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얼리 산업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6초

주얼리의 시장분석을 통한 Semiprecious Stone 제품 개발 연구 -가넷, 시트린 애머트린, 패리도트를 중심으로- (Analysis of Semiprecious Stone Products Development Based on Jewelry Market)

  • 이기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64-173
    • /
    • 2012
  • 최근 소비자의 의식 변화와 함께 빠른 정보 전달을 통해 개개인의 다양한 가치관을 공유하면서 과거 기업이 주도하던 트렌드에서 이제는 소비자의 Needs에 의해 트렌드가 변화하고 있다. 국내 주얼리 산업에서도 또한 주얼리가 패션 소비재로 변화하면서 소비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칼라와 시각적 감성이 적용된 제품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주얼리 산업에서는 천연 유색 보석에 대한 많은 관심과 그 소비시장이 확대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emiprecious Stone을 이용한 제품 개발의 필요성과 현황분석, 소비자 선호도 분석을 진행하고, 제품 개발을 위해서 소비자동향 조사 및 이미지 분석 조사를 통해 소비자의 스타일과 Needs에 의한 표적시장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연령별 디자인 선호 이미지 적용 형용사를 추출하여 제품 개발의 방향성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현 주얼리의 시장분석을 통한 Semiprecious Stone 제품 개발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찾아 볼 수 있었다.

보석 대체품을 활용한 주얼리 디자인 연구: 주얼리 디자인 연구 동향 및 고객 선호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Jewelry Design using Alternative Gem: Focused on Jewelery Design Research Trends and Customer Preference)

  • 장진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0호
    • /
    • pp.219-224
    • /
    • 2022
  • 본 논문은 한정된 산출량의 보석 대신 다양하게 표현되는 보석대체품의 제안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지난 5년간의 주얼리디자인 관련 학위논문에서 활용된 보석대체품에 어떤 재료들이 활용되었는지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 보석대체품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구동향과 고객선호도 설문조사에서 모두 보석대체품으로서 레진을 가장 대중적으로 활용하고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기존선행 연구에서 사용된 레진의 일부 활용방식이 아닌 보석 조건에 맞는 보석대용품으로서의 레진 사용범위를 확장한 주얼리디자인을 하였다. 그 결과 보석대체품으로서 레진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보석의 조건에 해당하는 수요성과 전통성은 보석대용품으로서 활용빈도 및 시간의 경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이기에, 앞으로 레진을 보석 대용품으로서 활용한 주얼리 디자인의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구축해야할 과제로 남아있다. 또한, 레진의 활용번위를 확대하여 보석대체품의 대중적 선호도를 확립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주얼리CAD와 RP 장비를 이용한 주얼리제작 활용방안 (Plan of Jewelry Product Application Using Jewelry CAD and RP Equipment)

  • 김문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2호
    • /
    • pp.66-73
    • /
    • 2007
  • 주얼리 관련 산업은 국내 시장의 불황, 디자인 개발 부재, 기능 인력의 부재와 높은 인건비 부담으로 고민에 처해 있다. 또한 소비자들의 가격대비 최대한의 가치를 가진 차별화된 제품을 원하고 있다. 주얼리 CAD와 RP 장비는 수작업에 의존했던 주얼리 제조업체에게 생산성을 단축시켜주고 다양한 디자인과 빠른 신제품을 제공해 줄 수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RP에서 출력된 합성 수지의 직접 주조의 어려움으로 원본 작업에 필요한 만큼의 최상의 주조 소환 사이클을 알지 못하는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CAD의 활용성과 RP 장비에 관하여 분석하고, 주얼리 CAD 작업과 RP 작업을 통하여 직접 주조가 가능하도록 주조 소환 사이클을 분석하여 원본 제작에 적합한 제품을 제작할 수 있었다. 이 논문을 통해 주얼리 제품의 질적 향상과 차별성을 확보하여 다양하고 경쟁력 있는 디자인과 제품 생산에 새로운 기반을 제공하는 것에 의의를 찾고자 한다.

3D프린팅을 활용한 주얼리 디자인 연구 - 곡선 형태를 중심으로 (A Study on Jewelry Design Using 3D-Printing - Focusing on Curved Form)

  • 장진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89-194
    • /
    • 2019
  • 본 논문은 산업전반에 빠르게 도입되어가고 있는 3D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주얼리 디자인에 적용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디자인 분야에서는 3D출력 방식중 FMD방식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하지만 주얼리 디자인에서는 3D프린팅은 제작과정 중 주조 과정에 사용되고 있어 출력방식이 FMD가 아닌 DLP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DLP방식의 3D프린팅을 활용하여 주얼리 디자인에 응용함으로서 주얼리 디자인의 재료적 기능과, 활용 가능성에 대해 연구 작품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3D프린팅 출력 후 주조과정 없이 주얼리 디자인에 응용하고 에나멜, 정은 등을 함께 활용하여 브로치를 완성함으로서 가볍고 단단하며 다양한 색상의 완성품을 제작하여 적용 가능한 재료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기하학 구조가 아닌 주얼리 디자인에서 주로 사용되는 곡선적 디자인을 Rhino CAD로 크기와 형태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어 향후 주얼리 디자인 조형 형태 전개에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발전 가능성을 엿 볼 수 있었다.

