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준거 타당도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어판 간호사의 잡 크래프팅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Verificati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Nurse's Job Crafting Scale)

  • 이도영;제남주;김윤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3호
    • /
    • pp.339-350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판 잡 크래프팅을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한국어판 잡 크래프팅은 번역과 역번역을 하였으며 전문가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간호사 151명을 통하여 자가보고형식의 설문지를 통하여 SPSS/WIN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구성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고, 이 분석 결과를 통하여 모형 적합도와 집중타당도 및 판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준거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소명의식 도구를 사용하여 각 영역과의 상관관계를 구하였다. 신뢰도 검증을 위해 내적 일관성 신뢰도 계수(Cronbach's α)를 산출하여 확인하였다. 잡 크래프팅 도구 20문항 전체의 신뢰도 Cronbach's α=.93으로 제 1요인(구조적 직무자원의 증가, 5문항)은 .91, 제 2요인(방해적인 직무요구의 감소, 5문항)은 .87. 제 3요인(사회적 직무자원의 증가, 5문항)은 .83. 제 4요인(도전적 직무요구의 증가, 5문항)은 .87로 내적일관성 신뢰도도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고 Korean Version of Nurse's Job Crafting Scale이 적용 가능한 도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어판 간호사 잡 크래프팅 척도가 한국 간호사를 평가하기에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도구임을 보여준다.

정신장애인의 회복측정도구 개발 (The Development of a Mental Disorder Recovery Scale)

  • 이정숙;이선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639-647
    • /
    • 2013
  • 이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회복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3회에 걸친 요인 분석 후 고유값이 1.0이상인 요인이 총 3개 추출되었고 설명력은 58.1%였으며 모든 항목이 공통성과 요인적재량의 기준에 적합하여 삭제되는 문항이 없어 최종 25개 문항이 선정되었다. 준거타당도 검정에서는 Pearson 상관계수는 .71로 유의하였으며(p<.01) 각 요인과도 유의하게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신뢰도 검정 결과 Cronbach's ${\alpha}$ 계수는 .95였으며 각 요인별 Cronbach's ${\alpha}$ 계수는 .87에서 .93까지 분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3개 요인 25개 문항의 정신장애인의 회복 측정도구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모두 검정된 도구이므로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실무 및 연구영역에서 활용하여 회복을 촉진하도록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 간호활동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the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Scale for Clinical Nurses)

  • 김화영;류세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9호
    • /
    • pp.207-217
    • /
    • 2018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 간호활동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문헌고찰, 포커스그룹 인터뷰, 내용타당도 검증 및 사전조사를 통해 예비도구를 개발하고, 전국 종합병원급 이상의 병원을 대상으로 비례층화표본추출 방법으로 선정된 28개 병원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도구의 구성타당도는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준거타당도는 환자안전문화 도구와 상관관계로 분석하였고, 내적일관도는 Cronbach's ${\alpha}$로 검증하였다. 개발된 도구는 최종 10영역 72문항으로 구성된 4점 총화평정척도였고,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총 설명변량은 70.3%이었으며, 요인적재량은 .74이상이었다. 본 도구는 환자안전문화 측정도구와 유의한 상관관계(r=.51, p<.001)를 나타냈으며 Cronbach's ${\alpha}$는 .99였다. 결론적으로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 간호활동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본 도구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었고 실무현장에서 유용한 도구가 될 것이다.

임상간호사를 위한 한국형 대인돌봄행위 측정도구의 타당성 (Validity of the Korean Interpersonal Caring Behavior Scale (ICBS) for Clinical Nurse)

  • 이숙;최애숙;임소연;전열어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89-101
    • /
    • 2022
  • 본 연구는 김수지의 사람 돌봄 이론을 기반으로 사람 돌봄 행위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김수지의 사람 돌봄 이론을 통해 윤선희가 개발한 10개 개념에서 각 5문항씩 50문항으로 구성된 도구를 사용하였다. 대상자는 종합병원이상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로서 본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자로 하였다. 연구결과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초10개 개념의 50개 문항이 적극적 경청, 수용, 칭찬, 알아봄, 동행의 5개 개념, 32개 문항으로 도출되었고, 준거타당도,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이 도구는 대상자와 가족의 관점에서 돌봄 행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수량화함으로써 간호의 질적 향상을 가시화하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일상 속 성차별 경험 척도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Everyday Gender Microaggression Scale)

