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도와 교육

Search Result 3,332,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Localization of Extension Educators in Korea (농촌지도 교육자의 지방직 전환)

  • Kim, Sung-Soo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8 no.2
    • /
    • pp.299-314
    • /
    • 2001
  • 한국의 농촌 지도사업은 농민들이 주곡인 쌀의 자급과 푸른 채소의 주년 공급을 달성할 수 있도록 도왔을 뿐 아니라 4-H 클럽 활동의 지도를 통한 농촌 청소년의 지도와 영농후계세대의 육성 등에도 기여하여 왔다. 1997년 정부는 민주화 지방화의 미명 하에 농촌 지도 교육자의 신분을 지방직으로 전환시켰다. 이러한 지방직 전환은 다양한 문제들, 예컨대 1) 농촌 지도 교육자의 사기와 인원수를 줄여 농촌 지도의 사회교육적 기능을 저하시켰고, 2) 중앙과 지방 농촌 진흥기관의 연계를 약화시켰으며, 3) 농촌지도 교육자의 현직 교육 기회를 축소시켰으며, 또한, 4) 농업 연구와 농촌지도의 연계를 약화시키는 등의 부작용을 야기 시켰다. 흔히 농촌지도 공무원으로 부르는 농촌지도 교육자들은 농업 기술의 전파 보급을 위한 전문직이며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국가가 인정하는 지도 교육자 (extension educator)로 전문직업 능력의 향상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국가 목표인 식량의 지속적 생산, 국가의 균형 발전과 환경 보전은 물론 점증하는 농민들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 농촌지도 교육자들의 사기를 앙양시키는 것은 중요한 과제이다. 안전하고 질 높은 음식의 지속적 공급을 위해서는 농업 생산자들에게 혁신 농업 기술의 전파 보급이 절대적으로 중요하기 때문에 더 이상 농촌지도사업이 훼손되는 것을 방치해서는 안 될 것이다. 농촌지도 사업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국내의 연구는 물론 아시아 태평양 지역 국가들의 농촌과 국가 발전을 위한 협동적 노력도 필요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Cognition of Instruction Teacher and Student-teacher about Role of Industry Vocational Subject Educational Practice Instruction Teacher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육 실습 지도 영역에 대한 지도 교사와 교육 실습생의 인식 비교)

  • Lee, Sang-Hyun;Lee, Byung-Wook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v.39 no.2
    • /
    • pp.19-36
    • /
    • 2014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grasp industry vocational subject student-teachers' instruction area, compare cognitive level of cooperating teacher and student-teachers for the importance of instruction area and secure base data required to develop educational practical area of professional teachers in specialized high school. To achieve this, instruction area of instruction teacher in charge of industry vocational subject pre-teacher education was developed by document consideration and expert verification and differences of importance cognition for the area was compared between educational practice insturction teacher and student-teacher. The results are as the following. First, for the instruction areas that educational practice instruction teachers should teach student-teacher, there are 7 categories, 17 mid-fields and 85 subsections. Especially expert group suggested an opinion that areas of teacher's values and personality formation should be added to pre-teachers. And, they judged that category of school business showed low validity for educational practice instruction teacher's instruction area. Second, educational practice instruction teacher importantly cognized 'class activity', 'student instruction and class management' and 'development of desirable view of education attitude'. On the other hand, they cognized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curriculum', 'support on educational activity',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and tie with local community' and 'specialty improvement' less importantly. Student-teachers cognized 'class activity', 'student instruction and class management', 'specialty improvement', 'development of desirable view of education attitude' importantly. They cognized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curriculum', 'support on educational activity' and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and tie with local community' relatively less importantly. Third, both educational practice instruction teachers and student-teachers importantly cognized 'class activity', 'student instruction and class management' and 'development of desirable view of education attitude'. However, student-teachers importantly cognized, but educational practice instruction teachers didn't importantly cognized 'specialty improvement'. Both two group cognized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curriculum', 'support on educational activity' and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and tie with local community' less importantly.

An Investigation on the Teaching Activities of Guidance Teachers in Planning a Mathematics Lesson in Teaching Practicum by Student Teachers (수학 수업 준비과정에서 실습 지도교사의 지도 활동 고찰)

  • Kwon, Sung-Yong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5 no.2
    • /
    • pp.333-35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aching activities of guidance teachers in student teachers' planning mathematics lesson and the role of guidance teachers in teaching practicum. To fulfill the purpose, 54 student teachers participated in teaching practicum in G university of education located in G city were selected as subjects and gathered data by asking student teachers to record the interaction process with guidance teachers in detail. By analyzing the teaching activities, the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s: First, guidance teachers' teaching activities in student teachers' planning a lesson were focused on the strategies of teaching and organiz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ability level of students in the classroom. Second, four types of guidance teachers were identified by analyzing teaching activities as noninterference, supervision, guidance, cooperation. Most of guidance teachers can be indexed as guidance. Third, more effective teaching practicum, guidance teachers need to understand the role of guidance teacher in teaching practicum and systemic program for teaching practicum should be developed.

