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파수영역 전달함수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4초

톤버스트 응답 신호의 스펙트럼 추정에 의한 배터리의 SoC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C Measurement of Battery by Spectrum Estimation of Tone Burst Response Signal)

  • 최경수;강대수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217-222
    • /
    • 2018
  • 배터리의 열화는 SoC 및 SoH의 변화에 따라 결정된다. 배터리의 열화를 판정하기 위해 전달 함수에 의한 배터리 SoC를 측정 하는 방법을 연구 하였다. 배터리의 SoC는 DC 저항이 검출되는 1Hz 대역에서 가장 크게 변화 한다. 하지만 관측하기 협소한 대역이기 때문에 톤버스트 신호를 입력신호로 사용하여 배터리의 주파수 응답대역을 대역을 1kHz로 이동 시켰다. 신호의 주파수 영역 특성을 관측을 위해 Welch스펙트럼 추정 방법을 사용하였다. 스펙트럼 추정 결과 배터리의 응답 신호는 SoC가 40%, 60%, 80% 일 때 각각 1dB의 차이를 갖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배터리 SoC의 측정 방식을 제안 하였다.

방염처리가 톱밥-귤박 혼합파티클보드의 흡음성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lame Resistant Treatment on The Sound Absorption Capability of Sawdust-mandarin Peel Composite Particleboard)

  • 강춘원;;강호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4호
    • /
    • pp.511-517
    • /
    • 2015
  • 방염처리에 의한 톱밥-귤박 혼합파티클보드의 방염성능과 흡음성능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톱밥과 귤박을 혼합하여 파티클보드를 제작하였다. 보드로부터 원반형 시험편을 제작하여 무처리 보드에 2마이크로폰 전달함수법으로 보드의 흡음률을 측정하고 동일한 시험편에 방염수지를 도포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흡음률을 측정하였다. 방염성능 시험은 무처리와 방염처리 톱밥-귤박 혼합파티클보드를 45도 연소챔버에서 연소하여 탄화면적을 비교하였다. 방염처리에 의해시험편의 중량은 6.3% 정도 증가하였으며 탄화면적은 46.7% 정도 감소하였다. 흡음률은 측정주파수범위(500-6,400 Hz) 에서 방염처리 시험편이 무처리 시험편보다 약간 낮게 나타났다. 무처리와 방염처리 톱밥-귤박 혼합파티클보드의 흡음성능은 측정주파수 영역에서 상용 석고보드(두께 11 mm)보다 우수한 흡음성능을 나타내어 비내력벽 등의 흡음판으로의 이용이 기대된다.

직사각형 판에서 가상탐지자 모델을 이용한 시간반전램파의 공간모임 규명 (Investigating the Spatial Focusing of Time Reversal Lamb Waves Using a Virtual Sensor Model on a Rectangular Plate)

  • 박현우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5호
    • /
    • pp.553-567
    • /
    • 2011
  • 최근 3년간 판 구조물 건전성 감시분야에서 시간반전램파(Time reversal Lamb waves)의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직사각형 평판에서 시간반전램파의 공간모임을 적은 연산비용으로 효과적으로 모사할 수 있는 수치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에서는 파 반사에 의해 발생하는 실제 탐지자의 거울상 효과와 등가를 이루는 활성 가상탐지자를 이용하여 시간반전과정을 주파수 영역에서 정식화한다. 시간반전램파의 공간모임 모사에서 필요한 순방향 및 역방향 파 전달은 스칼라 형태의 함수로 표현한다. 제안된 방법을 웨이퍼 형태의 압전소자가 병치된 직사각형 평판에서 시간반전램파의 공간 모임 문제에 적용하고 유한요소해석 결과와 비교하여 타당성을 검증한다.

Mach-Zehnder 광변조기의 양방향 변조를 이용한 새로운 광섬유격자 센서 검출 방법 (A Novel Fiber Bragg Grating Sensing Interrogation Method Using Bidirectional Modulation of a Mach-Zehnder Electro-Optical Modulator)

  • 모만개;반재경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7권7호
    • /
    • pp.17-2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Mach-Zehnder 광변조기의 양방향 변조를 이용하는 새로운 광섬유격자 센서 검출 방법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하여 그 유용성을 밝힌다. 제안한 구조는 광대역 광원, 광섬유격자, Mach-Zehnder 광변조기, chirped 광섬유격자, 그리고 광 검출기로 구성된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구조의 전달함수를 구하고, 505 MHz에서 525 MHz까지 주파수 영역에서 10개의 다른 파장을 가진 광에 대한 FSR(free spectral range)의 변화로부터 시간지연을 계산한다. 구한 결과로부터 광의 파장 변화에 따른 시간지연이 12.9 ps/0.2 nm 값을 가지면서 매우 선형적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광섬유격자를 이용한 스트레인 또는 온도 센서에 이용할 수 있다.

