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리지

Search Result 58,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Regional Characteristics of $Che{\breve{o}}n$ during the Late $Chos{\breve{o}}n$ Era as Seen through the <$Y{\breve{o}}jitos{\breve{o}}$> ("여지도서"를 이용한 조선후기 제언의 지역적 특성 연구)

  • Jung, Chi-Young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3 no.4
    • /
    • pp.620-637
    • /
    • 2008
  • $Che{\breve{o}}n$ (提堰) refers to the irrigation facilities used to provide water to the land on which rice is farmed. As the maintenance of $Che{\breve{o}}n$ required great amounts of capital, labor, and technology, th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such facilities was controlled by the government. $Che{\breve{o}}n$ was perceived as being of particular importance during the $Che{\breve{o}}n$ era, which adopted agriculture as the basis of state management. Therefore, the management of $Che{\breve{o}}n$ wa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ain state policies. This is why $Che{\breve{o}}n$-related records can often be found in the historical documents written during the $Che{\breve{o}}n$ era. As such historical documents in the form of Jiriji (地理誌, geographical descriptions) include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number, size, and location of $Che{\breve{o}}n$ in individual counties($kunby{\breve{o}}n$), these help to conduct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state of $Che{\breve{o}}n$ during the $Che{\breve{o}}n$ era. Based on these facts, this study attempts to establish a database of the $Che{\breve{o}}n$-related contents included in the <$Y{\breve{o}}jitos{\breve{o}}$(與地圖書)> published during the latter period of $Che{\breve{o}}n$, and using the established database, to identify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Che{\breve{o}}n$. More precisely, by analyzing the state of the distribution of $Che{\breve{o}}n$ at the national level, an effort was made to review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Che{\breve{o}}n$ in terms of their distribution and of the natural geographical conditions found in the locales where $Che{\breve{o}}n$ were located, as well as of the interrelation between such $Che{\breve{o}}n$ and socioeconomic factors such as the scale of the population and the size of the area under cultivation. Other factors which were delved into included matters related to the size of $Che{\breve{o}}n$ such as their perimeter, length, and scale of the area which they irr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es where $Che{\breve{o}}n$ were located, and the regional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Che{\breve{o}}n$.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Waterscape Elements from the Chapter 「Sancheon」 of the Volumes Gyeongsang-province in 『Sinjeung Donggukyeojiseungram』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경상도편 「산천(山川)」 항목에 수록된 수경(水景) 요소의 특징)

  • Lim, Eui-Je;So, Hyun-Su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4 no.2
    • /
    • pp.1-15
    • /
    • 2016
  • This study aims at the consideration of the usages of traditional waterscape elements, which are difficult to define their concepts and their differences and it has been proceeded mainly with analysis of literature. It elicited various waterscape types by extracting the place names associated with the watersacpe elements from the chapter "Sancheon" of the volumes Gyeongsang-province in "Sinjeung Donggukyeojiseungram", which is a government-compiled geography book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and drew the features of each waterscape element by interpreting the dictionary definition and the original text and studying the similar examples. The results of study are drawn as follows. 1. The chapter "Sancheon" includes 22 types of waterscape elements and they are classified by means of locations and water-flow forms: River Landscape, Lake & Pond Landscape, Coast landscape. 2. River landscape maintaining constant natural water-flow constitutes the linear type, related to the class of stream, which includes 'Su(water)', 'Gang(river)', 'Cheon(stream)' and 'Gye(brook)' and the dotty type, created by the nature of trenched meander rivers, which includes 'Tan(beach)', 'Roe(rapids)', 'Pok(waterfall)' and 'Jeo(sandbank)'. 3. Lake & Pond Landscape forming water collected in a certain area constitutes 'Ho(lake)', which is a broad and calm spot created around mid and down stream of river, 'Yeon(pool)', 'Dam(pond)', 'Chu(small pond)', which are naturally created on the water path around mid and down stream of river, 'Ji(pond)', 'Dang(pond)', 'Taek(swamp)', which is collected on a flatland and 'Cheon(spring)', 'Jeong(spring)' which means gushing out naturally. 4. Coast Landscape includes 'Ryang', 'Hang', which are the space between land and an island or islands, 'Got(headland)' which sticks out from the coast into the sea, 'Jeong(sandbank)' which forms sandy beaches and 'Do' which shows high appearance frequency by reflecting the geographical importance of islands. This study comprehended the diversity of traditional waterscape elements and drew the fact that they are the concept reflecting the differentiated locational, scenic and functional features. That way, it understood the aesthetic sense on nature, which ancestors had formed with the interests in natural landscape and the keen observation on it, became the basic idea elucidating the characteristic on Korean traditional gardens, which minimize the artificiality and make nature the subject.

