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재가능성

검색결과 205건 처리시간 0.026초

단전호흡이 혈액투석환자의 스트레스, 수면장애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an Jeon Breathing on Stress, Sleep Disturbance and Self-esteem of Hemodialysis Patients)

  • 정미현;박옥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5882-5892
    • /
    • 2012
  • 본 연구는 단전호흡 프로그램이 혈액투석환자의 스트레스, 수면장애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여 간호중재로서의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실험연구(quasi-experimental design)로, 대상자는 J도에 소재한 2개 의료기관에서 주 1회 이상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로서, 실험군 18명과 대조군 19명을 편의표집하였다. 실험처지는 단전호흡 프로그램을 1회 60분씩, 주 2회, 12주간 실험군에게 적용한 결과, 단전호흡 프로그램을 실험처치한 실험군에서는 대조군보다 스트레스(t=-2.95, p=.006)와 수면장애(t=-2.13, p=.041)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자아존중감(t=2.44, p=.020)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단전호흡 프로그램은 만성질환자인 혈액투석환자의 스트레스와 수면장애를 개선할 수 있고,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간호학생의 스트레스 대처유형, 대인관계 능력, 자존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tress Coping Style, Relationship Ability and Self-Esteem on Smartphone Addiction in Nuring Student)

  • 성미현;남혜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61-7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과에 재학중인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유형, 대인관계 능력 및 자존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자료는 2016년 3월 1일부터 4월 1일까지 간호과 대학생 169명으로부터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중독위험군이 32%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요인을 조사해본 결과, 일반적 특성 및 스마트폰 사용특성에서 동아리유무, 스마트폰 사용동기와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주요변수에서 스트레스 대처유형의 하위영역 문제 중심, 희망적 관측과 자존감이 스마트폰 중독의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문제중심(${\beta}=-3.278$, p=.031)과 희망적 관측(${\beta}=.117$, p=.044)을 많이 사용할수록, 자존감(${\beta}=-3.149$ p=.009)이 낮을수록, 동아리(${\beta}=2.744$ p=.019)활동을 하지 않을수록, 스마트폰 사용동기(${\beta}=-1.122$ p=.003)가 의사소통을 위해서일수록, 스마트폰 사용시간(${\beta}=2.975$ p=.000)이 많을수록 스마트폰 중독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설명력은 43.6%였다. 따라서 간호과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 일반적 특성 및 스마트폰 사용특성을 포함한 영향변인들을 고려하여 중독정도에 따른 차별화된 중재전략을 개발 적용해야 할 것이다.

골드테라피와 스톤테라피가 목, 등, 어깨 부위 신체 치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f the Effects of Gold and Stone Therapies on Changes in Body Size in the Neck, Back and Shoulder)

  • 이진영;정연정;리순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8호
    • /
    • pp.465-476
    • /
    • 2017
  • 본 연구는 골드테라피가 목, 등, 어깨 부위 근막통증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을 스톤테라피와 비교 연구하여 임상에서 효율적인 간호 중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실시하였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여성 20명을 골드군(10명), 스톤군(10명)으로 나누어 2주간, 주 3회, 1회 40분 씩, 총 6회 관리를 실시하였다. 골드군과 스톤군 모두 관리후 목둘레, 좌 우 어깨 넓이, 좌 우 견갑골 하각 넓이, 전 후 어깨 두께, 허리둘레가 관리전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고(p<0.001) 그 변화량 차이는 골드군이 스톤군에 비해 더 크게 나타났다. 골드군과 스톤군 모두 관리후 목 우측굴, 목 좌측굴, 목 굴곡, 목 신전 각도 변화에서 관리전에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p<0.001) 그 변화량 차이는 골드군이 스톤군에 비해 더 크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골드테라피가 목, 등, 어깨 부위 근막이완과 통증 완화에 효과적인 간호중재 방법임이 확인되어 비침습적인 안전한 방법으로 활용할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의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 조규영;김윤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632-1640
    • /
    • 2014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스마트폰 중독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자료는 2013년 4월 29일부터 5월 16일까지 대학생 354명으로부터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t-test와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고위험 사용자군은 6.2%, 잠재적위험 사용자군은 21.2%로 스마트폰 중독률이 27.4%로 나타났다.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해본 결과, 일반적 특성에는 성별, 주중 및 주말 일 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 스마트폰 사용 중 손목통증 유무, 스마트폰 사용 중 사고 유무, 주요변수에서는 사회성, 충동성, SNS 중독이 스마트폰 중독의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여학생일수록(${\beta}=0.149$, p<.001), 주중 일 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많을수록(${\beta}=0.292$, p=.001), 주말 일 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많을수록(${\beta}=0.390$, p<.001), 스마트폰 사용 중 손목통증이 있을수록(${\beta}=0.148$, p<.001), 스마트폰 사용 중 사고가 있을수록(${\beta}=0.133$, p=.002), 사회성이 낮을수록(${\beta}=-0.099$, p=.029), 충동성이 높을수록(${\beta}=0.211$, p<.001), SNS 중독 정도가 높을수록(${\beta}=0.376$, p<.001)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모형 설명력은 43.3%였다. 따라서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영향 변인들을 고려하여 중독정도에 따른 차별화된 중재전략을 개발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상연습이 노인의 균형 능력과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단일대상연구 (Effects of Mental Practice on Balance Ability and Fall Efficacy in Dwelling Elderly Population: Single Subject Design)

