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각된 지지

검색결과 412건 처리시간 0.024초

보건계열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진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Career Stress in Health Science College Students)

  • 김미정;임차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5호
    • /
    • pp.287-293
    • /
    • 2019
  •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진로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 대학생이 진로 스트레스를 극복하는 효과적인 진로지도로 사회적 지지를 이용한 상담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으로 전주시 J 대학교 보건계열 재학생 총 30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자기기입법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설문조사 내용은 사회적 지지, 진로 스트레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성적 스트레스가 낮은 경우와 가구풍요도 점수가 높은 군에서 사회적 지지가 높게 나타났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성적 스트레스가 높은 경우 진로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계열 학생의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요인 변수로 진로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학년이 낮을수록, 가구풍요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적 지지가 진로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사회적 지지는 진로 스트레스를 받는 보건계열 대학생에게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자신의 삶에 대한 만족감을 높여 스트레스 상황을 견딜 수 있는 보호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청소년이 주변 연장자로부터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의 구조와 기능 및 자아존중감 (The Structures and Functions of Social Support for Adolescents from Non-Parental Seniors and Adolescents' Self-Esteem)

  • 이완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1권2호
    • /
    • pp.49-6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nature of adolescents' relationships with intimate and important people in their lives who are seniors to them. A sample of 1,220 adolescents was surveyed with a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included questions on perceived support from non-parental senior figures as well as on adolescents' self-esteem. The results showed that. (a) Adolescents perceived their relatives to be more important than their teachers. (b) Male adolescents perceived support from a larger number of relatives than their female counterparts, whereas female adolescents perceived more support from their close senior figures than their male counterpart. (c) Adolescents' perception of support was different by their father's occupational status. (d) Overall, male adolescents's self-esteem was higher than female adolescents. The adolescents whose fathers held higher-status occupations had higher self-esteem than the adolescents whose fathers held lower-status occupations. (e) Male adolescents' self-esteem was affected by their GPA, father's occupational status, and the number of seniors whom they met on internet, and the amount of perceived support. Female adolescents' self-esteem was affected by father's occupational status and the amount of perceived support.

맹시와 현상적 의식 (Blindsight and Phenomenal Consciousness)

  • 김효은
    • 한국인지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인지과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89-193
    • /
    • 2002
  • 의식에 관한 가장 흥미 있는 최근의 과학적 작업들 중 철학적으로 문제가 되는 다수는 시각으로부터 나왔으며 그 중 특히 맹시 현상은 심리철학에 있어서 의식, 지각, 그리고 지향성의 개념에 문제를 제기한다. 맹시 환자들은 후두엽 피질의 두뇌 손상으로 인하여 생긴 암점(Scotoma) 때문에 현상적으로 의식적인 과정을 경험할 수 없으면서도 그들의 보이지 않는시야 영역에 대하여 보통 시각을 가진 사람들과 상당히 비슷하게 기능을 발휘한다. 이러한현상은 의식이 행동을 제어하는 데에 과연 인과적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문제들, 심리철학에서 뿌리깊게 논의되어왔던 의식의 기능과 부현상론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즉, 맹시 현상은 현상적 의식이 실재하지 않는 것이거나, 존재하더라도 어떤 인과적 효력을 가지지 않는 부수현상적인 것이라는 견해를 강하게 지지하는 것 같다. 이와 함께 인간과 동일한 물리적 구성과 행동을 가지지만 의식적 경험을 결여하는 피조물인 좀비(zombie)의 이론적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를 지지하기 위해서 초맹시(super-blindsight)의 개념과 사례가 제안된다. 이 논문은 맹시 현상을 통해서 현상적 의식의 실재성을 부정하려는 논변들을 반박하고, 의식은 행위의 수행에 관련될 뿐만 아니라 인지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논한다. 따라서, 역설적으로 맹시 사례가 오히려 현상적 의식이 인과적 역할을 가진다는 감각질 실재론의 견해를 지지할 수 있다고 논증할 것이다.

