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 유동방향

Search Result 209,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유동 방향으로 나열된 두 실린더 사이의 간격에 따른 공력특성 분석

  • Lee, Jong-Yun;Kim, Jeong-Hun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6.03a
    • /
    • pp.622-624
    • /
    • 2016
  • 교량의 케이블이나 송전선같은 원형 구조물들은 유동의 불안정성에 의해 물체 후방에 Vortex가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한 Vortex는 구조물에 진동과 소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원형 구조물들의 배열에 따른 해석을 진행하였다. 같은 크기의 두 원형 실린더를 주 유동 방향으로 정렬시킨 배열을 EDISON 전산열유체 시스템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두 원형 실린더의 중심의 거리를 1.5 D부터 5 D까지 변화시켜가며 거리에 따른 각 실린더의 Drag coefficient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두 원형 실린더 사이의 거리가 감소할수록 후류 쪽에 위치한 실린더의 Drag coefficient의 값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 PDF

Application of various flow visualization techniques on complicated three-dimensional flows (3차원 유동내에서 다양한 유동가시화 기술의 응용)

  • 정진택
    • Journal of the KSME
    • /
    • v.33 no.9
    • /
    • pp.803-810
    • /
    • 1993
  • 벽면에서의 전단응력 분포와 유동장 내에서의 3차원 유동 요소를 추적하는 유동가시화 기법중 에서 몇 가지를 그 응용 예와 함께 살펴보았다. 3차원 유동의 주요 특징들과 한계유선(limiting streamlines)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oil and lampblack 기법이 충분하나 유속이 작거나 유동의 방향이 분명하지 않은 곳에서는 ink dot 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좋다. Oil and lampblack 기법은 실험하고자 하는 유동의 조건에 따라 기름과 분말의 혼합비, 기름의 점도 등을 잘 선택하여야 한다. 안장점(Saddle point) 이나 재부착선(reattachment line)과 같이 성격상 중요한지점을 찾기 위해서는 털실 프로브(single tuft probe)가 유용하게 쓰이며, 이는 또 유동내에서 와동의 존재와 위치를 찾는데 쓰이기도 한다. 수치해석 결과 얻을 수 잇는 속도벡터와 같이 비교적 넓은 유동 장을 한눈에 관찰하기 위해서는 털실 격자망 (tuft grid)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각 털실은 그 지 점세서의 유동의 방향과 그 안정성(steadiness)를 나타내준다. 이러한 유동가시화 방법들은 각 유동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조건을 맞추기 위해서 많은 시행착오를 거쳐야 하며, 하나의 만족 스러운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많은 기술과 시간과 연습을 요구하고 있어서 다른 정량적인 측정 기술과 더불어 커다란 노력과 관심을 기울여서 발전시켜야만 할 것이다.

  • PDF

Study of the Internal Flow and Evaporation Characteristic Inside a Water Droplet on a Vertical Vibrating Hydrophobic Surface (수직 진동을 이용한 가열된 고체표면 위 증발하는 액적의 내부유동 제어연구)

  • Park, Chang-Seok;Lim, Hee-Cha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41 no.1
    • /
    • pp.37-46
    • /
    • 2017
  • Thermal Marangoni flow has been observed inside droplets on heated surfaces, finally resulting in a coffee stain effect. This study aims to visualize and control the thermal Marangoni flow by employing periodic vertical vibration. The variations in the contact angle and internal volume of the droplet as it evaporates is observed by using a combination of continuous light and a still camera. With regard to the internal velocity, the particle image velocimetry system is applied to visualize the internal thermal Marangoni flow. In order to estimate the internal temperature gradient and surface tension on the surface of a droplet, the theoretical model based on the conduction and convection theory of heat transfer is applied. Thus, the internal velocity increases with an increase in plate temperature. The flow directions of the Marangoni and gravitational flows are opposite, and hence, it may be possible to control the coffee stain effect.

Experimental Study on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n a Film-Cooled Flat Plate - Effect of Injection Angle and Blowing Rate - (막냉각되는 평판에서의 열전달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이상우;신세현;이택시;이준식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2 no.6
    • /
    • pp.1415-1427
    • /
    • 1988
  • The effect of injection angle and blowing rate on a film-cooled flat plate has been investigated experimentally. Three cases of 90.deg. injection, 35.deg. streamwise injection and 35.deg. spanwise injection are employed. The naphthalene sublimation technique in used to obtain local mass transfer coefficients. Thus heat transfer coefficients are evaluated using heat-mass transfer analogy. Schlieren photographs are taken to visualize the trajectory of injection fluid by introducing carbon dioxide gas through injection tubes. The experiments indicate that due to the injection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s increase significantly in the neighborhood of the infection holes, so the design of film cooled component must be based on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with injection as well as film cooling effectiveness.

