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도 정확도

Search Result 12,104,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Comparison of slope degrees between Digital Map and Measurement value (수치지도와 측량값의 경사 정확도 비교)

  • Kim, Jun-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116-116
    • /
    • 2010
  • 오늘 날, 수치지도는 모든 정보시스템의 기초자료로서 그 가치가 높으며 사회시스템을 구축 관리하는데 있어 수치지도 활용도가 보다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은 수치지도와 측량값의 경사 분석 데이터를 비교하여, 수치지도를 통해 경사값을 분석하는데 있어 그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지도의 경사 정확도에 대한 국내 및 국외의 기준을 제시하고 ArcView를 이용한 경사분석값과, 측량기기를 이용한 실측값을 비교하여 수치지도의 경사 정확도를 분석하는 단계로 진행할 것이며, 도심지역에서 제공되는 1:1000, 1:5000 지도를 이용하여 각 축척별로 경사에 대한 오차율을 밝히고 통계값을 제시하는 순서로 진행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실측을 통하지 않고 수치지도만으로 경사를 분석하는 경우, 그 신뢰성을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PDF

Depth-Map Generation using Fusion of Foreground Depth Map and Background Depth Map (전경 깊이 지도와 배경 깊이 지도의 결합을 이용한 깊이 지도 생성)

  • Kim, Jin-Hyun;Baek, Yeul-Min;Kim, Whoi-Y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07a
    • /
    • pp.275-278
    • /
    • 2012
  • 본 논문에서 2D-3D 자동 영상 변환을 위하여 2D 상으로부터 깊이 지도(depth map)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보다 정확한 깊이 지도 생성을 위해 영상의 전경 깊이 지도(foreground depth map)와 배경 깊이 지도(background depth map)를 각각 생성 한 후 결합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깊이 지도를 생성한다. 먼저, 전경 깊이 지도를 생성하기 위해서 라플라시안 피라미드(laplacian pyramid)를 이용하여 포커스/디포커스 깊이 지도(focus/defocus depth map)를 생성한다. 그리고 블록정합(block matching)을 통해 획득한 움직임 시차(motion parallax)를 이용하여 움직임 시차 깊이 지도를 생성한다. 포커스/디포커스 깊이 지도는 평탄영역(homogeneous region)에서 깊이 정보를 추출하지 못하고, 움직임 시차 깊이 지도는 움직임 시차가 발생하지 않는 영상에서 깊이 정보를 추출하지 못한다. 이들 깊이 지도를 결합함으로써 각 깊이 지도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선형 원근감(linear perspective)와 선 추적(line tracing) 방법을 적용하여 배경깊이 지도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전경 깊이 지도와 배경 깊이 지도를 결합하여 보다 정확한 깊이 지도를 생성한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방법은 기존의 방법들에 비해 더 정확한 깊이 지도를 생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Accuracy Analysis for Air-to-Ground Weapon Delivery (공대지 무장투하정확도 해석에 대한 연구)

  • Jo, Han-Sang;Song, Chae-Il;Lee, Sang-Ch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5 no.8
    • /
    • pp.741-746
    • /
    • 2007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ccuracy analysis method for air-to-ground weapon delivery. The lethality,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evaluate combat effectiveness of a fighter, depends on the capability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conventional weapon delivery. We present error elements which affect the error analysis for air-to-ground weapon delivery from the initial design phase to the final validation phase. And we introduce an accuracy analysis method to reflect the error elements and to evaluate them quantitatively. We assume zero bias-error and consider random error for the weapon delivery accuracy analysis.

A Study on 3D-Transformation of Krazovsky Coordinate System (Krassovsky 타원체 좌표의 3차원 변환에 대한 연구)

  • 김감래;전호원;현민호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9 no.2
    • /
    • pp.117-123
    • /
    • 2001
  • Requiring topographic information of map due to retaining russia map, which needed accuracy analysis of russia map and relation between its and south korea's map. In order to obtain exac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map which has different reference datum. We have to operate coordinate transformation between maps applied different ellipsoid. In this paper, in order to evaluate accuracy between two maps applied different ellipsoid, it has studied theory of map projection and coordinate transformation. Then, select each point which can be recognized on the two maps for accuracy evaluation. After obtaining coordinate values for each point of same area, it is evaluated accuracy each geodetic coordinate and each TM coordinat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aps which have different reference datum could be used if the exact origin shift could be obtained and applied.

  • PDF

A Development of Tracking Methods on the Suitably Damaged Sites Using Google Earth Images - Based on Chilgok County - (Google Earth를 이용한 적법훼손지 추적기법 개발 - 칠곡군을 사례로 -)

  • Nam, Hyun-Woo;Kim, Hung-Chel;Kim, Jun-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9a
    • /
    • pp.311-313
    • /
    • 2010
  • 본 연구는 토지적성평가 우선개발 항목 중 적법훼손지의 정확한 공간정보의 추출을 위해 Google Earth 영상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현재 공시지가대장과 건축물대장의 속성정보만을 이용하여 일필지의 면적이내 경계를 추출하고 있어 적법훼손지의 필지별 정확한 세부적인 공간정보를 추출할 수 없는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Google Earth 영상을 이용한 결과 적법훼손지의 정확한 필지별 면적 및 경계를 구체적으로 추출하는 추적기법개발을 제시하였다. 또한 Google Earth 영상을 이용한 추적기법개발에 따른 일 필지의 정확한 세부 공간정보를 평가한 결과 지적도에 일부 편입되는 적법훼손지의 위치 및 면적등과 관련된 구체적인 일필지의 공간정보를 분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적법 훼손지를 정확히 구축함으로써 관리지역 세분제도에 계획 생산 보전관리지역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위한 기초적인 참고자료로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Evaluation of DEM Accuracy Among the Spectral Bands of Color Aerial Photo (컬러 항공사진의 밴드별 수치고도모형 정확도 평가)