Resilience of Cultural Heritage by Integrating Historic Maps and Geospatial Information (고지도와 시계열 공간정보를 활용한 문화재 리질리언스에 대한 연구)

  • Bae, Junsu;Yang, Yunjung;Choi, Yoonjo;Kim, Sangky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9 no.6
    • /
    • pp.945-954
    • /
    • 2019
  • Cultural property is a valuable asset that connects the past with the present, and cultural heritage is now included in the international agenda of disaster risk reduction. Accordingly, the importance of building resilience of cultural assets has been on the rise, and the necessity of spatial information has been emphasized in building resilience. Therefore, in this study, A methodology for studying the resilience contained in cultural assets through linkage with historical map and time series spatial information is proposed and the proposed methodology was applied to cultural assets located in Gongju area. Georeferencing was performed on time-series images of aerial images and topographical map, and the changes in cultural assets and surrounding areas were found. The width of the river has changed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Keum River Estuary Dam and the dammed pool for irrigation. Nevertheless, the main cultural assets and monuments are located in the high-altitude area and thus have been well preserved. In this study, cultural property resilience was extracted using only map data and in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to extract cultural property resilience through analysis of historical records such as geography.

Progress and Prospect of Research on Old Maps in Korea (우리나라 고지도의 연구 동향과 과제)

  • Kim, Ki-Hyu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3 no.3
    • /
    • pp.301-320
    • /
    • 2007
  • In Korean academic societies, old maps has not yet been properly investigated in terms of their genealogy, classification, detailed place names, historical backgrounds and the other aspects. With publication of the bibliographies and papers on old maps reserved in museum and library, the scope of research enlarged gradually its scope from 1970s. In 1980s, with the development of theoretical geography, scientific analysis were applied to investigate the projection method of Daedongyeo-jido. The 1990s proved a prominent decade for researches. The photo-copies of old maps enabled researchers to investigate the in-depth comparative study. The more important thing is that old maps became to be powerful instrument in the research of historical geography, such as territorial disputes and marine name(東海). And county old maps compiled by region became to be regional-cultural contents of local areas. Important issues in old map research in Korean academic societies are about Cheonha-do which is unique old world map in Korea, grid-system projection in old county maps and the genealogy of Daedongyeo-jido(manuscript and block print edition). This study shows that bibliography of all old maps preserved in each library and museum should be standardized. This could enable the exchange of information of old maps between institutes. The more important thing is that conciliation of human, social and natural sciences should be applied in the research of old maps.

  • PDF

Study on the Method for Data Interpolation using the Correlation among Runoff, Water Quality Concentration and Load (유출량, 수질 농도 및 부하량의 상호관계를 이용한 자료보간 방법에 관한 연구)

