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국산

검색결과 785건 처리시간 0.028초

16종 다용한약재의 산지별 As, Cd, Pb, Co, Cr 농도 및 특성고찰 -한국과 중국산의 평균농도, 최소-최대농도와 법적 허용농도초과비율을 중심으로- (As, Cd, Pb, Co, Cr Concentration and Property Evaluation in Frequently Using 16 Oriental Herbal Medicines -Mainly Average, Lowest, Highest Concentration and Percent Exceeding Value of Legal Allowance in Korean and Chinese Origines-)

  • 김기동;박해모;서용찬;이선동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67-183
    • /
    • 2012
  • Objective : Average, lowest, highest concentration and exceeding value of legal allowance of As, Cd, Pb, Co, Cr in frequently using 16 oriental herbal medicines in korea(Astragali Radix, Ginseng, Citri Unshii Pericarpium, Aurantii Fructus Immaturus, Angelicae Gigantis Radix, Cnidii Rhizoma, Paeoniae Radix, Rehmanniae Radix Preparata, Zingiberis Rhizoma Crudus, Zizyphi Fructus, Atractylodis Rhizoma Alba, Hoelen, Dioscoreae Rhizoma, Corni Fructus, Schisandrae Fructus, Lycii Fructus)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ir origines (korea, china) and property was also discussed according to the medicinally active part and individuals regardless origines. Method : Korean and Chinese herbal medicines were evenly sampled from corresponding country nationwide. Pre-treatment was executed according to the KFDA(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regulation and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Korean Environmental Analysis QA/QC. Result : Not much difference was observed according to their origines. However, lowest, highest and percent exceeding value of legal allowance was showed some consiste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medicinally active part and individuals. Co and Cr was can not be evaluated since their legal regulation was not established yet. Conclusion :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As, Cd, Pb, Co, Cr in frequently using 16 oriental herbal medicines in korea showed no noticeable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origines. Regardless the origin, some consiste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and medicinally active parts.

약용작물 오미자의 중장기 수급전망 분석 (An Analysis on Supply-Demand Outlook of Korean Omija(Medicinal Plant))

  • 최병옥;김배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689-2694
    • /
    • 2014
  • 이 연구는 한 중 FTA 체결에 따른 오미자의 시장 파급영향을 계측 분석하여, 2014-2018년 동안의 중장기 수급의 변화를 검토한 내용을 담고 있다. 오미자에 대한 한 중 FTA 체결의 구체적인 내용을 알 수 없는 상황에서, 실현가능한 오미자 시장개방 상황을 시나리오로 구성하여 수급모형에 도입하고, 현재 중국산 오미자의 수입상황을 반영하여 분석하였다. 오미자에 대한 중장기 수급 및 가격 전망을 위해 오미자 개별 품목에 대한 별도의 부분균형모형을 구축하였고, 모형내 각 방정식들은 계량경제학 방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관세율이 현행 8%에서 2014년부터 2018년까지 단계적으로 철폐될 경우, 재배면적은 2018년 3,370ha으로 다소 감소하고, 소비량은 2018년 12,040.8톤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전망되고, 생산액이 5년간(2014-2018)누적으로 약 98억원 수준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경남지역 화훼산업의 현황과 특징 (Characteristics of the Flower Industry in Gyeongnam Province)

  • 심인선;김윤식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5호
    • /
    • pp.63-72
    • /
    • 2009
  • 경남지역은 수도권에 이어 우리나라 최대의 화훼류 생산지역이다. 경남지역에서 화훼류가 재배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중반으로 우리나라에서 화훼 재배가 가장 먼저 도입된 지역이기도 하다. 경남지역은 2006년에 전국 화훼 재배면적의 16.2%를 차지하고 있으며 판매액으로는 14.3%를 차지하고 있다. 경남지역 화훼류 생산의 가장 큰 특징은 절화류에 특화되어 있다는 점인데, 경남지역 화훼 재배면적 가운데 절화류는 77.6%를 차지하고 있다. 또 다른 특징은 도시 확장과 함께 부산지역을 포함하여 경남지역의 화훼산업이 지속적으로 위축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일본시장에서 중국산 화훼류와의 경쟁도 강화되고 있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경남지역 화훼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대외적으로 품질 및 가격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하며, 대내적으로 가용한 토지를 확보가 시급한 문제라 할 수 있다.

