, there is no standard rule whether to accept the agreement boundary and can be abused some problems. In addition, there is a question about the subject that agreement between individuals on the public record managed by the nation. In this study, boundary agreed in cadastre related subject is examined in depth and improvement proposal about the problems. The research results can be established evaluation standard of competent authorities of the cadastral records and the Surveying for the Cadastral Resurvey Project will be progressed smoothly with effective use of land.

Accuracy Assessment of Building Registration on the Cadastral maps Using Architectural Drawings (건축도면을 활용한 지적도의 건물 등록 정확도 평가)

  • Park, Ki-Heon;Um, Joung-Sub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233-239
    • /
    • 2007
  • 현행 지적도에는 건물 위치가 표시되지 않아 지적도 활용 시 건물 위치 식별이 어렵고, 지적현황측량에 따른 비용과 시간의 소요와 불편을 격고 있으며, 지상 건물의 경계 침범으로 인한 분쟁과 소송이 일어나고 있다. 건축물 경계 추출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수치정사사진과 LiDAR를 이용한 건물 경계를 추출은 원칙적으로 지적측량의 원리와 상이한 기준으로 실제 지상의 외벽 경계선이 아닌 건축물의 옥상층 경계선을 추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물등록을 위해 시도해 보지 않았던 건축도면을 이용하여, 기존연구에서 고려되지 못한 지붕선이나 처마선이 아닌 실제 지적측량에서 기준이 되는 외벽의 경계선을 등록하기 위해 건축도면을 활용하였으며, 등록하는 과정에서 ArcGIS 엔진을 이용하여 개발한 자동 등록 방법을 사용하였다. 지적도 필지 경계선과 건축도면의 필지 경계선을 기준으로 등록한 결과 지적현황측량 성과와 수치지역에서 연결오차로 RMSE가 0.10m, 도해지역에서 0.16m로 나타났다. 따라서 건축도면을 이용하여 지적도에 건축물의 경계를 등록함으로써 지상측량을 보완할 수 있으며, 3차원 지적구축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 지적재조사사업에서 시간과 경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3D Boundary Extraction of A Building Using Terrestrial Laser Scanner (지상라이다를 이용한 건축물의 3차원 경계 추출)

  • Lee, In-Su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5 no.1
    • /
    • pp.53-65
    • /
    • 2007
  • Terrestrial laser scanner provides highly accurate, 3D images and by sweeping a laser beam over a scene or object, the laser scanner is able to record millions of 3D points' coordinates in a short period, so becoming distinguished in various application fields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surveying instruments. This study deals with 3D building boundary extraction using Terrestrial Laser Scanner. The results shows that high accuracy 3D coordinates for building boundaries are possibly acquired fast, but terrestrial laser scanner is a ground-based system, so "no roofs", and "no lower part of building" due to trees and electric-poles, etc. It is expected that the combination of total station, terrestrial laser scanner, airborne laser scanner with aerial photogrammetry will contribute to the acquisition of an effective 3D spatial information.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Ground Boundary Points Record Focusing on Registration and Management (지상경계점등록부 등록 및 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Park, Jung-Hee;Jang, Bong-Bae;Choi, Yun-Su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44 no.2
    • /
    • pp.1-23
    • /
    • 2014
  • South Korea makes and manages the ground boundary points record to efficient menage for the installed ground boundary points from cadastral survey with established the Land survey Channel investigation and Cadastre law Section 65 on 17 July 2013. However, this system's negative perception is spreading across the country because of the excessive business process time and inadequate availability. Consequently, this study has analyzed implementation problems of the ground boundary points record. Moreover reasonable development plans have been propose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advanced foreign cases and interview of the international cadastral experts. Based on this study, it looks forward to improvement more enhanced reliability of the Korean cadastral system.

A Method of Ground Boundary Construction using Digital Aerial Photos (디지털항공사진을 이용한 지상경계 구축 방안)

  • Yeon, sang-ho;Min, kwan-sik;Jeong, in-jun;Jeong, seung-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624-62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다차원공간정보의 하나인 디지털항공정사사진을 이용하여 필지별 지상경계를 생성하여 지상점유 토지의 형상을 확인해 보고자한다. 이는 필지의 관리적 측면에서 정확한 정보로써의 가치제고와 효용을 높이는데 있다.

  • PDF

Simple interaction methods between overland flow and underground space for urban flood modelling (도시홍수 모델링을 위한 지상과 지하공간의 효율적인 연계해석)