  • PDF

Syllabus Design for Teaching Pronunciation in Korean EFL Classroom (한국인을 위한 영어 발음지도안 개발)

  • Park Jookyung
    • Proceedings of the KSPS conference
    • /
    • 1996.10a
    • /
    • pp.142-148
    • /
    • 1996
  • 이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 능력 중심의 영어교육을 하기 위하여 특별히 한국인들이 영어를 발음할 때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보다 정확한 영어발음을 낼 수 있도록 교육할 수 있는 지도안을 작성해 보고자하는 것이다. 먼저 한국인을 위한 영어발음교육의 특성과 제문제를 살펴보고, 보다 효과적인 발음지도를 위해 구체적인 발음지도 목표와 그 목표에 맞는 발음지도 법을 알아보았다. 발음지도 목표로는 우선,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람들이 알아듣고 이해할 수 있는 정도의 발음을 갖추도록 하며, 이를 위해 (1)영어자,모음 식별 청취 및 발음, (2)올바른 강세와 억양 식별 및 구사, (3)연음 및 기타 주요 발음 현상 식별 및 구사 등을 지도하되, (1)보다 (2)와 (3)을 보다 집중적으로 지도 할 것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이들 각각의 내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하여 의사소통 능력을 중심으로 한 여러 가지 지도법과 학습활동들을 소개하였다. 또한 교육한 내용에 대한 평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그 방법을 제시하였고, 보다 실용적인 발음지도안을 작성하기 위한 교사교육과 작성된 발음지도안의 활용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 PDF

A Network Analy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according to Transitions of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2009 Educa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Guidebooks for Kindergarten and the Nuri Curriculum Teacher Guidebooks for the Age of 3-5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유아다문화교육 내용의 연결망 비교 분석: 2009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와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 Nam, Mi Kyoung;Yoon, Gab Jung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
    • v.11 no.4
    • /
    • pp.189-210
    • /
    • 2015
  • This study's aim was to find a patterns of network dynamics focused on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within the teacher's guide books which are based on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It was analysed that the 43 guidebooks(2009 Educational activities and materials guidebooks for kindergarten, 11 and the Nuri curriculum teacher guidebooks for the age of 3-5, 32) were analysed using the UCINET 6 program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framework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ulticultural contents' density is connected to life theme of the Nuri curriculum was higher than the 2009 kindergarten curriculum. And life theme with high connectivity was 'I and my family' in the 2009 kindergarten curriculum and 'animals, plants and nature'(3 years old), 'kindergarten and friends' & 'I and my family'(4-5 years old) in the Nuri curriculum. Second, the highest connection content was 'having interests in culture' & 'know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2009 kindergarten curriculum, and 'having interests in culture' & 'promoting a sense of community' in the Nuri curriculum. Finally,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national educational curriculum transition was changed from 'identity' to 'interaction and cooperation'. It means that the Nuri curriculum is more focused on international knowledges and competencies as a world citizen. It suggests the direc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the future.

Exploring e-Learning System for Agricultural Education and Extension in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Korea (농촌진흥청 농촌지도사업의 이러닝 시스템 분석)

  • Park, Duk-Byeong;Cho, Yong-Been;Lee, Min-Soo;Lee, Hae-Hyun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12 no.1
    • /
    • pp.119-127
    • /
    • 2005
  • 이 연구의 목적은 2003년부터 농촌진흥청에서 이루어져 왔던 이러닝시스템에 대한 실태와 참여농가의 만족도를 파악하고 향후 이러닝시스템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농촌진흥청은 2003년부터 웹과 비디오화상시스템에 기반을 둔 이러닝시스템(e-learning system)을 이용하여 농가에 대한 지도와 교육사업을 전개하여 왔다. 2003년에는 이러닝을 통한 교육과정에 251명의 농민이 등록하였으며, 이 중 최종적으로 126명이 오이, 고추, 토마토에 대한 생산과 경영관리 교육과정을 수료하였다. 2004년에는 503명의 농민이 이러닝 교육과정에 등록하였으며, 이중 313명의 농가가 버섯, 딸기, 수박에 대한 생산과 경영관리 교육과정을 수료하였다. 이러닝 교육과정에 참여하는 농민의 76%가 이러닝시스템을 통한 교육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닝을 위한 시스템 형태에 따른 선호도는 비디오화상시스템만을 이용한 경우는 23%. 웹만을 이용한 경우는 13%, 이 두 시스템을 통합하여 운영한 경우에는 59%로서 통합시스템운영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진흥정이 구축한 통합시스템은 동시에 1000명 이상의 농민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지도사업의 예산과 인원이 과거에 비해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닝시스템은 향후 농민들을 대상으로 한 지도와 교육에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 PDF