Scopolamine 유발 기억 손상 마우스 모델에서 국산 산사와 중국산 산사의 항건망 효과 비교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s of Korean and Chinese Crataegus pinnatifida on Scopolamine-induced Memory Impairment in Mice)

  • 이지혜;김혜정;이찬희;박상혁;정철종;백경연;신진기;정지욱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375-383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gnitive improvement and memory recovery effects of Korean and Chinese Crataegus pinnatifida ethanolic extracts on scopolamine-induced memory impairment in mice. In vivo studies were carried out with mice treated with Korean Crataegus pinnatifida extracts (KCF) and Chinese Crataegus pinnatifida extracts (CCF) in doses of 5 and 50 mg/kg (p.o.) and scopolamine was injected 30 min before the behavioral testing. Antioxidant activity was assessed by 2,2-diphenyl-1-picryl hydrazyl (DPPH) assay and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ssay, an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ion by Ellman's modified method. The chlorogenic acid and hyperoside as marker compounds of KCF and CCF was quantified by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alysis (UPLC). Results showed that KCF was more contained high content of chlorogenic acid and hyperoside than CCF. In addition, KCF was more exerted free radical (DPPH and ABTS) scavenging activity and blocked AChE activity than CCF. In vivo studies also showed that KCF administration has a further improved the memory of scopolamine-treated mice than CCF in Y-maze test, passive avoidance test and Morris water maze test. These results revealed that KCF more prevents scopolamine-induced memory impairments through antioxidant and acethylcholinesterase inhibition effect compared CCF.

다소비 식품의 식품첨가물 사용 실태조사 (The Survey on Food Additives in Frequently Consumed Food)

  • 서계원;양용식;조배식;강경리;김종필;김은선;박종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2-148
    • /
    • 2008
  • 2007년 3월부터 11월까지 광주지역에 소재하는 재래시장과 할인마트에서 구입한 건과류 채소류와 건포류 등 94건, 전통 막걸리 판매점 등에서 구입한 탁류 23건, 모두 117건을 구입하여 식품첨가물인 이산화황, 타르색소와 인공감미료를 조사하였다. 건과류 채소류와 건포류 등 94건에서 이산화황을 조사한 결과 17건에서 $11.5{\sim}4,452.3\;mg/kg$이 검출되었으며, 식품공전의 기준을 적용한 결과 건조과실류인 대추채 2건이 각각 2,476.6 mg/kg, 4,452.3 mg/kg이 검출되어 부적합하였고, 중국산 건방울 토마토에서 88.9 mg/kg, 국내산 건호박에서 1,653.7 mg/kg이 검출되어 부적합 판정되었다. 또한, 주류 23건을 구입하여 인공감미료와 타르색소를 검사한 결과, 탁주에서 사용할 수 없는 인공감미료인 삭카진나트륨이 2건에서 0.4 mg/kg, 11.1 mg/kg이 검출되었으며, 합성 착색료로 주류에서 많이 사용할 가능성이 있는 황색5호 등 타르색소는 검출되지 않았다.

콩나물에서 발견된 유전자 변형 도입 유전자의 비의도적 혼입 조사 (Detection of Genetically Modified Genes from Soybean Sprout Products)