  • Kim Jin-Kwang;Hwang Chul-Sue;Lee Ho-Nam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6.03a
    • /
    • pp.19-23
    • /
    • 2006
  • 본 연구는 컬러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컬러영상, 그레이영상 그리고 각 밴드별(RGB) 수치고도모형(DEM)을 생성하여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항공 영상지도의 경우 불과 4-5년 전까지만 해도 흑백항공사진 필름을 이용해 왔으나 최근 들어 판독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컬러항공사진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품질이 높은 정사영상제작을 위해서는 정확한 수치고도모형이 필요하다. 수치고도모형을 생성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으로 수치지도를 이용하는 방법과 영상정합기법을 이용하여 수치고도모형을 생성할 수 있다. 영상정합기법에 의한 수치고도모형 생성 방법은 흑백항공사진에서와는 달리 컬러항공사진은 항공사진 전용 스캐너에서 3개의 밴드(RGB)로 스캔된 영상을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고도모형의 정확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모두 5가지 영상(컬러영상, 그레이영상, Red 영상, Green 영상, Blue 영상)을 획득하였으며 각 밴드별 수치고도모형을 생성하여 수치지도에서 추출된 표고점 자료와의 평균제곱근오차(RMSE) 값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Red 영상을 이용하는 경우 가장 정확한 수치고도모형을 얻을 수 있었음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 PDF

Tourist Attraction Classification using Sentence Generation Model and Review Data (문장 생성 모델 학습 및 관광지 리뷰 데이터를 활용한 관광지 분류 기법)

  • Jun-Hyeong Moon;In-Whee Joe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23.11a
    • /
    • pp.745-747
    • /
    • 2023
  • 여러 분야에서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한 추천 방법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관광지의 대중적이고 정확한 추천을 위해 GPT-3 와 같은 생성 모델로 생성한 가상의 리뷰 문장을 통해 KoBERT 모델을 학습했다. 생성한 데이터를 통한 KoBERT 의 학습 정확도는 0.98, 테스트 정확도는 0.81 이고 실제 관광지별 리뷰 데이터를 활용해 관광지를 분류했다.

The Fault Analysis Model for Air-to-Ground Weapon Delivery using Testing-Based Software Fault Localization (소프트웨어 오류 추정 기법을 활용한 공대지 사격 오류 요인 분석 모델)

  • Kim, Jae-Hwan;Choi, Kyung-Hee;Chung, Ki-Hyu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20 no.3
    • /
    • pp.59-67
    • /
    • 2011
  • This paper proposes a model to analyze the fault factors of air-to-ground weapon delivery utilizing software fault localization methods. In the previous study, to figure out the factors to affect the accuracy of air-to-ground weapon delivery, the FBEL (Factor-based Error Localization) method had been proposed and the fault factors were analyzed based on the method. But in the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weapon delivery accuracy and the fault factors could not be revealed because the firing accuracy among several factors was fix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re precise fault analysis model driven through a study of the correlation among the fault factors of weapon delivery, and a method to estimate the possibility of faults with the limited number of test cases utilizing the model. The effectiveness of proposed method is verified through the simulation utilizing real delivery data. and weapons delivery testing in the evaluation of which element affecting the accuracy of analysis that was available to be used successfully.

The Quality Assurance and Accuracy Improvement of National Basemap Digital Mapping Database (국가기본도 수치지도제작 데이터베이스의 품질유지 및 정확도 향상)

  • Lee, Hyun-Jik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6 no.2 s.12
    • /
    • pp.91-103
    • /
    • 1998
  • The digital map data of national basemap which will be basic data of the information age is accomplished to produce and are ready to distribute to public. Generally, the quality of digital map is affected to data history, position accuracy, attribute accuracy, logical consistency and completeness. The quality of digital map Is assured to use basic data for the field of various app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utomated qualify control program of digital map through analysis type of errors in digital mapping, to determine method of high quality digital mapping. As a results of this study, The automated quality control program of digital map is developed to assure logical consistency and completeness of digital map which is used to principal data in the field of GIS and is determined the process of high quality digital mapping.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contributed to quality assrence and accuracy improvement of national basemap digital mapping database.

  • PDF

Updating Building Layer of Digital Map Using Airborne Digital Camera Image (디지털항공영상을 이용한 수치지도의 건물레이어 갱신)

  • Hwang, Won-Soon;Kim, Kam-R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5 no.4
    • /
    • pp.31-39
    • /
    • 2007
  • As the availability of images from airborne digital camera with high resolution is expanded, a lot of concern are shown about the production of orthoimage and digital map. This study presents the method of updating digital map using orthoimage from airborne digital camera image. Images were georectified using GPS surveying data. For the generation of orthoimage, Lidar DEM was used. The absolute positional accuracy of orthoimage was evaluated using GPS surveying data. And that of the building layer of digital map was estimated using the existed digital map at the scale of 1:1,000. The absolute positional accuracy of orthoimage was as followed: RMSE in X and Y were ${\pm}0.076m$ and ${\pm}0.294m$. The RMSE of the building layer were ${\pm}0.250m$ and ${\pm}0.210m$ in X and Y directions, respectively. The RMSE of the digital map using orthoimage from Aerial Digital Camera image fell within allowable error range established by NGII. Consequently, updating digital map using orthoimage from Aerial Digital Camera image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including the construction of the framework data and the GIS of local govern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