  • 정준철;정해윤;이창대;유은영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31-42
    • /
    • 2015
  • 목적 : 상상연습(mental practice)이 노인의 균형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 노인 낙상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 방법으로써 적용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3년 7월부터 10월 까지 인지에 문제가 없고 낙상에 경험이 있지만 보조 도구 없이 자립보행이 가능한 65세 이상 노인 3명에게 상상연습을 제공하였다. 개별 사례 실험 연구 중 ABA' 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 과정 4회기, 중재 과정 5회기, 재 기초선 과정 4회, 총 13회기로 진행되었다. 독립변수는 노인의 균형 능력 및 낙상 효능감 증진을 위해 상상연습을 사용하였고, 종속변수로는 전반적 균형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버그 균형 척도(Berg Blance Scale; BBS), 낙상효능감에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낙상효능감척도(Fall Efficacy Scale: FES), 정적, 동적 균형에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각각 외다리기립검사(One-Leg Standing test; OLS),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Timed Up & Go test : TUG)를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은 평균값과 시각적 그래프를 통해 제시하였다. 결과 : 상상연습 기법 적용 후 모든 대상자의 낙상효능감이 기초선 과정에서 측정된 수치 보다 증가된 결과를 보였으며 또한 전반적 균형 능력과 정적 동적 균형 능력 또한 증진 또는 유지 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상상연습이 노인의 낙상효능감과 균형능력의 향상과 유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으로 노인의 낙상 예방 활동으로 상상연습의 적용을 추천한다.

경혈점에 적용한 자장요법이 여고생의 월경통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Magnetic Field Therapy Applied to Acupuncture Point on Dysmenorrhea Experienced by High School Girls)

  • 장현정;박정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367-7376
    • /
    • 2015
  • 본 연구는 경혈점에 적용한 자장요법이 여고생의 월경통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여 여고생들에게 효율적인 자가 간호 중재로써의 활용가능성을 검증하고자 시도된 무작위 할당 대조군 전후설계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06년 3월부터 4월까지로, 보건실을 방문한 여고생에게 실험 전, 설문지에 통증척도인 도표 평정 척도(Grapic Rating Scale, GRS)와 분만어휘 평정척도(Adjective Labor Pain Rating Scale, ALPRS)를 작성하게 한 뒤 각 군에게 직경 12mm, 두께 3mm의 원형 자석에 800~1200Gauss의 자력이 있는 의료용 자석을 3시간동안 적용하였다. 설문지는 각각 자석 적용 직후 3시간과 제거 후 3시간에 설문지인 GRS와 ALPRS를 작성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경혈점에 자장요법을 적용한 실험군은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월경통 GRS와 ALPRS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경혈점에 적용한 자장요법이 여고생의 월경통에 통증경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비약물요법으로서의 월경통 완화를 위한 간호중재법으로 활용할 것을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ALPRS가 월경통에 대해 타당성이 제시되었으므로 추후 연구를 통해 ALPRS의 타당도 검증을 위한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 여고생들의 월경통 경감을 위한 보완대체요법으로 적용하게 될 것을 제언한다.

노인복지관 당뇨병 자기관리 프로그램의 과정과 평가: 실행연구방법 (Senior Center Based Diabetes Self-management Program: An Action Research Approach)

