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arcel Boundary Demarcation in Agricultural Area Using High Resolution Aerial Images and Aerial Targets

고해상도 항공영상과 항공타겟을 이용한 농경지 필지경계 설정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6.01.20
  • Accepted : 2016.03.09
  • Published : 2016.03.31

Abstract

Parcel boundary demarcation in agricultural area is commonly performed by terrestrial surveying methods, which have been pointed out as drawbacks to require consuming too much time and heavy expenditure. With the developments of high performance digital aerial cameras, however, studies on cadastral boundary demarcation with an aerial photogrammetric method attract a great attention in recent years. In this paper, an approach is presented to rapidly demarcate parcel boundaries coinciding with real ground ones in agricultural areas by extracting boundaries from the high resolution aerial orthoimages based on aerial targe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the accuracy of coordinates and area of parcel boundaries extracted from the aerial targets appeared in orthoimages compared with that of terrestrial boundary surveying results over the selected two test agricultural areas. Aerial image data were processed taken by a ADS80 digital camera with a GSD of 8cm in Changwon region, and by a DMCII camera with a GSD of 5cm in Suwon respectively. The result shows that the accuracy of parcel demarcation using aerial images is within the tolerance limits of coordinates and areas compared with that of terrestrial surveying. The proposed method using aerial target-based high resolution aerial images is therefore expected to be usefully applied in the agricultural parcel demarcation.

농경지 지적경계 설정은 보편적으로 지상측량으로 수행되고 있으나, 많은 시간과 경비의 투입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편, 최근 고성능 디지털 항공카메라의 개발로 항공사진측량을 이용한 지적 경계설정에 관한 연구가 크게 관심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공표지를 기반으로 고해상도 항공정사영상으로부터 경계점을 추출하여 현실경계와 부합하는 농경지역의 필지경계를 신속하게 설정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방안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농경지 두 지역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여 지상측량에 의한 필지경계점의 좌표와 면적을 기준으로 정사영상에서 항공타겟을 추출한 결과의 정확도와 상호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지 중 창원지역은 ADS80 카메라로 GSD 8cm로, 수원지역은 DMCII 카메라로 GSD 5cm로 각각 촬영하여 영상을 취득하고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항공영상을 이용한 필지경계 설정의 정확도는 지상측량에 의한 방법과 비교하여 경계점 좌표와 면적의 허용오차 한계 이내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항공타겟 기반의 고해상도 항공영상은 향후 농경지의 필지경계 설정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Choung, Y.J. 2015. A study on extraction of croplands located nearby coastal areas using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ry and LiDAR dat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8(1):170-181 (정윤재. 2015. 고해상도 위성영상과 LiDAR 자료를 활용한 해안지역에 인접한 농경지 추출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8(1):170-181). https://doi.org/10.11108/kagis.2015.18.1.170
  2. Choung, Y.J., H.C. Park and M.H. Jo. 2012. A study on 3-D river boundary using the spatial information datase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1):87-98 (정윤재, 박현철, 조명희. 2012. 공간정보를 이용한 하천 경계선 매핑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5(1):87-98).
  3. Jang, S.J. 2010. A study on effective management and application methods of cadastral survey data. Master Thesis, Kyonnggi University, Suwon, Korea. 1pp (장성재. 2010. 지적측량 자료의 효율적 관리 및 활용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쪽).
  4. Kim, J. 2007. A study on boundary establishment plan according to boundary dispute in land survey project. Journal of Korea Cadastral Survey Corporation 37(1):23-40 (김진. 2007. 토지조사사업 경계분쟁에 따른 경계설정 방안 연구. 지적 37(1):23-40).
  5. Kim, J.M. 2010, A study on a parcel boundary establishment : Focused on aerial photogrammetry. Ph.D. Thesis, Mokpo National University, Mokpo, Korea (김정민. 2010. 필지경계설정에 관한 연구 : 항공사진측량을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Kim, S.J. and I.S. Lee. 2008. Boundary extraction of ground using digital plotting. Cadastral Research Institute Research Report (김수정, 이인수. 2008. 수치도화에 의한 지상경계 취득연구. 대한지적공사 연구보고서).
  7. Kwak, I.S. 2011.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accuracy of land demarcation. Ph.D Thesis, University of Seoul, Korea (곽인선. 2011. 토지경계 설정의 정확도 비 교 분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8. Lee, J.O., S.B. Lee, I.S. Lee and B.Y. Yun. 2010. Extraction of cadastre information using digital stereoplotting of highresolution aerial images. Journal of Cadastre 40(2):61-75 (이재원, 이승복, 이인수, 윤부열. 2010. 고해상 항공영상의 수치도화에 의한 지적경계 추출. 지적 40 (2):61-75).
  9. Lee, S.B. 2010. Production of continuous cadastral map with digital camera image. Master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이승복. 2010. 디지털 항공 영상을 이용한 연속지적도 작성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Markelin, M. 2013. Radiometric calibration, validation and correction of multispectral photogrammetric image. Ph.D. Thesis, Aalto University School of Engineering, Espoo, Finland.
  11. MLTM(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1a. A study on the cadastre renovation infrastructure development: application proposals for cadastral surveying using aerial photos (국토해양부. 2011a. 지적재조사 기반조성 연구: 항공사진측량을 이용한 지적측량 적용 방안).
  12. MLTM(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1b. A study on the cadastre renovation infrastructure development: accuracy standard for cadastral surveying according to cadastral resurvey (국토해양부. 2011b. 지적재조사 기반조성 연구: 지적재조사에 따른 지적측량 정확도 기준연구).
  13. MLTM(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1c. A study on the cadastre renovation infrastructure development: a cost reduction plan for cadastre resurvey (국토해양부. 2011c. 지적재조사 기반조성 연구: 지적재조사 비용 절감 방안).
  14. Neumann, K. 2011. The Z/I DMCII: imaging revolution. In: Photogrammetric Week 2011 (Fritsch, D. ed.). Wichmann Verlag, Heidelberg, Germany, pp.97-101.
  15. Park, C.Y. 2013. Accuracy analysis of parcel demarcation using high resolution aerial images in combination with airborne LiDAR data. Ph.D. Thesis. Dong-A University. Korea (박치영. 2013. 고해상도 항공영상과 항공 LiDAR자료를 이용한 필지경계 설정 정확도 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Park, C.Y. and J.O. Lee. 2015. Parcel boundary demarcation in residential area using high resolution aerial images.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3(1):59-68 (박치영, 이재원. 2015. 고해상도 항공영상을 이용한 주거지역 필지경계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정보학회지 23(1):59-68).
  17. Park, S.K., J. Kim, K.J. Lee and M.H. Jo. 2013. Analysis of land use change within four major river areas using high-resolution air-photographs: the case of the Nakdong River basi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4): 171-188 (박수국, 김진, 이길재, 조명희. 2013. 고해상도 항공사진을 이용한 4대강 하천구역내 토지이용변화 분석 - 낙동강 유역을 사례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6(4): 171-188). https://doi.org/10.11108/kagis.2013.16.4.171
  18. Wagner, R. 2011. Leica ADS80 and Leica Xpro: a total solution for photogrammetric mapping. In: Photogrammetric Week 2011 (Fritsch, D. ed.). Wichmann Verlag, Heidelberg, Germany, pp.7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