디지털 보청기를 위한 음향궤환 몇 잡음 제거 알고리즘 (A Combined Acoustic Feedback and Noise Cancellation Algorithm for Digital Hearing Aids)

  • 이행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11C호
    • /
    • pp.911-91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보청기의 음향궤환 및 장음을 제거하기 위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알고리즘은 궤환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궤환제거기와 잡음신호를 감소시키기 위한 잡음제거기를 결합한 구조로 구성된다. 여기서 궤환제거기는 일반적인 적응 FIR 필터를 사용하여 구현하고 잡음제거기는 Wiener 해법을 이용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구현한다. 이 잡음제거는 각 신호들의 전력 스펙트럼 밀도를 구하여 전달함수를 표현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궤환 및 잡음제거기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한 적응 알고리즘을 사용하면 경로이득 0dB에서 기존의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평균 10.85dB의 출력 SNR, 경로이득 6dB에서 평균 11.04dB의 출력 SNR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목재수피 파티클의 흡음율과 음향투과손실 (Sound Absorption Rate and Sound Transmission Loss of Wood Bark Particle)

  • Kang, Chun-Won;Jang, Eun-Suk;Jang, Sang-Sik;Kang, Ho-Yang;Kang, Seog-Goo;Oh, Se-Cha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4호
    • /
    • pp.425-441
    • /
    • 2019
  • 목재수피의 음향성능을 파악하고자 6가지 수종의 목재수피를 삭편으로 절삭하여 몇 가지 비중조건과 두께로 만든 후 흡음율과 음향투과손실을 전달함수법과 전달행렬법으로 각각 측정하였다. 그 결과, 편백나무수피가 두께 100 mm 일 때의 100-6400 Hz 평균흡음율은 0.90이며 두께 50 mm 일때의 100-6400 Hz 평균흡음율은 0.84이다. 특히 두께 100 mm 일 때의 경우, 1 KHz의 주파수영역에서의 흡음율은 약 100%에 근접하는 높은 흡음율을 나타내었다. 음향투과손실은 측정주파수범위에서 편백나무수피는 500 Hz에서 15.30 dB의 투과손실을 나타내었고 1000 Hz 수치는 15.73 dB이었다. 10 mm 두께의 합판을 수피파티클 배면에 추가한 후에는 투과손실이 20-30 dB 증가하였다. 목재수피는 친환경적이면서 기존의 석고보드보다 흡음율이 높고 음향투과손실이 크게 나타나서 음향성능이 우수한 건축재료로 고려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천해환경에서 전구음원을 이용한 지음향인자의 역추정 (Inverse Estimation of Geoacoustic Parameters in Shallow Water Using tight Bulb Sound Source)

  • 한주영;이성욱;나정열;김성일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16
    • /
    • 2004
  • 천해환경에서 저주파 광대역신호와 수직선배열을 이용하여, 퇴적층의 지음향인자(층두께, 종파속도, 종파감쇠계수, 밀도)를 역추정하였다. 역산방법은 모델 기반의 역산으로 유전알고리즘 (Genetic Algorithm)을 이용한 일관적 광대역 정합장처리(Coherent Broadband Matched Field Processing)기법을 사용하였다. 저주파 광대역음원으로 사용된 상업용 전구의 내폭신 호는 짧은 시간동안 많은 변화를 포함하는 천이신호이기 때문에, 분석시 시간과 주파수에 따른 창함수의 조절이 요구되는데, 주기신호분석에 주로 사용되는 퓨리에 기반의 분석방법은 이러한 점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해양도파관에서 근거리 음파전달 시 계측된 시계열신호로부터 다중경로성분을 구분하고 추출하기 위하여 시간-주파수영역에서 창함수의 크기조절이 가능한 웨이블릿 변환을 통한 신호 분석을 수행하였고, 분석된 실측음장과 계산된 복제음장의 연속웨이블릿 계수를 상호상관 시킴으로써 비용함수를 정의하였다. 비용함수의 전역최고점을 찾는 최적화 과정을 통하여 각 퇴적층의 지음향인자들을 역추정하였다. 특히 역산인자의 민감도에 따른 퇴적층별, 인자별, 분리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최적화과정에서 참값으로의 수렴효율을 높였다. 역산의 결과 실험해역 퇴적물 상층부에는 두께 44.43m, 음속 1549 m/s의 모래-실트-점토질(sand-silt-clay)층이 존재하고, 그 하부에는 12.28m 음속 1993 m/s의 거친모래질(Coarse sand)층의 존재를 추정해 내었다. 또한 역산 결과를 시추자료 및 탄성파 자료와 비교함으로써 본 논문에서 제안한 역산 방법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초점 초음파 측정기로 측정한 광음향 신호의 광 흡수계수에 대한 비선형성 (Photoacoustic Nonlinearity to Absorption Coefficients in Photoacoustic Imaging with Focused Ultrasound Transducers)

