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줄기 신장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3초

티크의 기내 줄기 생장 및 발근에 미치는 LED (light-emitting diode) 효과 (Effect of light-emitting diode (LED) on in vitro shoot growth and rooting in teak (Tectona grandis L.))

  • 이나념;김지아;김용욱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6권4호
    • /
    • pp.291-296
    • /
    • 2019
  • 본 연구는 티크의 기내 생장 및 발근에 미치는 light-emitting diode (LED)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티크의 정아 절편체의 줄기 신장은 LED 혼합광(BR, 50% 청색광 + 50% 적색광) 하에서 DKW 배지 배양 시 3.2 cm로 가장 좋았고, 줄기유도는 광원 및 배지(MS 및 DKW) 효과가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BA 농도 처리 시 최대 줄기 유도는 BR 광원 및 1.0 mg/L 처리구에서 2.4개, 최대 줄기 신장은 BR 및 0.5 mg/L 처리구에서 4.94 cm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발근에 영향하는 IBA 농도 효과는 정아 절편체를 BR 및 0.5 mg/L 처리구에서 배양 시 최대 발근율(93.8%)과 최대 뿌리 길이 신장(1.3 cm)을 보였고, 뿌리 수는 0.2 mg/L (3.1개/절편) 처리구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발근 식물체는 상토로 이식 후 순화 과정을 거쳐 정상적은 생장을 보였다.

보리호위축병 (Barley yellow mosaic virus)에 의한 보리의 생육 피해 및 세포학적 변화 (Growth Damage and Alteration of Cellular Tissue of Barley Infected by Barley yellow mosaic virus)

  • 박종철;이재동;서재환;김양길;정선기;김형무
    • 식물병연구
    • /
    • 제10권1호
    • /
    • pp.34-38
    • /
    • 2004
  • 보리호위축병(BaYMV)에 의한 보리의 생육 피해 및 세포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보리호위축병에 이병된 포장의 보리는 생육 및 수량 구성요소가 피해를 받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보리호위축병에 의해 간장은 건전주에 비해 25cm 작아져 36%의 간장 단축율을 보였으며, 이 줄기신장의 억제는 $m^2$당 수수와 수당립수 등을 감소시켰다. 이들 생육의 피해로 인해 이병포장에서의 수량은 건전포장에 비해 70%이상 감소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BaYMV에 감염된 보리 잎에는 전형적인 Bymovirus의 pinwheel형의 세포내 봉입체의 형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BaYMV는 줄기 신장과 관계가 있는 줄기와 추수도, 그리고 마디조직의 세포 신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줄기의 세포는 표피세포의 길이나 유관속 조직 크기와 같은 세포 생장에 큰 피해를 받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추수도 조직에서는 섬유조직과 cortex 세포의 크기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며, 마디 조직에서는 건전주의 조직 전체 크기가 이병주에 비해 1.5배 정도 큰 결과를 보였다. 이들 결과는 BaYMV의 감염은 세포의 신장이 억제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보리의 줄기 신장과 생육을 억제하게 되어 결국 수량 감소를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류나무 성숙 절간조직으로부터 식물체 증식 (Shoot Regeneration of Mature Nodal Segments in Poplar (Populus deltoides))

  • 양희선;강호덕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03-409
    • /
    • 2005
  • 미류나무 절간조직(2년생)을 이용하여 식물생장조절물질이 함유된 MS배지에서 대량의 식물체를 증식시켰다. 대부분의 식물체는 BA 1.0 + TDZ 0.1 mg/L가 함유한 배지에서 줄기의 형성층 부분에서 절편당 $24.6\;{\pm}\;4.6$개의 줄기가 유기되었으며, 몇몇 줄기는 피목 부분의 조직에서 유기되었다. 신장된 줄기는 NAA 0.01 mg/L가 포함된 배지에서 $94.6\%$의 발근이 이루어졌다. 신장된 줄기의 발근은 식물생장조절물질에 따라 차이를 보여 NAA와 IBA에서 $90\%$ 이상의 발근이 촉진되었으나, cytokinin류를 처리한 시료에서는 $50\%$ 이하의 낮은 발근율을 나타냈다. 발근된 유식 물체는 Cell-tray의 인공상토(peatmoss : vermiculite : perlite = 1 : 1 : 1)에 이식하여 8주간 생육후 $98\%$의 높은 생존율을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 2년생 미루나무류의 줄기에서 직접 대량의 줄기를 유도하여 대량증식과정을 단순화 시켰을 뿐만 아니라 조직배양묘 경화시 multi-cap을 이용하여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멸종위기종 둥근잎꿩의비름 (Hylotelephium ussuriense (Kom.) H. Ohba)의 기 내 증식 (In vitro propagation of endangered species, Hylotelephium ussuriense (Kom.) H. Ohba)