  • 김은하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4권4호
    • /
    • pp.593-61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간접적이고 미묘한 차별을 의미하는 마이크로어그레션(microaggression)이라는 개념을 적용하여 일상에서 여성들이 경험하는 성차별을 측정하는 척도, '일상 속 성차별 경험 척도(Everyday Gender Microaggression Scale; EGM)'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와 기존 척도를 고찰하고 설문지와 개인인터뷰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17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이 후 성인 여성 18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2요인, 14문항을 도출하였다. 또한 다른 성인 여성 표본 219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확인된 2요인과 14문항이 적합함을 재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EGM의 수렴 및 준거관련 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해 성차별 경험을 측정하는 기존의 성차별척도, 우울 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EGM의 학문적 의의, 활용방안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KEDI 리더십특성검사(간편형) 개발 및 타당화 연구 (A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EDI Leadership Inventory (Simplified))

  • 전미란;유경재;유효현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1호
    • /
    • pp.109-12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용 및 중 고등학생용 'KEDI 리더십특성검사(KEDI Leadership Inventory (Simplified)'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 및 기 개발된 리더십특성검사의 분석을 토대로 'KEDI 리더십 특성검사(간편형)'를 개발하였고,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되, 내적일치도, 내용타당도, 구인타당도, 준거타당도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본 검사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초등학생용은 .610-.838에 이르는 높은 신뢰도를 보여주었고, 중 고등학생용은 .734-.936에 이르는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내용타당도 분석을 위해 교사 3인의 심의를 통해 수정 보완하였고, 교육학 전공 전문가 2명에게 문항별로 적절성 정도에 따라 5점 척도로 평정하였다. 그 결과, 리더십 전체 검사 평균이 각각 4.23, 4.17을 받아 비교적 높은 수치를 보였고, 두 전문가 평정점수의 상관계수가 .676로(Spearman 상관관계 계수) 내용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구인타당도 분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모형적합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초등학생의 경우 CFI, TLI, RMSEA 지수가 각각 .954, .943, .068로 양호하게 나타났고, 중학생의 경우 CFI, TLI, RMSEA 지수가 각각 .935, .915, .070으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준거타당도 분석을 위해 학교 안팎에서 리더로 활동하는 직책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리더십 검사점수결과는 모든 리더 직책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성을 보여주었으나 특히 학급 내에서의 직책과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p<.01). 또한 영재교육경험의 유무에 따라 리더십 요인별 점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영재교육을 받아본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영재교육을 받지 않은 학생들보다 약 0.5점정도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 검증한 'KEDI 리더십특성검사(간편형)'은 개인이 내적으로 지니고 있는 특성과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외적으로 드러나는 개인 간 특성을 쉽고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어서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한 검사도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새로운 체전굴 측정 방법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New Instrument for Measuring of Trunk-Hip Forward Flexion)

  • 이건범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45-257
    • /
    • 2002
  • 이 연구의 목적은 간단하고 실용적이며, 타당성, 신뢰성, 객관성이 높은 체전굴 유연성 측정 도구를 개발하는데 있으며, D여자 대학교의 스포츠학 전공 여대생 44명이 자발적으로 연구의 피검자로 참여하였다. 새 측정 도구의 신뢰도와 객관도 검사는 재검법의 평균 측정값을 사용하여 이원 혼합효과 모델에 의한 급내 상관 계수를 산출하였다. 검사자별 1차와 2차의 급내 상관 계수는 L은 R = .994, Y는 R=.993, 1차와 2차 검사의 L과 Y검사자간 급내 상관 계수는 R = .985, R=.986으로 모두 상관도가 아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 개발한 체전굴 측정 도구의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Leighton-flexometer-tests의 원리를 이용한 Takei 의 flexometer를 준거 검사 도구로 사용하였으며, 1차 검사와 2차 검사에서의 새로운 체전굴 유연성 측정 도구와 준거 검사 도구 측정값의 Pearson 적률 상관계수는 각각 r = .962와 r = .960로 1, 2차 검사 모두 아주 높은 상관도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새로 개발한 체전굴 검사는 타당도, 신뢰도, 객관도가 매우 높고 실용적인 것으로 평가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통일에 대한 태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ttitude Toward Unification of Korea (ATU-K) Scale)