  • Oh, Chang-Ryeol;Jung, Woo-Cheol;Jin, Young-Hoon;Park, Sung-C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474-1478
    • /
    • 2007
  • 수문 및 수질자료는 일정한 기준에 의한 관측치를 시계열 자료로 기록하거나 전송할 때 다양한 형태의 오차가 발생하게 되며 또한 수문 및 수질자료를 관측하는 측정기기의 고장과 유지관리 등의 어려움으로 다양한 형태의 결측 자료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수문 및 수질자료는 시공간적 변동성이 크며 비선형성이 강한 특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수문 및 수질 자료를 이용하여 모형을 구축할 경우 다양한 형태의 잡음에 대한 검증 및 잡음저감이 필수적 요건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 유역의 본류부를 대표하는 나주지점에 대한 유출량과 총유기탄소(TOC) 농도 및 TOC 부하량 예측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위한 방법으로는 잡음저감을 위하여 웨이블렛 변환과 인공신경망을 적용하였다. TOC 부하량 자료는 유출량과 TOC 자료간의 함수로서 표현이 가능함에 따라 유출량 및 TOC 자료가 결측되었을 경우 역함수에 의한 계산으로 결측 자료에 대한 보간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안점은 잠음 저감 및 인공신경망에 의해 최적화된 예측 모형이 결측된 유출량과 TOC 자료에 대한 역함수로 정도있는 유출량과 TOC 자료 생성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적용 결과, 유출량 자료가 결측되었을 경우 TOC 및 TOC 부하량 예측으로 유출량 자료에 대한 간접추정 및 결측 자료에 대한 보간의 정도를 평가한 결과 $R^2$는 0.99 이상의 값을 보였다. 또한, TOC 자료가 결측되었을 경우 역시 $R^2$는 비교적 우수한 0.97 이상의 값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출량 및 TOC, TOC 부하량 예측모형의 개발은 정도있는 유출량 및 TOC 수질 자료의 생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한 물순환 해석을 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 하였으며, 가용한 장 단기간의 관측자료와 물수지 분석 연산식의 추정치를 바탕으로 관측자료에 의한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로 산지 소하천 유역인 설마천 시험유역의 각 수문요소의 물이동간의 정량적인 값을 알 수가 있었으며, 앞으로 추가적이고 지속적인 수문모니터링이 운영되고 물순환 해석 모형에 의한 검증이 수행된다면 정량적인 물순환 관계를 규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수문요소기술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절한 타협과 조정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절제의 한계를 넘어선다고 생각되거나, 조정의 노력이 불가능하거나, 실패했을 때 폭력적인 행동으로 나타나게 된다. 리차즈(I.A Richards)는 분노와 공포는 일단 겉잡을 수 없는 경향이 있다고 하면서 오늘날 폭력에 대한 요구가 일상의 정서 생활에 있어, 억압을 통한, 빈곤함을 반영하고 있지 않은지 생각해봐야 할 것이라고 충고한다. 조성 가이드라인(안)을 제시하였다.EX>$\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lrcorner$(東國與地勝覽) 에서는 자기소와 도기소의 위치가 완전히 삭제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첫째, 15세기 중엽 경제적 태평과 함께 백자의 수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자의 확대와 발전에 걸림돌이 되었다. 둘째, 동기(銅器)의 대체품으로 자기를 만들어 충당해야할 강제성 당위성 상실로 인한 자기수요 감

  • PDF

Effects of weir on the change of water quality (하천수계의 보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 Cho, Yong-Chul;Ahn, Hong-Kyu;Woo, Hyo-Seop;Oh,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033-1037
    • /
    • 2007
  • 하천의 수위를 유지하거나 농업용수를 취수할 목적으로 현재 국내에 약 18,000개 정도의 크고 작은 보가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보 중에는 극히 일부에 어도와 같은 생태통로가 인위적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매우 미미한 수준이다. 더욱이 도시 인구 집중황 따른 도심부의 확대로 인한 농경지의 도시화, 경작 방식의 변화에 의한 논농사 위주에서 비닐하우스 단지로의 변화와 같은 토지이용의 변화, 대형 저수지의 축조/양수장 설치 등에 따른 취수 시설물의 통합, 시설의 노후화 등으로 매년 50-150개 정도의보가 폐기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폐기되는 보는 하천에 그대로 방치되어 하천생태통로의 단절, 수질악화, 수변 서식처악화 등의 문제를 지속적으로 야기시키고 있다. 연구지역은 경기도 고양시 곡릉천 곡릉2보로 선정하여 보 철거전 과 보 철거 후의 모니터링을 통한 수질분석을 시행하였다. 곡릉2보는 과거 취수용 보로 이용되었으나 주변지역 토지이용 변화로 용도를 상실한 보이다. 보 철거 전에는 보로 인한 보 상류 지역에 퇴적물이 쌓이면서 정체구역이 생기고 부유물질이 많아지면서 수질 악화를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보 철거 후에는 화학적으로 상류 하류지점에서 SS 및 BOD의 농도가 감소하여 전체적으로 수질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 철거에 따른 수질분석에 대한 연구는 아직 진행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그 주변에 대한 상세한 이론은 아직 미미하다. 따라서 현재 국내외 보의 현황 및 보 철거 기술을 조사하고, 우리나라의 조건이 다른 보를 선정하여 하천의 보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의 보 관리방안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를 제시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는 이러한 가이드라인을 실제로 현장에 적용하고 있으며 조성효과가 정성적으로 검증되었고 정량적인 관계 도출을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수질개선 및 생태서식처 조성, 하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관련 정책이 꾸준히 제시되고 있다. 한 예로 정부에서는 수변구역을 지정 고시하여 상수원으로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고 생태서식처를 조성함으로써 양질의 상수원과 건전한 생태계를 확보하기 위한 제도를 시행 중이다. 수변 구역의 범위는 한강수변구역의 경우 약 $500{\sim}1,000m$로 설정되어 있으나 아직까지는 관리적 성격이 강하며, 향후에는 구체적인 조성방안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 수변구역 내에 미국의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수변완충지대의 물리적 조건과 국내 지역 토착식생을 적용하여 시험완충지대를 조성하였고, 실험조건 하에서 그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 검증한 결과와 외국사례를 분석하여 국내여건에 맞는 수변완충지대 조성 가이드라인(안)을 제시하였다.EX>$\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lrcorner$(東國與地勝覽) 에서는 자기소와 도기소의 위치가 완전히 삭제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첫째, 15세기 중엽 경제적 태평과 함께 백자의 수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자의 확대와 발전에 걸