  • 고하나;송미순
    • 한국노년학
    • /
    • 제38권1호
    • /
    • pp.169-185
    • /
    • 2018
  • 당뇨병 노인환자의 자기관리 교육은 대상자의 건강행위를 변화시켜야 하는 목표를 성취해야하므로 노인의 자기관리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노인 대상자의 특성과 개별적인 상황 및 조건을 반영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노인 특화 프로그램은 매우 제한적이고, 대상자 중심의 효과가 평가된 경우도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지역사회 거주 당뇨병 노인 맞춤형 당뇨자기관리 프로그램을 실행연구 방법으로 적용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실행연구방법의 계획, 실행, 평가, 성찰단계를 각 회기마다 시행하여 이전 회기의 결과가 다음회기의 중재계획의 변화에 근거가 되는 체계적인 순환과정을 3회기에 걸쳐 순차적으로 적용하였다. 일개의 지역사회 복지관에서 15개월에 걸쳐 12주의 소규모 노인 당뇨병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 후 양적, 질적 자료를 모두 사용하여 참여대상자 측면의 평가가 충분히 포함되도록 하였다. 총 46명중 43명(93.48%)이 프로그램을 이수하였다. 양적인 프로그램의 효과결과에서는 당화혈색소(p<.001), 공복혈당(p<.001), 신체질량지수(p=.016), 허리둘레(p=.001), 수축기혈압(p=.036), 당뇨병 자기관리 행위(p<.001), 노인 건강행위지식(p=.008)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질적 평가 자료에서는 본 프로그램은 개별적인 맞춤 관리로 느껴지며 이를 통해 역량 강화하게 되었고, 상호작용을 통한 능동적인 참여를 통해 자신의 자기관리 이행에 자신감과 실천의 즐거움을 느꼈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실행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당뇨병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로 대상자의 신체적 지표와 행위지표, 유용성 등의 양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대상자 측면에서의 주관적인 효과성을 확인 한 것은 효율성과 실현 가능성을 살펴보는 의미 있는 시도였다. 따라서 이러한 실행연구 방법을 통한 프로그램의 적용과정과 평가는 현장 실무자에게 대상자의 요구 중심의 맞춤형 중재 프로그램 시행의 가이드가 될 것이다.

치료적 클라이밍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rapeutic Climbing Training on Upper Limb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 박치복;김병근;이소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292-299
    • /
    • 2019
  • 본 연구는 치료적 클라이밍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임상적으로 중재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14 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7명의 치료적 클라이밍 훈련군과 7명의 대조군으로 지정하였다. 실험군은 일반적 물리치료와 작업치료를 시행하였고, 추가적으로 포츠담모델을 이용한 치료적 클라이밍 훈련을 6주 동안 주 3회, 총 30분 씩 훈련을 진행하였다. 대조군은 일반적 물리치료와 작업치료를 적용하였다. 상지기능은 Manual Function Test로 측정하였고, 삶의 질은 Short Form 36-item으로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그룹 내 시기에 따라 실험군의 상지기능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삶의 질은 그룹 내 시기에 따라 실험군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각 그룹 간의 비교에서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본 연구를 통해 뇌졸중 환자에게 포츠담 모델을 적용한 치료적 클라이밍 훈련이 상지기능과 SF-36점수를 증가시켜 삶의 질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향후 치료적 클라이밍을 이용한 훈련을 통해 뇌졸중 환자의 재활이나 임상 적용 중재에 있어서 가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청소년 가출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탐색 (Exploration on Risk and Protective Factors of Adolescent Runaway)

  • 한상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4권1호_spc
    • /
    • pp.273-29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가출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들의 문제행동 개입 과정과 양상을 분석함과 동시에 가출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을 통해 가출의 의미와 원인, 최근 조사결과에 근거한 실태와 특징 등을 분석하고, 청소년 시기에 가출을 야기하는 위험요인(risk factors)이 무엇이며, 그리고 이들 위험요인에도 불구하고 가출로 인한 문제행동을 완충 또는 중재하는 보호요인(protective factors)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그 결과 먼저, 청소년 가출에 대해 이를 더 이상 청소년 개인의 문제로만 인식하지 않고 사회적인 문제로 인식해야 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부적절한 가정환경과 부모의 강압적인 양육행동, 부정적인 또래압력과 입시 스트레스 등이 가출의 주요 위험요인이라면 이들의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 또는 중재할 수 있는 보호요인으로 사회적 지지, 적극적 대처전략, 부모의 감시 및 통제, 자기 존중감 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 가출의 예방은 물론이고 가출 청소년들의 적응유연성(resilience)을 향상시킴으로써 비행 및 재 가출을 차단할 수 있는 처치 가능성을 높여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대면, 비대면, 자가운동에 따른 체간안정화 운동이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according to face-to-face, non-face-to-face, and self-exercise on balance ability)

  • 이경은;김소은;김현정;전정우;홍지헌;유재호;김진섭;김성길;남연교;이동엽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65-72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체간 안정화 운동으로 대면, 비대면, 자가로 실시하였을 때 정적균형과 동적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신체적으로 질병이 없는 건강한 20대 36명을 모집하였다. 대상자들은 무작위로 세 그룹으로 나뉘어져 체간 안정화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중재 전후 정적균형과 동적균형을 각각 측정하였다. 대면 및 비대면 그룹에서 중재 전, 후 동적 균형 및 정적 균형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자가운동군은 동적균형 3방향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정적균형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대면 및 비대면 운동이 체간 안정화 운동이 정적균형과 동적균형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균형 능력 향상을 위한 비대면 운동의 사용 가능성을 지지하며, 균형 능력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신체 능력에 대한 비대면 운동의 효과에 대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