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고등학교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28초

농촌지역 중·고등학교의 교과교실제를 위한 공간 재배치 특성 (A Comparison Study on Spatial Rearrangement for the Departmentalized Classroom System in Middle and High School in the Rural Area)

  • 양금석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37-44
    • /
    • 2014
  •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floor plan of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rural area. Recently, man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are remodeling the buildings and facilities based on the departmentalized classroom system. This study, through analyzing on 4 remodeling cases of middle and high schools in gyeongnam. This article discuses about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plan composition and the education programs of 4 schools. This study is showing the variation before and after remodeling and space organization typ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Home-room and home-base should be more faithfully. Various common space is needed to comfortable school life of students. In case of side corridor type plan, moving path is much needed. Sample schools took much more spaces of home base than before. This article discusses about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floor plan and the actual condition of the school facilities.

초.중등학교 정보자료실 모형개발연구 (A Study on the Information Resource Center(IRC) for K-12 Schools: Prototypical Unit Design)

  • 임영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호
    • /
    • pp.34-41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a prototypical unit design for the Information Resource Center(IRC) for K-12 schools in Korea. Literature from various sources were examined.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sixty-thre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Korea. A case study was conducted to two elementary schools in Korea and one elementary school in Portugal. Design standards and prototypical unit design for the IRC were developed applicable to existing K-12 schools in Korea. The prototypical unit design suggested in this study optimize the needs of the students, teachers, and neighborhoods for the space of information, reading, consultation, graphic production, and group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re needs consistent government educational policies, increased financial investment on computers and supporting media facilities, and partnership with the design professionals.

  • PDF

O2O서비스를 적용한 중고서적 판매 앱 설계 (Development of used book sales application with O2O service)

  • 장재준;조상현;이수정;조대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049-1050
    • /
    • 2017
  • 학기가 시작되면 많은 대학생들이 새로운 강의를 듣기 위해 교재를 구매한다. 그 과정에서 대부분의 학생은 통상 학교 내에 설치된 구내서점을 이용하게 되나, 학교 내 서점의 특성상 오프라인으로 판매가 진행되며 구비된 도서의 세부적인 정보를 사전에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O2O 서비스를 활용하여 교내서점을 온라인과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고 추가적으로 중고서적을 등록 판매 가능하도록 하였다. 사용자의 편리성이 중요시된 현대사회에서 온라인 기술의 정확성, 편리성 등을 적용하여 오프라인에서의 효율 증대를 꾀하고자 한다.

충북지역 교과교실제 중·고등학교의 학생 및 학습지원공간 연구 (A Study on Student & Learning Support Spaces of Departmentalized Class System at Middle & High Schools in Chungbuk)

  • 정진주;이지영;이재형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47-54
    • /
    • 2011
  • According to the master pla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departmentalized class system will be extended to all general middle & high schools by 2014 with the exception only of those having less than 6 classes located in small cities in rural areas. Under departmentalized class system, according to class timetable, students need to move from classroom to another classroom and areas where homebases, lounges, media spaces, rest places, and etc. This study has been undertaken to provide architectural data required in planning for student & learning support space for schools operating departmentalized class system,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cases in use at schools operating the system in Chungbuk area. As departmentalized class system is increasingly introduced, student & learning support space should be understood newly as spaces indispensable for students.

2000년 이후 중.고등학교 시설의 건축 특성 연구 - 교육과학기술부 선정 '우수시설학교' 수상작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rchitectural Characters of well-designed middle and high school buildings in 2000's - On Winning Works of 'The Excellent Facility School Award' b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

  • 성은영;양상현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5-35
    • /
    • 2012
  • The function and the role of school are changing according to various future-oriented education models such as open-ended learning cycle, community learning center, re-schooling, network system and de-schooling, which reflect recent social demands related to discussions on sustainability, low birth rate and ageing. what changes to our school buildings have been there? This study is aimed that shows the architectural change of school buildings and environments in 2000's. It reveals the architectural tendancy through some school buildings, 'the excellent facility school award' winner which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have chosen annually since 1998. In the past decade, it is outstanding change that mass composition, window patterns and exterior wall materials are diversified greatly. The most of them have a opened main hall and multi-purpose spaces which give effective educational environment to students. Although visual changes are outstanding, we still need qualitative educational space program and improved school building design according to future-educational demands.

표집오차(sampling error)와 표집분포(sampling distribution)의 용어 사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Using the Terminology of Sampling Error and Sampling Distribution)

  • 김응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309-316
    • /
    • 2006
  • 이 논문에서는 현재 중등학교 수학의 통계교육에서 다루고 있는 통계용어의 의미상 혼선과 애매한 내용을 수학교사를 대상으로 알아보고, 표본평균의 확률분포에 대한 지도 영역에 있어서 표집(sampling, 표본추출)의 문맥에서 표집오차(sampling error)와 표본평균의 표집분포(sampling distribution)라는 용어를 도입하여 일관성 있게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현행 중고등학교의 수학과의 통계의 용어 정의와 개념설명에 있어서, 교육부가 검정한 12종의 검정 교과서와 국정교과서 간에서도 차이는 물론 의미의 혼선과 함께 정의의 일관성의 부족은 통계를 교육하는 수학교사와 학생들에게 심각한 오개념을 형성하게 만들고, 그 애매함으로 인하여 통계학의 학문 자체에 대한 흥미와 태도의 정의적인 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표본평균의 확률분포의 효율적인 지도를 위한 표본오차 대신에 표집오차를 사용할 것과 표집분포의 용어를 도입함으로서 통계용어의 정확한 사용을 동하여 교사와 학생들에게 통계용어의 올바른 개념의 형성과 이해는 물론 통계교육의 일관성과 계열성 유지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PDF