Turbulent Statistics of the Turbulent Boundary Layer over a Cube-Roughened Wall (3 차원 입방형 표면조도가 난류경계층에 미치는 영향)

  • Lee, Jae-Hwa;Sung, Hyung-Ji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4 no.10
    • /
    • pp.917-923
    • /
    • 2010
  • Direct numerical simulation (DNS) of a spatially developing turbulent boundary layer (TBL) with regularly arrayed cubical roughness element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ree-dimensional (3D) surface elements. The staggered cubes downstream were periodically arranged in the streamwise and spanwise directions with pitches of $p_x$/k=8 and $p_z$/k=2, where $p_x$ and $p_z$ are the streamwise and spanwise spacings of the cubes; the roughness height (k) was k=$1.5{\theta}_{in}$, where ${\theta}_{in}$ is the momentum thickness at the inlet. Spatially developing characteristics over the 3D cubical roughness were compared with the data obtained from the DNS over the two-dimensional (2D) rod roughened wall and smooth wall. Introduction of the cubical roughness on the TBL affected the turbulent Reynolds stresses not only in the roughness sublayer but also in the outer layer; and these effects are consistent with those observed over the 2D rough wall.

Flow Path of Choosan Spring in Nari Basin, Ulleung Island, South Korea (울릉도 나리분지 추산용천수의 유동 경로)

  • Byeongdae Lee;Min Han;Dong-Hun Kim;Byong-Wook Cho;Chung-Ryul Ryoo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34 no.2
    • /
    • pp.207-216
    • /
    • 2024
  • This study clarified the flow path of Choosan Spring, Nari Basin, Ulleung Island, South Korea. The orientations of faults and fractures developed on the inner edge of the caldera were identified as major factors affecting the flow path. The main flow paths include fracture zones oriented N-S and E-W. The spring also flows in a NE or NNE direction under the influence of the irregular shape of the caldera, which slopes to the NNE. Using Entrobacteriaceae species as tracers, it was found that Nari groundwater flows toward Choosan Yongchulso. However, the small number of water samples used in the analysis limits our understanding of the flow path from Sungin Valley to Nari Basin and Choosan Yongchulso.

가시화를 이용한 SI 엔진의 연소 진단

  • 엄인용
    • 한국가시화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4a
    • /
    • pp.115-154
    • /
    • 2005
  • SI 엔진의 연소특징은 비정상 난류 예혼합 화염이며 여기서 내부 유동은 직접 화염 전파에 영향을 미치며 난류와 거시적 유동의 패턴 모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내연기관 연소에서 난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통상 엔진 속도($\approx$흡입유동 속도)에 비례하며 그 주요 역할은 고속 운전 시 해당 사이클 내에 연소가 완료되는 데 기여하지만 출력저하, 제어 및 측정 그리고 사이클 변동과 관련하여 실질적으로 난류 제어를 통한 엔진 성능 개선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실물 엔진의 성능 파라미터로 주로 유동의 거시적 거동이 사용되며 이 유동과 연료 분사계가 혼합기 분포 상태와 화염 전파 방향을 결정하여 최종적으로 엔진의 성능을 지배한다. 따라서 가시화를 통한 연소 진단도 이 현상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거시적 파라미터를 성능에 연관하는 다양한 기법이 존재하고 이들은 매우 풍부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비교적 정확한 성능의 예측을 가능하게 하고 이 점에 주목한 엔진만 성공을 거두었다. 이 거시적 현상에 주목하여 가시화를 통해 성층화 현상을 실험적으로 해석한 예를 제시하였다. SI 엔진 가시화에서 기법보다 중요한 것은 현상의 이해이다. 이를 위해 성공적 가시화 진단을 위해서는 우선 현상에 대한 모델링이 필요하고 이 모델에서 가시화를 통해 규명 가능한 현상을 추출해 내는 것이다.