Development and Realization Drawing a Map-Module for the Lower grades (저학년 아동을 위한 그림 지도 그리기 모듈의 구현)

  • Cheong, Ji-Young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8a
    • /
    • pp.267-272
    • /
    • 2007
  • 학교 교육에서 문해력과 수리력에 비해 그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는 공간 지각 능력과 도해력을 학습하기 위해서 학습자 중심의 지도 그리기 교육이 실제화 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보다 더 실제적 이고 효과적인 지도교육을 위한 지도그리기모듈을 구현하고자 한다. 특히 사회과의 경우 사고의 방법과 과정을 중요시 하는 교육목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현재의 저학년 초등교과교육 중 지도 그리기 학습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구체적 조작기의 아동을 위한 공간 능력의 향상과 구체물의 평면화 등 지도 그리기 교육의 목표를 수월하게 도달하기 위한 모듈을 구현하여 초등 지리 교육의 수월성과 함께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흥미로운 학습을 도모하고자 한다.

  • PDF

1940년대 초등학교 5학년에서의 어림셈 지도 방법

  • Kim, Yong-Dae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9
    • /
    • pp.177-186
    • /
    • 1999
  • 본고에서는 먼저 어림과 근사값의 의미를 고찰한다. 그리고 근사값과 어림수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고 1940년대 초등학교 5학년에서의 어림수의 곱셈과 나눗셈에 대한 지도 방법과 현행 중학교 교육과정에서의 근사값의 곱셈과 나눗셈의 지도 방법을 살펴본다. 이들을 살펴봄으로써 어림과 근사값을 지도하는 의의를 강조하고 어림셈과 근사값 계산에 대한 교수 ${\cdot}$ 학습 자료로서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제7차 수학교육과정에서의 고등학교 통계 영역의 지도와 개선방안에 관한 교사의 의견조사 및 분석

  • Hong, Seok-Gang;Ma, Jong-Cheol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6
    • /
    • pp.219-243
    • /
    • 2003
  •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제7차 수학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의 통계부분은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 시점에서 고등학교 의 통계영역에 대해 고찰 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사료된다. 여기에서는 제7차 수학교육과정에서의 고등학교 통계영역의 지도와 개선방안에 관한 교사의 의견조사 및 분석을 주제로 하여 먼저 제7차 교육과정의 주요내용에 대해 살펴보고 고등학교 통계부분의 제6차 교육과정과 제7차 교육과정을 비교 해 보면서 아울러 주요 외국의 고등학교 통계 교육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현재 진행중인 제7차 수학교육과정에서의 고등학교 통계부분에 대한 현직 수학과 교사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설문결과를 살펴보고 설문결과에 대한 분석 및 지도방향을 고찰해보고, 결론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를 통해 현재 우리나라의 고등학교 통계교육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점에 대한 본인의 의견을 서술하고자 한다.

  • PDF

Teaching Children English Pronunciation (초등학교 어린이를 위한 영어발음지도)

  • Park Jookyung
    • Proceedings of the KSPS conference
    • /
    • 1996.02a
    • /
    • pp.63-73
    • /
    • 1996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의사소통 능력 중심의 영어교육을 하기 위하여 그 기초가 되는 영어발음지도와 관련된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아울러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라. 먼저 초등학교 어린이를 위한 영어교육의 특성과 제문제를 살펴보고, 보라 효과적인 발음지도를 위해 구체적인 발음지도 목표와 그 목표에 맞는 발음지도 법을 알아보았다. 발음지도 목표로는 우선,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람들이 알아듣고 이해할 수 있는 정도의 발음을 갖추도록 하며, 이를 위해 (1)영어자, 모음 식별 청취 및 발음, (2)올바른 강세와 억양 식별 및 구사, (3)연음 및 기타 주요 발음 현상 식별 및 구사 등을 지도하되, (1)보다 (2)와 (3)을 보다 집중적으로 지도할 것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이들 각각의 내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하여 의사소통 능력을 중심으로 한 여러 가지 지도 법 및 어린이들을 위한 학습활동들을 소개하였다. 끝으로 자질을 고루 갖춘 초등학교 영어교사 양성이야말로 성공적인 영어교육의 제일조건임을 강조하고 보다 실제적인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