  • 윤성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27-231
    • /
    • 2004
  • 최근 급격히 증가되는 유전자 변형 식품의 안정성 논란과 관련하여 콩나물 및 콩나물 원료에 사용되는 국산 및 수입산 콩에 대한 유전자 변형 유전자의 정량 검사를 실시하고, 미량이나마 함유된 변형 유전자의 도입과정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콩나물의 유전자 변형 농산물 검사는 2000년과 2001년에 원료콩 96건, 완제품 123건 등 총 219차례 실시하였다. 2. 원료콩에서는 단 한 건의 양성반응도 없었던 반면, 완제품에서는 2000년에 3건, 2001년에 8건에서 0.01-0.17%의 함량으로 CP4EPSPS 또는 35S promoter도입유전자가 검출되었으며 이는 법적 기준치인 3%보다 훨씬 낮은 비의도적 혼입이었다. 3. 외래유전자가 검출된 11건의 완제품은 국산콩으로 만든 7개 제품과 중국산 수입콩으로 만든 4개 제품이었다. 4. 이들 도입 유전자의 원료콩 및 제조과정 중 유입 경로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료를 검사하였다. 샘플은 양성반응제품 원료콩 전수검사, 원료콩 표면, 저장고 바닥 및 정선기 주변, 그리고 콩나물 제품 포장 필름 표면 및 포장지 원료로 사용되는 옥수수 타분의 유전자 변형 여부를 정량검사하였다. 이들 중 두 개의 옥수수 타분 시료에서만 0.1%의 35S promoter 유전자가 검출되었다. 5. 콩나물 포장 공정 중 옥수수 타분을 사용하는 포장지에서 유래되는 변형 유전자 오염을 제시하였다. 향후, 콩나물 변형 유전자 검사시 용수, 필름 표면 등 제품주변에 존재하는 도입 유전자의 정량분석 방법 구축과 원료콩 샘플 방법 및 샘플량의 표준화가 시급히 필요하다.

GC-MS 를 이용한 전통민속소주의 향기성분 분석과 다변량통계해석 (Determination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Flavour Components in the Korean Folk Sojues Using GC-MS)

  • 이동선;박혜성;김건;이택수;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750-758
    • /
    • 1994
  • 우리나라 전통민속소주를 비롯한 중국산 카오리양츄, 스카치위스키, 일본산 소주틀 polydivinyl benzene으로 고체상추출 농축한후 GC와 GC-MS로 향기성분을 분석 하고 다변량통계해석을 적용하였다. 우리나라 민속소주에는 끊는점이 비교적 높은 ethyl succinate, ethyl pelargonate 와 같은 에스테르 향기성분함량이 높아 뒷맛을 느끼게 하는데 비하여 카오리양츄는 끊는점이 낮아 휘발성이 강한 ethyl acetate, ethyl butyrate등의 함량이 많아 처음맛이 강렬하게 느껴진다고 생각된다. 민속소주에는 furfural의 함량이 비교적 많았으며 전통민속소주에는 isopentyl acohol의 함량이 isobutyl acohol 또는 n-propyl alcohol 의 함량보다 상대적으로 많은데 비하여 카오리양츄는 n-propyl alcohol함량이 높온 차이를 보였다. 다변량통계해석학의 한 기범인 주성분분석을 적용한결과 민속소주는 제1주성분점수가 비슷하였으나 제2주성분점수는 편차를 보였으므로 전통민속소주로서외 공통점이 있으면서도 각 시료별로는 고유한 특성이 인정되었다. 주성분분석과 판별분석을 통하여 중류주 상호간의 동질성과 이질성을 파악하므로서 분류동정 뿐만아니라 품질평가나 개선에 매우 유익한 객관적 정보를 도출해낼 수 있었다.

  • PDF

엽록체 염기서열을 통한 너도밤나무(너도밤나무과)의 기원 추론 (Sea, wind, or bird: Origin of Fagus multinervis (Fagaceae) inferred from chloroplast DNA sequences)

  • 오상훈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13-220
    • /
    • 2015
  • 울릉도의 낙엽활엽수림에 우점하고 있는 너도밤나무를 대상으로 엽록체 반수체형(haplotype)의 다양성과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울릉도 전역에서 채집한 총 144개체로부터 psbA-trnH 구간의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너도밤나무의 근연종을 포함하여 계통분석을 수행한 결과, 너도밤나무의 엽록체 반수체형은 일본산 F. japonica와 중국산 F. engleriana 분계조와 자매관계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석한 모든 너도밤나무의 개체들은 동일한 염기서열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엽록체 반수체형의 다양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동위효소 분석에 근거한 유전자 다양성이 매우 높다는 기존 연구 결과와 대비되는 것으로서, 너도밤나무는 핵 유전자의 다양성은 높으나 엽록체 유전자의 다양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되며, 이것은 두 가지 가설로 설명할 수 있다. 하나는 너도밤나무의 조상이 울릉도로 이주하여 정착할 초기 단계에서 엽록체 반수체형이 지역적인 구조를 갖는 조상 모집단으로부터 종자가 지속적으로 유입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육지의 조상 모집단으로부터 새 또는 태풍에 의해 소수의 종자가 유입되어 정착한 후, 바람에 의해 조상 모집단의 화분이 지속적으로 유입된 결과인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울릉도 내의 대양한 고유 자생식물의 기원을 규명하는 데 있어서 모계유전을 함으로 인해 종자의 이동을 추적할 수 있는 엽록체 DNA에 근거한 비교계통지리학적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마라소스 주원료인 고추 및 산초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비만 효과 (Anti-oxidant and Anti-obesity Effects of Red Pepper and Zanthoxylum schinifolium Ethanol Extract, Main Ingredient of Mara Source)