  • PDF

지역사회 재가 암환자 가족의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건강상태 및 삶의 질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Social Support, Stress,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Caregivers of Home-stay Cancer Patient in a Comminity)

  • 김분한;김태수;김의숙;정연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3권2호
    • /
    • pp.144-151
    • /
    • 2000
  •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재가 암환자와 그 가족의 삶의 질을 증진하기위하여,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건강상태 및 삶의 질 정도와 이들간의 관련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일 지역사회의 22개동 전역에 걸쳐 거주하는 암환자 가족 중 암환자를 주로 돌보는 사람이었으며, 대상자의 특성과 제변수를 측정할 수 있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면접과 전화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Window SFSS-PC를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기술통계 및 t-test와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검정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암환자를 돌보는 가족원들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가족지지망이 평균 3.24로 간호사 지지(평균 3.03)보다 높게 나타났다. 스트레스 정도는 평균 3.52로 측정변수들 중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건강상태(신체적 불편감)은 평균 2.98로 심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 정도는 평균 2.34로 측정변수들 중 가장 낮아 보통정도 이하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암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의 나이가 많을수록 건강문제 경험 정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교육정도가 낮을수록 건강문제 경험 정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암환자 가족원들의 가족지지망 정도가 높을수록 간호사지지 정도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 정도가 높을수록 건강상태도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트레스가 높고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삶의 질 정도가 낮았다. 그러므로 암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의 건강상태를 유지하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환자를 돌보면서 경험하게 되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스트레스를 덜 인지할 수 있고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 PDF

막스 셸러의 지각론 연구 - 활력적 충박과 감각지각의 관계 연구 - (A Study on M. Scheler's Theory of Perception)

  • 금교영
    • 철학연구
    • /
    • 제130권
    • /
    • pp.23-45
    • /
    • 2014
  • M. 셸러는 지각론에서도 생명철학을 하고 있다. 그래서 기존 지각론과는 상이한 충박조건 지각론을 전개한다. 그에 따르면 감각지각을 할 때도 활력적 충박에 의해서 일구진 토대 위에서 할 수 있는 것이지, I. 칸트나 E. 마흐의 생각처럼 감각기관이 수용한 감각소여를 지각 주체가 자발적으로 구성하면서 감각지각 하는 것이 아니다. 감각은 일차적이지 않고, 선사랑, 선관심이라 할 수 있는 초의식적 활력 충박에 뒤따른다. 그리고 감각지각은 활력적 충박의 힘없이 생겨날 수 없기 때문에, 어떤 대상에 반응하고 그럼으로써 저항하는 충박을 발동하지 않으면 우리는 그 대상을 지각할 수 없다. 셸러는 환영의 상이 지각에 선행하여 존재하며, 지각이 감각의 기능들에 관계해서 먼저 일어나며, 그리고 감각 기능들이 감각들에 관계해서 먼저 일어난다고 말한다. 이런 지각의 토대질서를 주목하게 될 때, 그리고 생명의 본질이 선경험적이고, 순수한 생성과 소멸이며, 그리고 생성과 소멸의 경험적 측면이 아직 분리되지 않는 하나의 과정임을 주목하게 될 때, 지각이 활력적 충박에 의해서 조건 지워져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셸러의 충박을 조건으로 하는 지각설은 또한 동물들의 운동성이 그들의 감각적 장치를 결정한다는 사실에 의해서도 지지된다. 동물들은 그들의 충박 운동적 행동에 유의미한, 유혹하고 주목시키는 대상들의 기호로서 기여할 수 있는 감각체계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이를테면 도마뱀은 강렬하게 나는 총소리에 방해받지 않고 머물러 있지만, 풀 섶에서 나는 바스락거리는 소리에는 민감하게 반응한다.