  • 강동열
    • 한국광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58-165
    • /
    • 2017
  • 광 흡수체로부터 측정되는 광음향 신호의 크기가 광 흡수계수 값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다가 포화되는 광음향 비선형성에 대한 기존의 분석에서는 초음파 측정기의 물리적 형태를 고려하지 않았다. 이 논문에서는 초음파 측정기의 구면 초점 형태가 광음향 비선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구면 초점 초음파 측정기의 공간 필터링에 의한 광음향 공명 현상을 고려하고 기존의 광음향 비선형성에 대한 연구 방법을 보완하여 구면 초점 초음파 측정기로 측정한 광음향 신호에 대한 해석식을 이론적으로 유도하였다. 이 해석식에 의한 결과는 광음향 신호가 특정한 광 흡수계수 값에서 최대값을 나타내고 최대값 이후로는 광 흡수계수 값의 증가에 따라 오히려 감소함을 보였다. 주파수 영역에서 구면 초점 초음파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광음향 신호의 공명 스펙트럼과 초음파 측정기의 주파수 전달 함수를 비교하여 이 기존의 통념과는 다른 특징을 보이는 광음향 비선형성을 이해하였다. 또한, 이 주파수 영역에서의 물리적 해석으로 인해 광음향을 발생시키는 광 흡수체 내부의 광 조도 형태도 광음향 비선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X-선관 초점 크기와 확대도에 따른 디지털 일반촬영 시스템의 유효검출양자효율 평가 (Effective Detective Quantum Efficiency (eDQE) Evaluation for the Influence of Focal Spot Size and Magnification on the Digital Radiography System)

  • 김예슬;박혜숙;박수진;김희중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3권1호
    • /
    • pp.26-32
    • /
    • 2012
  • 확대촬영은 일반촬영뿐 아니라 미세골촬영, 유방촬영 및 다른 진단 영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유한한 X선 초점의 크기로 인해 확대촬영은 분해능, 노이즈, 대조도 등 영상 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효검출양자효율(effective detective quantum efficiency, eDQE)을 이용하여 영상시스템에 있어서 확대도와 초점크기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전체적인 영상 시스템 특성을 반영하는 eDQE는 초점에 의한 흐림 현상, 확대, 산란 그리고 격자 반응 등의 영향을 고려한다. 본 실험에서는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에서 고안된 흉부 팬텀을 사용하여 실제 가슴 촬영조건에서 측정된 유효변조전달함수(effective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eMTF), 유효잡음력스펙트럼(effective noise power spectrum, eNPS), 산란율(scatter fraction, SF) 및 투과율(transmission fraction, TF)을 통해 eDQE 값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살펴보면 소초점을 사용했을 경우, eMTF의 값이 10%일 때의 공간주파수는 확대도가 1.2, 1.4, 1.6, 1.8, 2.0일때 각각 2.76, 2.21, 1.78, 1.49 그리고 1.26 lp/mm이었다. 대초점을 사용했을 경우, MTF의 값이 10%일 때의 공간주파수는 확대도가 1.2, 1.4, 1.6, 1.8, 2.0일 때 각각 2.21, 1.66, 1.25, 0.93 그리고 0.73 lp/mm이었다. 확대도가 증가할수록 eMTF 값이 떨어지고, 소초점을 사용했을 때가 대초점을 사용했을 때보다 eMTF가 전체적으로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점의 크기에 따른 zero frequency에서의 eDQE 값의 변화는 크게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대초점을 사용했을 경우, 소초점을 사용했을 때보다 저 주파수에서 고 주파수로 갈수록 eDQE가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확대촬영은 작은 병변을 확대시키고 낮은 유효잡음과 air-gap에 의한 산란선의 감소로 인해 대조도를 증가시킨다. 이로 인해 크기가 작은 병변을 고대조도로 확대시킴으로써 진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초점 크기로 인한 흐림 현상이 확대도에 따라 공간 분해능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 일반촬영 시스템에서의 확대촬영을 시행하기 위한 적절한 초점크기와 확대도가 확립되어야 한다.

엔진 운전시 크랭크샤프트의 면내.외 모드의 거동 해석 (Analysis of the Crankshaft Behavior on In-plane and Out-plane Mode at the Firing Stage)

  • 아미누딘;이해진;이정윤;오재응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319-328
    • /
    • 2006
  • 4-실린더 엔진의 작동 시 크랭크샤프트의 기계적 거동을 해석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 논문이다 이 해석의 목적은 모드 해석을 단순화 하기위해 Pin 과 Arm을 일정하게 가정하고, 이를 통해 단순화된 크랭크샤프트의 특성을 연구하는 것이며, 해석을 통하여 얻어진 전달 함수에서의 고유진동수와 모드 형상을 실험을 통한 모드 해석과 비교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한 결과와 실험을 비교한 결과 해석치와 실험치의 값이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하여 해석 모델을 검증하였다. 또한 검증된 모델을 통하여 엔진 작동 시 크랭크샤프트의 특성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초기 연소 조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크랭크샤프트의 동적 거동을 해석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기술하였다. 새로운 기법은 엔진의 작동 조건에서 저널 베어링과 밸런서의 형상 변경을 통하여 얻어진 에너지 값을 계산하기 위해서 RMS값을 이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