  • PDF

Asymptotic Variance of Flood Quantiles from the Generalized Logistic Distribution using the Method of Maximum Likelihood (Generalized Logistic 분포형의 최우도법을 이용한 확률홍수량의 근사적 분산)

  • Shin, Hong-Joon;Heo, Jun-Haeng;Kim,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522-1526
    • /
    • 2007
  • 최근 영국의 Institute of Hydrology에서는 Generalized logistic (GL) 분포형을 홍수빈도해석시 GEV 분포형을 대체하는 분포형으로 추천한 바 있으며, 그로 인해 GL 분포형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아직 그 사용빈도에 반하여 분포형 자체의 특성, 그 중에서도 확률홍수량의 근사적 분산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우도법을 이용하여 GL 분포형의 확률홍수량에 대한 근사적 분산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표본 크기, 재현기간, 매개변수들의 함수로 나타내었다. 또한 확률홍수량의 근사적 분산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Monte Carlo 모의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모의실험은 형상 매개변수$(\beta)$$\pm0.5$이면 gamma function으로 인하여 표본 크기에 관계없이 분산값이 무한대에 가까워지므로 형상매개변수의 범위는 $-0.5{\leq}{\beta}{\leq}+0.5$로 제한하였다. 모의결과 최우도법에 의해 계산된 분산식은 형상매개변수 $-0.25{\leq}{\beta}{\leq}+0.5$의 범위에서 비교적 잘 맞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기존에 알려진 대로 표본크기가 크면 클수록 정확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본크기가 작은 경우 형상매개변수 전 범위에서 정확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최우도법의 경우 표본크기가 작은 경우를 제외하고 $-0.25{\leq}{\beta}{\leq}+0.5$ 범위에서 quantile 산정시 quantile이 약간 과다추정되는 경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분산이 과다 추정되는 결과를 초래하며 이로 인해 해석해보다 약간씩 큰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이 극단적인 선정적인 폭력성에 탐닉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현실은 결코 아름답지 못하고, 행복하게 살 수 없다는 것에 대한 깨달음에서 기인한다. 욕구불만의 강도가 심해질수록 폭력성은 더욱 강하게 나타나는데 개인에게서 뿐만 아니라 가족, 동료, 사회 단체나 종교, 국가간에도 집단적으로도 발생하게 된다. 사회적으로 볼 때 폭력은 용인되는 것이 아니므로 도덕적으로 절제를 하거나 상대방과 적절한 타협과 조정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절제의 한계를 넘어선다고 생각되거나, 조정의 노력이 불가능하거나, 실패했을 때 폭력적인 행동으로 나타나게 된다. 리차즈(I.A Richards)는 분노와 공포는 일단 겉잡을 수 없는 경향이 있다고 하면서 오늘날 폭력에 대한 요구가 일상의 정서 생활에 있어, 억압을 통한, 빈곤함을 반영하고 있지 않은지 생각해봐야 할 것이라고 충고한다. 조성 가이드라인(안)을 제시하였다.EX>$\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lrcorner$(東國與地勝覽) 에서는 자기소와 도기소의 위치가 완전히 삭제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첫째, 15세기 중엽 경제적 태평과 함께 백자의 수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자의 확대와 발전에 걸림돌이 되었다. 둘째, 동기(銅器)의 대체품으로 자기를 만들어 충당해야할 강제성 당위성 상실로 인한 자기수요 감소를 초래하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경기도 광주에서 백자관요가 운영되었으므로 지방인 상주지역에도 더 이상 백자를 조달받을 필요가 없이, 일반 지방관아와 서민들의

