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도 축척

Search Result 29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Study on Tile Map Service of High Spatial Resolution Image Using Open Source GIS (Open Source GIS를 이용한 고해상도 영상의 Tile Map Service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Jeong, Myeong-Hun;Suh, Yong-Cheol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7 no.1
    • /
    • pp.167-174
    • /
    • 2009
  • A Tile Map Service is a regular map service that has been enhanced to serve maps very quickly using a cache of static images. The map cache is a directory that contains image tiles of a map extent at specific scale levels. Returning a tile from the cache takes the server much less time than drawing the map image on demand. Use of a Tile Map Service can dramatically improve the time that clients take to display complex base-maps. Using Tile Map Services thus eliminate the need to trade quality for performance. This study provides a way to construct Tile Map Service System using Open Source GIS. We used GDAL(Geospatial Data Abstraction Library) which is one of the Open Source GIS Softwares to make Tile Map Image and OpenLayers to publish Web Page. Moreover, We conducted a performance test on Tile Map System and Dynamic Map System and evaluated the results of it. As a result, the proposed method makes it easier to construct high performance Tile Map Service using Open Source GIS without commercial products.

  • PDF

극지공학에 있어서 산학연구의 국내외 전망 I

  • 최경식
    • Bulletin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2 no.5
    • /
    • pp.27-32
    • /
    • 1995
  • 최초 19세기말 빙해역으로 둘러싸인 북유럽의 핀랜드 등지에서 쇄빙선을 건조하는 경험으로부터 출발하여 이제는 북극해 연안의 해저자원 개발과 더불어 극한지에 관한 종합적인 학문의 형태로 변모하고 있다. 이미 선진제국에서는 양극지방의 환경자료와 함께 상당한 양의 극한지 실험결 과를 축척하고 있다. 앞으로 개발의 손길을 기다리는 세계 도처의 빙해지역에서 막대한 양의 해저석유자원이 얻어질 것이라고 확신한다. 우선 시베리아 천연자원의 개발사업 같은 국내의 극지관련 기술수요를 창출하는 것이 급선무이지만 그와 함께 극지 자원 개발에 필요한 구조물의 제작이나 설치, 운용 등 외국으로부터의 기술수요에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 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우리 나라의 제반 경제여건에 맞는 기술부분에 계획적이고도 집중 적으로 투자하는 것만이 효율적인 해결책일 것이다. 이와 함께 선진국의 앞선 극지관련 기술을 습득하기 위한 인적교류를 확대하고 국내에서도 극지공학에 관련된 기술인력을 계속 확보하는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극지개발은 이론적 접근과 함께 실험에 의한 신뢰성 있는 자료를 축 적해야 한다. 국내의 조선해양산업의 경험과 기술수준으로 판단 할 때 극지관련 공학기술을 가장 빨리 정립할 수 있는 분야는 극지용 해양구조물과 빙해항행선박의 설계 및 건조기술이라 볼 수 있다.

  • PDF

An Evaluation of Hydraulic Influence Caused by Tree Planting on Flood Plain through Field Survey (현장조사를 통한 고수부지 내 수목 식재의 수리적 영향 평가)

  • Kim, Chang-Wan;Cheong, Sang-Hwa;Lee, M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264-126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2002년부터 2004년까지 3년에 걸쳐 한강고수부지(반포지구)에서 수목 식재에 따른 수리적 영향을 수치모형 및 현장조사를 통하여 평가하였다. RMA-2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수목 식재전$\cdot$후로 수위는 3 cm 증가하고 유속은 4 cm/s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식재로 인한 수리량의 변화는 매우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조사를 통해 얻은 실측자료도 홍수 시 수목 식재에 의한 하천수리특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매년 홍수기간 동안 보여 지는 침수양상에 따라 수리특성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지속적인 자료 수집을 통하여 다양한 침수상황에 다른 기초 수리자료를 축척하고 정밀 분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현장조사 및 수치모형 결과와 비교$\cdot$분석하여 상호보완 할 필요성이 있다.

  • PDF

Image Restoration Using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 (편미분 방정식을 이용한 이미지 복원)

  • Joo, Ki-Se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0 no.12
    • /
    • pp.2271-2282
    • /
    • 2006
  •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simulation issues arising in the PDE-based image restoration such as the total variation minimization(TVM) and its generalizations. In particular, we study the issues of staircasing and excessive dissipation of TVM-like smoothing operators. A strategy of scaling the algebraic system and a non-convex minimization are considered respectively for anti-staircasing and anti-diffusion. Furthermore, we introduce a variable constraint parameter to better preserve image edges. The resulting algorithm has been numerically verified to be efficient and reliable in denoising. Various numerical results are shown to confirm the claim.

A study of an automatic goo-referencing method of a building's site plan CAD data using a parcel contour from attached cadastral maps (연속 지적도의 필지 경계선을 이용한 배치도 CAD자료의 자동 좌표부여 방법에 대한 연구)

  • Huh, Yong;Yu, Ki-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266-267
    • /
    • 2008
  • 건설도면 CAD자료와 GIS자료를 연계하기 위해서는 임의의 좌표체계와 축척으로 표현된 건설도면 CAD 자료를 GIS 자료의 지도좌표로 변환하기 위한 과정 이 수행되어 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준공과정에서 제출되는 건축물 CAD배치도상의 인접대지경계선 폴리곤과의 연속지적도상의 개별 필지 경계선의 형상 정합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좌표변환에 필요한 변수를 도출해 보았다. 이렇게 도출된 변환함수를 배치도면상의 건물경계선과 같은 다른 객체에 적용함으로써 개별 CAD자료를 GIS 자료에 연계할 수 있는 실좌표 부여 방법을 적용하고 평가해 보았다.