중등학교의 교육 기자재 및 콘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the Educational Equipments and Contents of Secondary School)

  • 박순화;박재흥;서영건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97-205
    • /
    • 2015
  • 현재 중고등학교에 교과교실제의 도입으로 학교 내에 교과전용 교실이 마련되고 교실 내 실물 화상기, 전자칠판, 교육용 촬영기 등 다양한 첨단 교육 기자재들이 비치되어 수업에 도움을 주고 있다. 이러한 기자재의 증가에 따라 각 교육 기자재의 리모컨 개수도 증가한다. 이로 인해 리모컨을 관리하는데 번거로움이 발생하고 기자재의 성격에 따른 운용법도 익혀야 한다. 이에 본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리모컨으로 교육 기자재를 통합관리 하는 원격 제어와 강의 보조 기능을 지원한다. 제안하는 리모컨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고, 하드웨어는 일반 리모콘과 유사하지만, 소프트웨어는 교사용 PC에 설치되어 운용되어 원격 제어, 강의 녹화, 판서, 기자재 자동 종료 등을 지원한다. 본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교과 교실제를 시행하는 학교에서 교사가 교육 기자재 제어로 인해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필요 없는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었다.

한국(韓國) 교육(敎育)의 실패(失敗)와 개혁(改革)

  • 이주호;우천식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20권1_2호
    • /
    • pp.79-151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교육의 근본적인 문제를 학교교육의 저효율과 시험 위주의 교육왜곡이라는 두 가지 문제로 파악하는 한편, 과열된 과외, 치열한 입시경쟁, 미흡한 교육투자 등을 핵심문제로 보는 기존의 시각을 비판하였다. 또한 우리는 학교교육의 저효율과 시험 위주의 교육왜곡이 '교육실패'라고 부를 수 있을 정도로 매우 심각한 수준에 도달하였다는 것을 실증적 근거를 통하여 보여주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우리의 교육실패에 대한 원인으로서 중앙정부의 교육부와 지방교육자치단체인 교육청이 우리 교육의 거의 모든 과정을 일일이 규제하고 통제함으로써 교육주체들의 유인(incentive)을 빼앗아가고 있는 점에 주목하였다. 우리의 교육실패는 교육부문에서의 정부실패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시각에서, 1980년의 교육개혁은 정부규제를 오히려 강화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는 측면에서 실패한 개혁이며, 1995년의 개혁은 방향 설정은 제대로 되었으나 실행과정에서 많은 문제가 있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향후 교육개혁의 방향으로 보다 과감한 규제완화(deregulation)와 분권화(decentralization)를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정책 대안으로는, 대학의 학생선발의 완전한 자유화, 시 도 교육청의 시 도청 관할로의 통폐합, 자립형 사립중고등학교 및 탈규제학교제도의 도입, 교원인사제도의 개혁, 과외에 대한 정부규제의 철폐 등을 건의하였다.

  • PDF

학교 급식 조리 종사원의 위생 관리 실태와 위생 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tual Sanitary Management Conditions and Education Plan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 엄영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37-249
    • /
    • 2010
  • 본 연구는 양질의 급식 제공과 학교 급식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학교 급식 조리 종사원들의 위생 관련 실태와 위생 교육 내용을 분석하고 위생 관련 직무 및 체계적인 위생 교육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연구되었다. 일반적인 연구 결과를 얻기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지역의 학교 급식 업무에 종사하는 급식조리사를 대상으로 표본조사를 실시했다. 아울러 가설검정을 위해 SPSS v14.0KO을 이용한 기초통계분석,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얻어진 요인적재치를 이용한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학교급식 간 위생 관리 실태는 '중고등학교'의 급식소에서 '초등학교'보다 위생 관리 실태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급식 환경에 따라 위생 실천 방안으로 초등학교 급식 종사원에 대한 보다 세심한 관리가 요구되며, 특히 급식 규모가 500명 이하의 급식업소의 종사원의 실천 수준의 제고방안이 요구된다. 또한 외부에서 부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위생 교육이 내부에서 실시하는 위생 교육보다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학교 급식 관계자는 급식 조리 종사원에 대한 위생관리 결과를 참고해서 교육 방안을 수립 및 실천한다면, 더욱더 안전한 식품을 학생들에게 보급할 수 있고, 나아가 학교 급식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핵심 개념 중심의 정보 윤리 영역에 대한 초등학교 정보과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Information Ethics Curriculum Centered on Core Concepts for Elementary School)

  • 정영식;신수범;김철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733-742
    • /
    • 2017
  • 최근,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포함된 초등학교의 SW교육 시수가 너무 부족하여, 더 많은 수업 시간을 확보해달라는 요청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정보교육학회에서는 차기 2020 교육과정 개정을 위해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정보과 교육과정 표준 모델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KAIE 교육과정은 중고등학교 정보과 교육과정과의 연계가 부족하고, 핵심 개념 중심의 성취기준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아, 현장 교사들이 재구성하여 운영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현장 교사를 중심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정보 윤리 영역에 필요한 핵심 개념을 인터넷 예절, 개인정보 보호, 정보 생활, 저작권 보호 등 4가지로 선정하고, 그에 따른 성취기준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