  • 배기화;유경화;김지아;윤의수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1권1호
    • /
    • pp.38-43
    • /
    • 2014
  • 멸종위기수종인 둥근잎꿩의비름 기내 부정아유도에 미치는 식물생장조절물질의 종류 및 배양부위의 영향과 기내생육 및 엽록소함량에 미치는 배지, sucrose 농도 및 배양용기에 따른 환기효과를 연구하였다. 부정아 유도는 3.0 m g/L의 BA와 0.01 mg/L의 IBA가 첨가된 배지에 액아포함 줄기를 배양하였을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 기내 부정아의 줄기와 뿌리 신장에 MS배지의 농도와 sucrose의 농도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환기처리가 기내 건전 식물체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기내 환기처리구는 줄기신장에 효과적이었고, 뿌리의 신장은 유의적 차이는 없이 모든 실험구에서 10 cm 이상 증식하였다. 엽록소의 함량은 환기처리 시 총엽록소 함량이 3.12 mg/g으로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둥근잎꿩의비름의 부정아 유도에 농도와 배양부위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기내식물체 신장에 미치는 배지 및 sucrose농도의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내 건전식물체의 생산은 환기가 용이한 배양용기하에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베레린, 오옥신, 카이네틴 처리가 수수 및 진주조의 재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 IAA, Kinetin on Plant Regrowth of Sorghum(Sorghum vulgare Per.) and Pearlmillet (Pennisetum typhoides Stapf.) after Cut)

  • 서종호;이호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41-148
    • /
    • 1992
  • 화본과 청예작물의 예취후 재생시 식물호르몬의 반응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수와 진주조에서 각각 생육 특성이 다른 두 품종씩을 선택하여 줄기신장기와 개화기에서 예취한 후 식물생장조절제 IAA, GA, Kinetin을 처리하여 나타난 재생반응을 조사 하였다. 1. Kinetin 처리는 품종과 예취시기에 관계없이 모두 분얼수을 증가시켰으나 재생건물중은 처리에 따른 재생 생육의 저조로 감소되었다. 그러나 수수에서 지하부가 수분 과다스트레스를 받아 분얼의 재싱이 나쁠 때 Kinetin의 처리는 분얼수 및 엽신장을 증가시켰고 이에 따라 수수의 재생건물중도 증가되었다. 반면 IAA의 처리는 무처리와 차이가 현저하지 않았다. 2. GA 처리는 모두 재생분얼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수수에서 재생력이 약한 P931의 GA에 의해 분얼을 확보하지 못해 거의 고사하였고 재생력이 좋은 Jxu-sue은 분얼은 확보하였으나 GA에 의해 도장하는 2차적 효과를 나타내었다. 진주조에서도 GA 처리에 의해 신생분얼의 발생은 억제되었는데 특히 GA는 상대적으로 기존분얼의 발생은 억제되었는데 특히 GA는 상대적으로 기존분얼의 신장을 증가시켜 신생분얼의 발생을 더 억제하였다. 3. 수수와 진주조의 예취후 저장탄수화물 함량 변화를 보면 줄기신장기 예취에서는 재생 초기 재생분얼의 생성으로 감소하였다가 재생분얼의 광합성이 재개됨에 따라 예취 후 7일 째부터 증가 하였다. 그에 반해 개화기는 재생원기의 노화에 의해 분얼의 생성과 신장이 느려 저장탄수화물이 소모되는 기간이 예취 후 14일까지 연장되었고 저장탄수화물 함량이 증가속도도 낮았다. 4. 예취 후 수수의 재생에서 GA 처리가 다른 PGR 처리에 비해 저장탄수화물을 많이 감소시켰으며 따라서 수수의 재생 후기의 저장탄수화물 함량의 회복도 불량하였다. 그 반면 진주조에서는 GA 처리에 의해 기존분얼의 신장이 촉진되어 동화작용을 할 수 있는 엽이 초기에 확보됨으로서 재생후기 진주조의 저장탄수화물 함량은 양호하게 증가되었다. 5 수수와 진주조 모두 재생건물중은 재생초기 탄수화물의 소모량과는 상관관계가 없었고 재생건물중이 분얼수와 예취후 7일간의 초장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져 예취 후 재생은 예취시 저장탄수화물 함량보다 그 재생원기의 활력이 중요하였다. 특히 진주조에서는 개화기가 줄기신장기보다 재생분얼원기가 심하게 노화되어 재생분얼수 및 엽신장이 현저히 감소되었고 따라서 예취후 재생건물중도 현저히 감소되었다.