  • PDF

Development of monitoring system for UAV image acquisition and Accuracy Analysis of Orthophoto Mosaic image (UAV 영상획득 모니터링시스템 개발과 정사영상 정확도 분석)

  • Han, Se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65-66
    • /
    • 2014
  • 좁은지역에 대한 지형정보의 획득은 저고도 UAV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최근 자동항법 UAV의 발전은 저고도 고해상도 영상을 원하는 주기로 얻을 수 있어 많은 분야에 응용하고 있다. 이러한 UAV시스템은 지상관제센터와 비행체 간의 긴밀한 통신이 이루어져야 하며 촬영 중 영상의 획득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NASA가 개발한 Worldwind를 커스터마이징하여 실시간 영상획득 모니터링 s/w를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시스템을 이용하여 정사영상 모자익을 실시하였으며 이에대한 정확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검사점에 대해 정사모자익영상의 수평위치 정확도를 분석한 결과 X좌표에서 평균 0.181m, Y좌표에서 평균 0.203m의 편차를 보임으로써 1:1,000~5,000축척의 수치지도제작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Large Scale Digital Mapping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응한 대축척 수치지도 제작에 관한 연구)

  • 윤홍식;조재명;조정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3.04a
    • /
    • pp.321-326
    • /
    • 2003
  •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and to apply the methods of making 1:5,000 scale maps using 1m resolution stereo images of IKONOS for the Munsan area of Paju-city where aerial photo surveying cannot possible because of security conditions. GCP(Ground Control Point) were acquired from GPS surveying and were to perform geometric corrections on images. Digital Map used IKONOS stereo images and it worked from the digital analytical stereoplotter. From field investigation, RMSE errors of the plane and vertical positions are estimated to 1.706m and 1.231m, respectively. The plane accuracy is better than an accuracy required by NGIS (national GIS) programs. Local information from field investigation was added and the resulting maps should be good as digital map under the scale of 1/5,000.

  • PDF

A Study on the Technique of Automated Mapping for Facility Management System (시설물 관리체계를 위한 도면자동화 기법에 관한 연구)

  • 박운용;차성렬;김진수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5 no.2
    • /
    • pp.149-156
    • /
    • 1997
  • This study extracts the several informations by computerizing the maps of the new city, i.e. Yang-San, MuI-Gum. This cities are being constructed by Land Coporation, and a map of province based on 1:50,000 scales were digitalized depending on topography by digitizer. Several information was taken, by computerizing a existing design maps, with digitalized maps used. Also, there is map number based on each scale, and measure a settlement of the foundation for constructing a facility in a study region, then intend to use information. This paper aims at using old data such as ancient writing books by computerization permanently.

  • PDF

A Study on Feature Classification System of Small Scale Digital Map (소축척 수치지도 지형지물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 조우석;박수영;정한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3.04a
    • /
    • pp.357-364
    • /
    • 2003
  • National Geography Institute(NGI, National mapping agency) has been producing national basemap in automated process since middle of 1980's toward the systematic and efficient management of national land. In 1995, Korean government initiated a full-scale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NGIS) Development Plan. Under the NGIS Development Plan, NGI began to produce digital maps in the scales of 1:1,000, 1:5,000, 1:25,000. However, digital maps of 1:250,000 or less scale, which are currently used for national land planning, were not included in NGIS Development Plan. Also, the existing laws and specifications related to digital maps of 1:250,000 or less scale are not clearly defined.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 feature classification system, which defines features that should be represented in digital map of 1:250,000 or less scale.

  • PDF

수리모형실험을 이용한 청계천 복원 건설 공시의 수리 안정성 검토

  • 노영신;윤병만;송재우;윤세의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947-951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청계천 복원에 따라 새로이 설계된 하도의 치수안정성을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검증하는 것이다. 실험 모형은 태평로 입구로부터 신답철교까지 청계천 복원 5.8km 전구간을 대상으로 평면 1/100, 면적 1/40의 축척으로 제작하였으며, 실험은 치수안정성 검토 및 대안 제시와 홍수시 하도와 벼수구의 유량 분배 효과의 검토에 중점을 두어 실시되었다. 치수 안정성 검토를 위해 청계천 복원으로 인한 홍수시 수위 및 유속변화 등의 흐름변화를 파악하였으며 홍수량 소통 가능 여부와 구조를 영향에 회한 월류 문제 등을 파악하여 대안을 제시하였다. 실험 결과 200년 빈도 홍수시에 본류와 개구부에 관로 미설치시 본류는 제법 여유고가 확보되나 좌${\cdot}$우안 관로의 경우 전체구간에서 만관이 발생하며, 토구의 흐름 지체 및 역류현상이 나타났다. 이는 체내지에 침수의 해를 줄 것으로 예상되므로 안정성 확보를 위해서는 개구부 및 비상 개구부를 추가로 설치하여 관로 만관에 따른 침수피해를 예방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