  • Kim, Byunghyun;Son, Ah-long;Kim, Jong-Hae;Han, Kun-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7-47
    • /
    • 2017
  •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는 인구, 산업시설, 교통 등의 증가를 가져왔고, 점차 부족해지는 지상공간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건물이 고도화되고 건물의 공간 배치 계획이 수립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확장하는 도시화에 따른 지상공간의 부족은 공간이용의 고도화를 위해 지하도로, 지하상가, 지하철, 지하공동구, 변전소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지하공간 개발로 이어져 도시는 지상공간과 지하공간이 혼재하는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지게 되었다. 최근 기후변화와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해 도시 배수시스템의 설계용량을 초과하는 유효강우량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고, 이것은 지상의 침수뿐만 아니라 지하공간에서의 침수로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도시홍수 모델링 연구는 주로 지상에서의 홍수류가 지하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고려하지 않거나, 지상과 지하공간의 침수를 독립적으로 구분하거나, 두 공간의 연계를 고려하더라도 지상과 지하공간의 침수 해석을 모두 수행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침수해석에서 지상과 지하공간을 간단한 연계를 위한 2가지 방법 (경계조건형과 폰드형)을 제안하고, 지하공간이 도시침수해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제안한 방법을 2010년 9월 21일 발생한 집중호우로 인하여 큰 침수피해가 발생한 효자배수분구의 광화문 일대에 적용하기 위해, 1차원 SWMM으로 계산된 맨홀의 월류량으로 2차원 도시침수모형에 경계조건으로 이용하였으며, 지하공간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와 고려한 경우(경계형, 폰드형)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고 실측된 홍수범람범위와 침수심을 실측치와 비교하여 계산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 PDF

A Comparative Analysis on Parcel Boundaries between the Map and Ground (도상경계와 지상경계에 대한 비교 분석)

  • Jung Young Dong;Choi Han Young;Cho Kyoo Ja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2 no.3
    • /
    • pp.225-232
    • /
    • 2004
  • The human history has progressed closely related to land. Mankind started land administration as a tool of governance to make land the object of imposing taxation as well as developing the land administration as a concept of securing property rights. People have drawn boundary lines on the ground to form a land parcel according to the usage and/or ownership. Furthermore, the land administration has been developed as a registering system of cadastral records fer the public announcement of fixed boundary instead of changeable ground boundary. Currently the citizens demand the provision of accurate and diverse information on the land which is assessed to has high property value encouraged by the rapid development in the post-industrial society today. However, even though the fact that the Korean cadastral registers produced during the Land Investigation Project are still practically in use causes land-related disputes and promotes public mistrust because of the changed boundaries by parcel mutation,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map sheets and the quality deterioration and damage of map paper, but the ultimate resolution is not yet made so far. The distance difference between boundary points a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TS surveying method in the research as a methodology to resolve the boundary inconsistency, the current problem of cadastral records. Consequently, I'd say that the new surveying method of registering the coordinates of real ground boundary has been regarded as more efficient than considering the matter on the map regardless of urban or rural areas.

Image Registration Method for KOMPSAT-2 clouds imagery (구름이 존재하는 아리랑 2호 영상의 영상정합 방법)

  • Kim, Tae-Young;Choi, Myung-Ji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9.03a
    • /
    • pp.250-253
    • /
    • 2009
  • 고해상도 컬러 위성 영상 촬영을 위한 다중분광 센서를 탑재한 위성의 영상은, 탑재체에 장착된 센서의 위치에 따라, 동일 지역에 대해 센서 간의 촬영시각의 차이가 발생한다. 만약 이동하는 구름이 촬영될 경우, 센서별 촬영 영상간에는 구름과 지상과의 상대적 위치가 달라진다. 고해상도 컬러 위성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영상 정합(image registration) 기법이 사용되는 데, 일반적인 영상 정합 알고리즘은 촬영 영상에서의 특징점(feature point)이 움직이지 않는 것을 전제로 수행한다. 그 결과 이동하는 구름 경계부에서 정합점(matching point)이 추출될 경우, 지상 영역에서의 정합품질이 좋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름 경계부에서 정합점이 추출되지 않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실험 영상으로 구름이 존재하는 아리랑2호 영상을 사용하였고, 제안된 영상 정합 알고리즘은 지상 영역에서의 정합 품질이 높였음을 보였다.

  • PDF

Parcel Boundary Demarcation in Agricultural Area Using High Resolution Aerial Images and Aerial Targets (고해상도 항공영상과 항공타겟을 이용한 농경지 필지경계 설정에 관한 연구)

  • PARK, Chi-Young;LEE, Jae-On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9 no.1
    • /
    • pp.80-93
    • /
    • 2016
  • Parcel boundary demarcation in agricultural area is commonly performed by terrestrial surveying methods, which have been pointed out as drawbacks to require consuming too much time and heavy expenditure. With the developments of high performance digital aerial cameras, however, studies on cadastral boundary demarcation with an aerial photogrammetric method attract a great attention in recent years. In this paper, an approach is presented to rapidly demarcate parcel boundaries coinciding with real ground ones in agricultural areas by extracting boundaries from the high resolution aerial orthoimages based on aerial targe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the accuracy of coordinates and area of parcel boundaries extracted from the aerial targets appeared in orthoimages compared with that of terrestrial boundary surveying results over the selected two test agricultural areas. Aerial image data were processed taken by a ADS80 digital camera with a GSD of 8cm in Changwon region, and by a DMCII camera with a GSD of 5cm in Suwon respectively. The result shows that the accuracy of parcel demarcation using aerial images is within the tolerance limits of coordinates and areas compared with that of terrestrial surveying. The proposed method using aerial target-based high resolution aerial images is therefore expected to be usefully applied in the agricultural parcel demar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