  • PDF

Pollution Status for Agricultural Reservior in Chungbuk Province (충북지역 농업용 저수지의 오염실태 조사연구)

  • Oh, Kwang-Young;Kim, Jin-Soo;Song, Chang-Sub;Kwon, Sung-Ill;Song, Chul-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987-992
    • /
    • 2007
  • 충청북도 내의 농업용 저수지중 26개소를 선정하여 관개초기, 홍수기 및 비관개기의 연 3회에 걸쳐 저수율을 파악하고 채수를 실시하였다. 또한, 현장(수온, pH, DO, EC)과 실내 수질분석(Cd, As, Cn, Hg, 유기인, Pb, $Cr^{+6}$ PCB, ABS, COD, SS, TP, TN)을 실시하여 저수지의 오염도를 평가하였다. 저수율 측정결과, 홍수기(97%)가 관개초기(72%)나 비관개기(66%)보다 높게 나타났다. pH 값의 측정결과, 수질기준$(6.0{\sim}8.5)$을 만족하고 있는 저수지의 비율은 35%(9개소)의 낮은 값을 보였다. EC와 DO 및 SS농도의 측정결과, 거의 모든 저수지에서 수질기준을 만족하고 있었으며, COD, TN, TP농도 측정결과, 수질기준 만족도는 관개초기 100%, 홍수기 81%, 비관개기 65%로 나타나, 저수량이 많은 관개초기보다 저수량이 적은 비관개기에 질소와 인의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사람의 건강항목(CN, Hg, 유기인, PCB, Cd, 비소As, Pb, $Cr^{6+}$, ABS)은 모든 저수지에서 관개 초기, 홍수기 및 비관개기에 모두 수질기준을 만족하였다. 점오염원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저수지 상류유역에 있는 마을하수도를 정비하고, 축산분뇨처리시설 등을 설치하여 저수지로의 유입부하량을 저감할 필요가 있다. 또한, 비점원오염을 관리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질소농도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용존성 성분을 제공하는 비료의 시용량을 줄여야하며, TP농도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강우시 입자성 인의 유출을 제어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비가 많이 오는 여름철에 나지(裸地)나 밭에 식생이나 멀칭(mulching) 등으로 토양침식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가용한 장 단기간의 관측자료와 물수지 분석 연산식의 추정치를 바탕으로 관측자료에 의한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로 산지 소하천 유역인 설마천 시험유역의 각 수문요소의 물이동간의 정량적인 값을 알 수가 있었으며, 앞으로 추가적이고 지속적인 수문모니터링이 운영되고 물순환 해석 모형에 의한 검증이 수행된다면 정량적인 물순환 관계를 규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수문요소기술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절한 타협과 조정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절제의 한계를 넘어선다고 생각되거나, 조정의 노력이 불가능하거나, 실패했을 때 폭력적인 행동으로 나타나게 된다. 리차즈(I.A Richards)는 분노와 공포는 일단 겉잡을 수 없는 경향이 있다고 하면서 오늘날 폭력에 대한 요구가 일상의 정서 생활에 있어, 억압을 통한, 빈곤함을 반영하고 있지 않은지 생각해봐야 할 것이라고 충고한다. 조성 가이드라인(안)을 제시하였다.EX>$\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lrcorner$(東國與地勝覽) 에서는 자기소와 도기소의 위치가 완전히 삭제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첫째, 15세기 중엽 경제적 태평과 함께 백자의 수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자의 확대와 발전에 걸림돌이 되었다. 둘째, 동기(銅器)의 대체품으로 자기를 만들어 충당해야할 강제성 당위성 상실로 인한 자기수요 감소를 초래하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경기도 광주에서 백자관요가 운영되었으므로 지방인 상주지역에도 더 이