  • PDF

줄기세포 연구를 위한 급성신장손상 모델 (Acute Kidney Injury Models: Focus on the Therapeutic Effects of Stem Cell in Preclinical Approach)

  • 남현숙;우재석;우흥명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33-539
    • /
    • 2010
  • 최근 줄기세포를 이용한 재생의학분야의 세포치료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복잡한 구조를 갖는 신장에서는 난치성 질환인 급성신부전에 대한 줄기세포 치료의 효과는 아직도 논란의 여지가 많다. 이는 연구자마다 다양한 동물모델을 사용하는 것이 한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줄기세포의 치료효과 분석을 위한 최적의 동물모델 조건을 확립하고자 한다. 쥐를 사용하여 세 종류의 급성신장손상모델을 다음과 같이 다양한 농도와 조건에서 분석하였다: glycerol (대조군, 8 ml/kg, 10 ml/kg), cisplatin (대조군, 5 mg/kg, 10 mg/kg)과 허혈/재관류 (대조군, 35 분 허혈, 45 분 허혈). 줄기세포의 재생능력 평가를 위한 모델의 적합성 정도를 신장손상과 회복의 형태적, 기능적 패턴과 생존률 분석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독성모델인 glycerol과 cisplatin은 각각 10 ml/kg과 7.5 mg/kg 농도에서, 그리고 허혈모델은 45 분 모델에서 대조군 및 다른 비교모델에 비해 장기간의 관찰 기간 동안 신기능의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또한 45 분 허혈 모델에서 50%의 사망률을 보인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군에서 관찰기간 동안 100% 생존율을 보였다. 조직소견에서 허혈과 glycerol 모델에서는 2일째, cisplatin 모델에서는 5일째 각각 유의적인 조직변화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관찰기간 동안 급격한 생존율 감소 없이 안전하고, 조직학적 평가와 신기능에서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cisplatin 7.5 mg/kg, glycerol 10 ml/kg, 35 분 허혈 모델이 치료효과를 평가하기에 적합한 모델로 사료되며, 줄기세포의 세포치료효과 분석에 적합한 급성신장손상 모델로 추천된다.

LED 광질에 따른 고구마의 묘소질 및 괴근 수량성 (Growth and Tuber Yield of Sweet Potato Slips Grown under Different Light-Emitting Diodes)

  • 이나라;이승엽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56-363
    • /
    • 2014
  • 몇가지 LED 광질이 고구마 바이러스 무병묘의 생장과 포장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신황미', '연황미', '맛나미' 등 3품종의 바이러스 무병묘를 20일간 담액수경 재배하여, 자연광하에서 10일간 순화시켜 30cm 크기의 삽수를 $75{\times}25cm$로 6월 10일 정식하여 흑색비닐로 멀칭재배하였다. LED 광질은 형광등(40W)을 대조구로 하여 적색(660nm), 청색(460nm), 적+청 8:2 및 적+청 7:3 혼합광을 사용하였다. 묘소질은 적+청(7:3) 혼합 LED에서 줄기신장, 줄기두께, 잎수 및 뿌리발달 등이 양호하여 건묘육성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정식 30일후, 포장 생존율은 적:청(7:3) 혼합 LED에서 형광등과 적색 LED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품종간 차이는 없었다. 줄기길이, 줄기두께, 마디수 등의 지상부 생육특성도 LED 광질 및 품종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정식 120일후 지상부 생육특성에서도 줄기길이, 줄기두께, 마디수, 곁가지수, 생체중 등에서 LED 광질에 따른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며, 줄기길이, 마디수, 줄기두께, 생체중 등에서 품종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주당평균중, 평균괴근중 및 수량 등은 LED 광질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품종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품종간 수량은 '맛나미'와 '연황미'에서 '신황미'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주목의 줄기절간 조직배양에 의한 급속 대량증식 (Rapid Micropropagation by Stem Node Culture of Japanese Yew)