한국 유방암 환자의 가족지지, 지각한 건강상태, 자아존중감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Support,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elf-esteem in Korean Women with Breast Cancer)

  • 태영숙;김미예
    • 종양간호연구
    • /
    • 제11권1호
    • /
    • pp.41-48
    • /
    • 2011
  • Purpose: The study was to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the family support,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elf esteem in Korean women with breast cancer.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214 women with breast cancer in inpatient and outpatient settings at three different university hospitals and one cancer hospital in B city, Korea. The instruments included Family Support Scale, Perceived Health Status Scale, and Self Esteem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OVA, Scheffe's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by SPSS WIN 15.0 program.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mily support by age, education, and cost burde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health status by education, occupation, economic status, pain, fatigue, and cancer insura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lf esteem by age, occupation, economic status, type of religion, pain, fatigue, and cancer insurance. Self-esteem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family support and perceived health statu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romoting perceived health status and enhancing family support would increase self-esteem effectively among Korean women with breast cancer.

입원 말기암 환자가 지각한 가족지지와 삶의 질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Hospitalized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 주명진;손수경
    • 종양간호연구
    • /
    • 제8권1호
    • /
    • pp.32-39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hospitalized patient with terminal cancer. Method: Study subjects were 104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who were hospitalized and treated at K university hospital, in Busan.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were measured using the Kang's Revised Family Support Scale and Youn's Quality of Life scale for terminal patients. Results: 1) The mean score of perceived family support was $4.23{\pm}0.61$. The mean score of quality of life was $5.83{\pm}1.37$. 2) The perceived family suppor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primary care giver, food type, medical period after diagnosis. 3) The levels of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number of children, effect of religion on the one' life, perceived state of disease and pain. 4) There was moderat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Conclusions: Increase in perceived family support was associated with increase in quality of life in hospitalized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It is necessary that the development of nursing education program for family which help to support the patient with terminal cancer for increasing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 with terminal cancer.

  • PDF

관상동맥질환자의 적대감, 지각된 사회적 지지 및 건강행위 이행 (The Relationships among Hostility,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Health Behavior Compliance of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 오정은;박형숙;김동희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99-108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measure the degree of the hostility,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health behavior compliance among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those variabl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45 hospitalized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15, 2007 to March 15, 2008 using a questionnaire and medical record. Results: Mean scores for hostility,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health behavior compliance were 54.80, 53.03 and 59.38 respectively.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hostility were significant for marital status and serum total cholestero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health behavior compliance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serum total cholesterol, smoking, drinking, exercise and regular diet. Health behavior compliance was correlated with hostility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hostility was correlated with perceived social support. Conclusion: Intensive programs to enhance perceived social support but to reduce hostility are warranted to improve health behavior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육아시설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지각된 보육사의 정서적 지지에 의한 청소년의 성가치관 (A Study on the Sexual Values of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in Terms of Ego-Identity and Perceived Emotional Support from Care Teachers)

  • 이영미;민하영;김경화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4권2호
    • /
    • pp.165-17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go?identity and rare teacher's emotional support on the value of sexuality of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The subjects were 102 middle school adolescents in Daegu and Cyeongsangbuk Province, Korea. Ego-identity of the institutional youth, perceived emotional support of care teacher and sexual values reported by the institutionalized adolescent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an AMOS 5.5 Program by comparative fit index and a SPSS Win program 12.0 using cronbach's $\alpha$, simple regressio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The findings showed that both the degree of ego-identity and perceived emotional support of care teacher exert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exual values of institutional youth.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care teacher's emotional support influenced sexual values of the youth, and was mediated by the ego-identity of the institutional youth.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지각된 건강상태, 양육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erceived Health, Parental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Quality of Life in Grandparent Caregivers)

  • 정우정;이명선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10-319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health, parental stress,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of grandparent caregiver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their life. Method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design was used.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a convenience sample of 130 participants taking care of their grandchildren from ten children's daycare centers in Seoul, Korea from August to September, 2013.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s. Results: Perceived health, parental stress and social support were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quality of life. As a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ducation level, age of grandchildren, perceived health, parental stress and social support accounted for 48% of the variance in quality of life. Perceived health, parental stress, and social support were identified as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and the variable that most affected quality of life was perceived health.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health of people taking care of their grandchildren must be promoted while relieving their parental stress with appropriate social support in order to improve quality of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