  • PDF

이방성대수층에서의 투수량계수 텐서

  • 강철희;이대하;이철우;김용제;채병곤;우남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1.09a
    • /
    • pp.172-175
    • /
    • 2001
  • 이 연구에서는 5개의 시추공에 대한 양수시험을 실시하여 대수층의 수리학적 이방성과 지하수의 주 유동방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코아검층 및 초음파주사검층을 통해 각각의 공에 대한 균열방향을 결정하고 이를 토대로 통합해본 결과 크게 세 방향의 균열군이 집중성을 보였다. 가장 빈도가 높은 균열의 방향은 N0$^{\circ}$~40$^{\circ}$E/30$^{\circ}$~50$^{\circ}$SE 그리고 N30$^{\circ}$~ 80 $^{\circ}$W/20$^{\circ}$~50$^{\circ}$ NE이 방향이 함께 나타났으며 두 번째 균열의 방향은 N0$^{\circ}$ ~50$^{\circ}$E/60$^{\circ}$ ~80$^{\circ}$NW로 나타났다. 세 번째 방향은 N30$^{\circ}$~50 $^{\circ}$W/70$^{\circ}$~80$^{\circ}$SW방향의 균열로 구성된다. 이처럼 지표하에서는 크게 세 방향의 균열이 다른 방향을 보이는 균열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빈도를 가지며 발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대수층이 이방성이고 균질하다는 가정하에 양수시험을 실시하여 각각의 공에 대한 최대 투수량계수 ( $T_{{\varepsilon}{\varepsilon}}$)와 최소 투수량계수 ( $T_{ηη}$)값을 산출하고 주 텐서방향 ($\theta$)을 결정하였다. 그 결과 BH-1, BH-4, BH=5공을 제외한 BH-2, BH-3호공에서의 이방성 투수량계수텐서값은 이 논문의 가정인 대수층이 이방성이고 균질하다는 가정에 일치하지 않았다. 따라서 원형좌표계에 도시하였을 때 다른 공에 비해서 비균질성이 심한 결과로 인해 이방성타원체 에서 많이 벗어남을 보였다. 이로인해 3개의 공 BH-1, BH-4, BH-5호공을 사용하여 대수층의 이방성을 분석하여 보았다. BH-1호공에서의 $T_{{\varepsilon}{\varepsilon}}$는 171.90 $m^2$/day, $T_{ηη}$는 71.0l $m^2$/day이고 주 텐서방향은 Nl5.39$^{\circ}$ E로 나타났다. BH-4호공의 $T_{{\varepsilon}{\varepsilon}}$는 268.20 $m^2$/day, $T_{ηη}$는 28.75 $m^2$/day이고 주 텐서방향은 N7.55$^{\circ}$E이며 BH-5호공에서의 $T_{{\varepsilon}{\varepsilon}}$는 168.40 $m^2$/day, $T_{ηη}$는 66.80 $m^2$/day이고 주 텐서방향은 N76.59$^{\circ}$E로 나타났다. 이처럼 연구지역에서의 각각의 공에 대한 투수량계수텐서는 서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에 따른 주 텐서방향도 서로 다름을 알 수 있다.

  • PDF

Effect of Magnetic Force on the Compressive and Dynamic Properties of Magnetorheological Elastomers (자기력이 자기유동 탄성체의 압축 및 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 Ryu, Sang-Ryeoul;Lee, Dong-Joo;Lee, Jong-Hang
    • Composites Research
    • /
    • v.23 no.1
    • /
    • pp.17-22
    • /
    • 2010
  • The compressive and dynamic properties of magnetorheological elastomers were investigated as functions of magnetizable particle volume fraction, alignment of the embedded particle and magnetic force. The specimens consisted of pure and filled silicons with randomly dispersed, longitudinal and transverse aligned magnetizable particle chains. To align the embedded particles in the elastomer, the cross-linking of the elastomer composites took place in a magnetic field. The compression and dynamic tests in the absence and the presence of different magnetic forces were carried out. The modulus and loss factor of the elastomer composites increase with increasing volume fraction at the same magnetic force. The case of longitudinal alignment shows a high modulus and loss factor when compared to the case of transverse alignment or random dispersion.

2D CFD for determining optimal location of wind turbine on Korean mountain (한국형 산악지형에서의 풍력발전 최적지 선정을 위한 2차원 유동분석)

  • Kim, Dae-Hyeong;Kim, Pyo-Jin;Lee, Chang-Hun;Choe, Jeong-Il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2.04a
    • /
    • pp.41-4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풍력발전에 충분한 가능성을 가진 산악 지형을 모델링하여 유동의 흐름을 분석하였다. 실제 지형(설악산, 점봉산)에 대한 1/500 축소모형을 Gaussian 함수로 표현하였다. EDISON_CFD을 사용하여 산악지형의 난류유동을 해석하였으며, 해석결과의 신뢰성 확인을 위해 격자분해능에 따른 속도분포를 비교하였다. 산악지형에 따른 유동현상을 속도분포 및 유선함수 등에 의해 분석하였다. 또한 풍력터빈 설치 높이 기준에 의거하여 지형변화에 따른 주 유동방향 속도분포를 살펴보았다. 지형효과에 따른 유동해석결과를 기반으로 풍력 발전 가능 영역이 논의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