  • 선정훈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335-337
    • /
    • 1995
  • 주목의 줄기절간 조직배양에 의한 다경줄기 유도를 위해 식물생장조절물질 중 4가지 형태의 싸이토키닌 효과를 조사 한 바, BAP, kinetin 및 thidiazuron의 경우 거의 반응을 보이지 않았으나, zeatin을 5 $\times$ $10^{-5}$M 처리하였을 경우 평균 6 개 이상의 다경줄기를 얻을 수 있었으며, 배양시료에 따라서 는 12개 이상의 다경을 형성하는 경우도 관찰되었다. 유도된 다경줄기를 지속적으로 계대배양하여 줄기를 신장시킨 후 이로부터 2 cm 크기의 기내삽목도 가능하였다. 기내발근율은 LP기본배지를 이용하는 것이 비교적 양호하였으나 효율은 3%에 지나지 않았다. 기외발근의 경우, 약 34%까지 발근율을 올릴 수 있었으며 포지에 이식시킨 조직배양묘는 1년이상 정상적인 생육을 보이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 PDF

단일처리 후 LEDs 광도에 따른 절화국의 줄기 신장과 광합성반응 (Stem Elongation and Photosynthesis Response of Cut Chrysanthemum under Different LEDs Light Intensity)

  • 정성우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5호
    • /
    • pp.23-27
    • /
    • 2010
  • 초장은 절화국의 외적 품질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실험은 단일처리 후 광량의 차이에 따른 절화국화 광합성 효율과 줄기 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growth chamber내에서 수행되었다. 정식 7일 후 단일처리 (day/night, 11/13h)를 개시하였으며 이때 광량은 LEDs array (blue+red)를 이용하여 60, 100, 140, 그리고 $180mol{\cdot}m^{-2}{\cdot}s^{-1}$로 각각 유지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 광도의 증가에 따른 순 광합성률은 꾸준히 증가하는 직선 회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광도의 차이가 꽃눈 분화의 시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초장, 엽면적, 그리고 건물중 등의 생육은 광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 하였으나 140과 $180mol{\cdot}m^{-2}{\cdot}s^{-1}$에서는 처리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LEDs array를 이용한 $140mol{\cdot}m^{-2}{\cdot}s^{-1}$이상의 광도는 절화국의 줄기 신장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광도의 증가에 따른 순 광합성률의 증가가 생육의 증가와 일치하지는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하늘나리와 날개하늘나리의 줄기 신장 억제와 개화율 향상을 위한 생장억제제의 이용 (Plant Growth Retardants Can Inhibit Stem Elongation and Improve Flowering Rate in Lilium concolor var. parthneion and L. dauricum)

  • 엄선정;박경일;오욱;김규원
    • 화훼연구
    • /
    • 제18권1호
    • /
    • pp.38-43
    • /
    • 2010
  •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하늘나리(Lilium concolor var. parthneion)와 날개하늘나리(L. dauricum)를 소형 분화로 개발하기 위해 생장억제제의 줄기 신장 억제 및 개화촉진 효과를 구명하였다. 조직배양으로 얻어 포장에서 1차 비대시킨 후 생체중이 각각 5-7g과 3-4g인 인경을 각각 0, 25, 50과 $100mg{\cdot}L^{-1}$의 ancymidol, diniconazole과 uniconazole 수용액으로 침지, 분무 또는 관주처리 하였다. 하늘나리에 있어서는 uniconazole 침지처리가 초장을 가장 크게 감소시켰는데, 그 농도에 따라 10.2-18.5cm로 대조구에 비해 60.7-78.3% 억제되었으며, 개화율은 농도에 관계없이 100%였다. 날개하늘나리의 경우, diniconazole 침지처리에서 줄기 신장의 억제 효과가 가장 커서, 초장은 농도에 따라 3.2-7.0cm로 대조구에 비해 70.0-86.3%나 억제되었으며, 개화율은 대조구의 0%에서 8.3-18.2%로 향상되었다. 그리고 ancymidol $25-50mg{\cdot}L^{-1}$의 관주처리도 날개하늘나리의 줄기 신장억제와 개화 촉진에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하늘나리와 날개하늘나리의 인경을 이용한 소형 분화 생산에는 각각 uniconazole $50-100mg{\cdot}L^{-1}$ 침지, 그리고 diniconazole $25mg{\cdot}L^{-1}$ 침지 또는 ancymidol $25mg{\cdot}L^{-1}$ 관주처리가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단, 본 연구에 사용된 날개하늘나리의 인경은 크기가 너무 작아 분화로서 상품성이 없었기 때문에 좀더 큰 구근을 사용한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