  • 최훈석;이하연;권영미;박주화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7권3호
    • /
    • pp.259-284
    • /
    • 2021
  • 본 연구는 국민들의 남북 통일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할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태도의 구조 및 태도와 행동의 관계에 관한 심리학 이론을 토대로 통일태도의 하위 차원인 인지와 정서 차원을 규정하고, 성별, 연령대, 거주지역을 기준으로 인구비례 할당표집을 이용하여 총 3,00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 1(N = 1,500)의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통일태도 척도(ATU-K)는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통일관련 태도와 개념적으로 수렴하였고, 진보-보수 정치성향 및 한민족정체성과는 변별됨을 확인하였다. 조사 2(N = 1,500)에서는 통일을 지향하는 개인행동과 집단행동 의도를 준거변수로 설정하여 ATU-K 척도의 준거관련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ATU-K 척도는 통일지향 행동의도를 예측함에 있어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통일관련 태도점수보다 예측력이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한국에서 통일과 관련된 학술 및 실용연구에 적용하는 방안과 장래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한글판 Children Participation Questionnaire(K-CPQ)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Children Participation Questionnaire)

  • 고유정;고수정;채수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63-170
    • /
    • 2019
  •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 299명을 대상으로 K-CPQ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여 국내 발달장애아동의 참여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임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K-CPQ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 ${\alpha}$값을 구하고 검사-재검사 신뢰도검사를 위해 Pearson 적률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K-CPQ의 각 영역에서 내적일치도(${\alpha}=.81{\sim}.90$)는 비교적 높은 신뢰도를 보였고, 검사-재검사 신뢰도검사에서는 Pearson 상관계수(r= .807~.843)가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K-CPQ의 판별타당도의 검증을 위해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 그룹의 각 영역을 비교한 결과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t=2.32~5.18)를 보였다(p<.05~p<.01). K-CPQ의 준거타당도 검증을 위해, K-SMS와 K-SFA의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한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 .817, r=.743)를 보였다(p<.01). 본 연구를 통해, K-CPQ가 신뢰도 및 타당도를 갖춘 평가도구임을 확인하였으며, 앞으로 K-CPQ의 다각적인 연구로 장애아동의 사회참여와 통합을 위해 적절한 중재를 제공하기 위한 평가도구로 유용하게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서비스 분류 틀 개발 및 타당도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lassification of Home-based Long-term Care Activities)

  • 송미숙;송현종
    • 한국노년학
    • /
    • 제34권2호
    • /
    • pp.369-38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서비스 대상자의 요양문제를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관리함에 있어서 수요자, 공급자, 제3지불자간의 소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서비스 분류 틀을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분류 틀을 구성함에 있어서 7개의 재가서비스 영역을 종축으로, 요양문제 목록화, 요양목표 설정, 서비스 제공이라는 재가서비스 과정을 횡축으로 설정하였다. 분류 틀을 고안하기 위하여 두 종류의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였고, 제1전문가 집단이 재가서비스 분류 틀을 설계한 후 제2전문가 집단이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여 재가서비스 분류 틀 초안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재가 서비스 분류 틀의 구성타당도와 기준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전국에서 152명의 재가서비스 수요자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분류 틀 내의 재가서비스 항목별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21개의 요양목표에 따라 114개 재가서비스 행위를 분류할 수 있었으며 행위분류 틀의 내적신뢰도 cronbach α가 0.9 이상으로 내적신뢰도가 확보되었다. 장기요양등급을 준거로 하여 기준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21개 요양목표 중 12개 요양목표의 요구도가 장기요양등급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재가서비스 분류 틀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여 노인장기요양보험 서비스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