  • PDF

농촌어메니티에 기초한 농촌자원의 중요도 평가 및 순위적 관계 분석

  • 박창석;전영옥;조영국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2.05a
    • /
    • pp.120-123
    • /
    • 2002
  • 본 연구는 농천어메니티의 개념을 토대로 농촌주민과 도시민의 가치라고 할 수 있는 정주기능으로서의 생활자원화와 방문가치로서의 관광자원화로 구분하고, 이를 토대로 도시민과 농촌주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농촌자원의 중요도와 순위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자원을 자연적 자원과 문화적 자원, 사회적 자원으로 구분하여 37개 자원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농촌자원은 농촌어메니티를 형성하거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대상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이러한 농촌자원은 농촌주민과 도시민이 지닌 가치에 기초하여 생활자원적 가치와 관광가치적 가치를 동시에 혹은 차등적으로 지닐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은 농촌자원에 대한 중요도 평균에 대한 차이검증(t-test)을 수행한 결과 전체 자원의 56.8%에 해당하는 21개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결과에 의해 지지를 받는다. 셋째, 농촌자원에 대한 순위적 상관관계분석에서도 전문가와 전체집단에서 생활자원과 관광자원에 대한 순위상관관계가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위의 두번째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농촌자원의 개발 방향과 가치부여가 자원의 속성에 따라 차등적으로 진행되어져야 함을 보여준다. 다섯째, 농촌자원의 유형을 생활자원화와 관광자원화에 대한 중요도의 표준화 점수에 기초하여 4개 유형(유형 I~IV)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유형별 자원중요도를 고려하여 농촌마을의 개발목적에 비추어 생활자원형이나 관광자원형과의 연계를 통해 마을의 정체성과 특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요약 및 결론에서 발췌)를 고지도와 지리지.읍지를 통하여 살펴봄으로써 변한 것과 변하지 않는 것을 분석하여 시대상의 복원과 지역사회의 정체성 확립에 일조하고자 한다.곡물의 여러 줄기가 합수하고 물이 역류하지 않으며 잘 감아도는 곳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명당의 기본적인 원리는 장풍(藏風)과 득수득파(得水得破)이다. 장풍과 득수란 '국'(局), 즉 산줄기와 수계로 이루어진 일정한 범위 속에 만물이 생태계 속에서 살아가는 모습인 '체형(體形)'의 의미가 나타나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의미는 시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면적의 52%를 점유하여 감자 재배지의 핵심지를 이룬다. 4. 한국 감자 재배지역 중심지의 지리적 특징은, 높은 산지지역의 산록완사면에 밭작물로 재배된다는 점과 교통이 불편한 지역으로서 도시화와 산업화 지역의 그늘 지역이 대부분이다. 강원도의 감자 재배지는 감자재배에 적합한 자연환경과 화전농업의 전통, 감자 재배기술의 전파,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지원하는 각종 연구소 분포와 영농지도, 씨감자 생산과 협동조합의 판로 개척, 도로 개설과 포장 등의 인문지리적 요인이 영농조건을 개선하고 감자 판매를 위한 시장접근을 용이하게 하여, 남한 최대의 감자 재배지역을 형성하였다. 제주도는 산지지형과 따뜻한 기온으로 2기작이 가능하고, 감자가공 공장설립과 교통발달에 따른 육지 시장과의 접근이 용이해졌기 때문에 남한에서 2번째로 큰 감자재배지역이 되었다.(요약 및 결론에서 발췌)그람양성균에서 효과적이었으며, 농도별 항균력시험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저해율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첨가농도를 달

  • PDF

The Study on the Contexts and Place Names in Old County Maps of Goryeong-hyeon(高靈縣) in Late-Joseon Dynasty (조선 후기 고령현 군현지도의 계열별 특성과 고지명 연구)

  • Kim, Ki-Hyu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5 no.1
    • /
    • pp.16-35
    • /
    • 2009
  •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contexts and old place names in old county maps of Goryeong-hyeon(高靈縣) according to the four types of maps. 23 maps covering Goryeong-hyeon were collected from the old county-map atlas(郡縣地圖帖) and Eupji(邑誌). The first type(named 'picture county map') included 8 county-maps in which information of military, and administrative contents are mainly mapped. The second type(named '1-ri grid system map') included 4 county maps in which information about beacon routes and road systems were regarded as very important. The third type(named '20-ri grid-system map(方眼地圖)' included 4 county-maps which were drawn as same scale with 20-ri(里) grids. The fourth type(named 'local county-map(地方郡縣地圖)' included 5 county maps which were drawn by local mappers. Types of toponyms which were included in maps are different by the propose of map-drawing. In the picture county maps, place names from military, and administrative contents are written. In the 1-ri grid system county maps, place names especially from military and transportation are fluent. In the 20-ri grid system county maps, generic name from natural environment, such as mountains are very fluent. In the local county maps, city-walls and castles are drawn exaggeratively and detailed generic name from warehouses and villages are written in those maps. This study shows that Daedongyeo-jido was drawn on the basis of 20-ri grid system county maps with the supplementation of geographical inform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