  • 공연희;최금부;김태석;여익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0호
    • /
    • pp.1544-155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in vitro에서 중국 사천지역 고추와 산초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확인 후,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도된 비만 마우스를 이용하여 중국 사천지역 고추, 산초, 고추와 산초복합물 투여 후 체중, 간과 복부 피하지방 무게, 혈중지질 함량을 측정하여 항비만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 여부를 조사하였다. 실험군은 일반식이군, 고지방식이군, 고지방식이에 고추 및 산초, 고추와 산초복합물, HCA(hydroxyl citric acid)를 경구투여한 군의 6군으로 분류하여 8주간 사육 후, 체중, 간, 피하지방, 혈중지질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지방식이만을 섭취한 군은 일반식이군과 비교하여 체중, 간, 복부 피하지방, 혈장지질 농도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고지방식이에 고추와 산초 에탄올추출물을 경구투여한 군에서 8주 후 고지방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체중을 감소시켰고, 복부 피하지방 양은 고지방군 3.77 g, 고추군, 산초군, 고추와 산초복합군은 각각 0.88 g, 0.9 g, 0.97 g으로 농도 의존적으로 복부 피하지방 양을 감소시켰다(P<0.05). 혈중 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켜 혈액 내 지방의 축적을 저해하였고, HDL 콜레스테롤 농도가 고지방군에 비해 고추, 산초 및 고추와 산초복합군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여(P<0.05) 조직 중의 콜레스테롤을 간으로 운반하여 콜레스테롤의 분해 및 배설을 촉진하여 조직 중의 콜레스테롤량을 감소시켜, 고추 및 산초에탄올추출물 투여가 마우스의 비만을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두의 가공특성 및 원산지별 조사처리 판별 연구 (Identification of irradiated soybean with different processing and origin)

  • 정유경;이혜진;이지연;최장덕;권기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52-257
    • /
    • 2017
  • 식품의 다양한 가공특성별 조사처리 식품의 분석법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감마선과 전자선 조사처리 대두의 가공특성(건조, 분쇄) 및 원산지(국산, 중국산, 미국산)별 물리적 확인시험법을 이용한 판별 특성을 확인하였다. 광자극발광(PSL) 분석 결과 비조사시료는 266-395 count/min으로 $700^{\circ}C$ 이하의 값을 나타내어 음성(negative) 값으로 나타나 조사처리 되지 않은 시료로 확인되었다. 감마선과 전자선을 조사처리한 대두는 감마선의 경우 5,815-39,591 count/min, 전자선의 경우 5,791-60,055 count/min의 결과로 모두 5,000 count/min 이상인 양성(positive)값을 나타내어 대두는 가공특성, 선종, 선량에 관계없이 조사처리 판별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열발광분석(TL)을 통한 조사처리 확인에서는 비조사 시료는 $300^{\circ}C$ 이상에서 자연방사선에 의한 발광곡선을 나타내었고 감마선과 전자선 조사처리 대두에서는 $150-250^{\circ}C$에서 조사처리에 의한 최대곡선을 나타내어 조사처리 판별이 가능하였다. 전자스핀공명 분석 결과는 건조대두의 껍질에서 조사 처리에 의한 cellulose radical이 확인되었으며 분쇄한 대두의 경우에는 비조사시료와 조사처리에 의한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조사처리 판별이 어려운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