광복~1960년대 국내 귀금속보석 산업사 연구 (A Study of the History of Domestic Precious Metal and Gems Market from Liberation to 1960s)

  • 홍지연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39-447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volution of precious metal and gem stores, and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this period from the government, industry, and consumers. Correspondingly, the contents of daily newspaper articles during this period were analyzed using Naver's news library search engine.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is as follows. Before the Korean War, precious metal jewelers operated in Jongno, Namdaemun, and Chungmuro, dealing with gold, silver, and platinum. Large stores not only sold jewelry and watches, but also functioned as craftsmen and watch repairers. After the war, a shopping district for precious metals and jewelry was formed around Midopa Department Store. By 1963, the number of jewelry stores in Seoul increased to about 130 and to about 280 by 1966.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vernment, industry, and consumers are as follows. The government continued to implement a policy to regulate the precious metal and jewelry industry. Despite challenges, the industry exhibited the potential for foreign currency acquisition and growth through domestic amethyst. Consumers could access information regarding precious metal jewelry in daily newspapers. In the late 1960s, various types of jewelry were distributed in line with an increase in income levels.

스마트 주얼리의 감성적 디자인 유형 분석. (An Analysis of the Emotional Design Types of Smart Jewelry.)

  • 노영란;최윤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8호
    • /
    • pp.423-428
    • /
    • 2019
  • 4차 산업의 발달로 ICT 디바이스의 영역이 확대되면서 스마트 주얼리들이 출시되고 있다. 주얼리는 스마트 기기의 기능적 측면과 융합되면서 인체를 치장하는 패션 도구일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생활환경과 안전개선에 필요한 정보들을 전달하는 기능 및 필요한 정보의 상호작용이 확장 가능성을 가져오고 있다. 현재 웨어러블 주얼리는 스마트폰 보조기라는 인식과 기술적 제약으로 소비자에게 큰 호응을 얻지 못해 널리 확산되지 못하고 있으나 디바이스의 초소형화, 디자인의 개선이 필요하다. 현재 출시된 웨어러블 주얼리 제품을 중심으로 디자인, 재료, 색채에 따른 감성적 유형을 분석하여 스마트 주얼리가 주얼리로서 사람들의 감성을 어떻게 자극을 할 것인가를 고려하며 더 많은 연구를 통해 미흡한 부분들을 보완 수정하여 창의적인 스마트 주얼리의 가치를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포스트 코로나의 메타버스 기술 동향과 주얼리 산업의 활용 사례 분석 (Analysis of Metaverse Technology Trends and Case Studies of Utilization in the Jewelry Industry in the Post-COVID)

  • 강혜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4호
    • /
    • pp.675-680
    • /
    • 2024
  •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를 기점으로 메타버스 기술의 동향을 살펴보고, 주얼리 산업체의 활용 사례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엔데믹(endemic)으로 기업의 비즈니스 환경은 온라인에서 오프라인으로 그 중심의 축이 이동했고, 이에 따라 메타버스에 대한 대중의 관심도 멀어졌다. 하지만 글로벌 주얼리 브랜드의 메타버스 기술 동향을 살펴보면, AR/VR의 기술은 더욱 발전하여 실재감을 높이고 있고, 가상과 현실 간의 이질감이 없는 공간에서 메타버스는 진화하고 있다. 메타버스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세 가지 주요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첫째, 디지털 트윈을 기점으로 비즈니스 영역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다양한 정보통신 기술과 융합하고 있다. 셋째, 옴니채널로서 메타버스 운영에 대한 방향성 설정이 중요시 되고 있다. 코로나19 시기에 학습된 자산을 활용하여 디지털 및 온라인 관련 기술에 대한 학습을 지속해야 시장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메타버스 기술 동향을 기반으로 주얼리 산업체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향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주얼리 비즈니스를 위한 협업형 AI의 분석 연구 (An Analysis Study on Collaborative AI for the Jewelry Business)

  • 강혜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4호
    • /
    • pp.305-310
    • /
    • 2024
  • 생성형 AI의 등장으로 AI는 인류와 본격적인 공존을 시작하였다. 방대한 데이터 기반의 AI 학습역량은 인간의 학습과는 다른 차원의 생산성으로 산업체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AI는 테크노포비아와 같은 어두운 이면의 사회적 현상도 보인다. AI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협업이 가능한 AI 모델을 분석하고 주얼리 산업에서 활용이 가능한 분야를 확인한다. 협업형 AI 모델을 활용하면 '아이디어 전개의 가속화', '디자인 역량의 강화', '생산성 강화' , '멀티모달 기능의 내재화' 등을 기대할 수 있다. 결국 AI는 협업이 가능한 도구적 관점에서 활용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주체성 있는 인간 중심의 마인드 셋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주얼리 비즈니스를 위한 AI 협업방안 제언을 통해 주얼리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통일신라시대 와당을 모티브로 한 주얼리장식용 문양 연구 (A Study on the Jewelry decorative pattern based on Wa-Dang in Unified Silla period)

  • 김경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113-122
    • /
    • 2023
  • 본 연구는 문화 & 소프트 파워(soft power)가 주도하는 지식정보사회에 있어서 전통문화의 유물자산을 활용한 문화상품 개발을 전제로 진행하였다. 통일신라시대 전통건축에서 출토된 와당 유물의 문화콘텐츠 상품 가능성을 탐색하고 주얼리 디자인에 활용성이 높은 상품화 모티브의 확장성을 넓히는 맥락에서 진행되었다. 먼저 문헌과 매체 연구를 통하여 와당의 원형과 소재, 용도, 크기, 의미, 조형적 심미성을 파악하였다. 고찰된 와당중에서 카테고리별 대표성과 모듈·패턴화 가치가 있는 10종류의 와당을 선택하여 '형태적 단순화 기법'으로 원형이미지를 추출·모듈화하였다. 문양구성 배열형식 체계화 방법인 '수학적 대칭성 분석기법'에 근거하여 문화콘텐츠산업 및 주얼리디자인 개발시에 활용할 수 있는 평면적 조형요소를 도출하였다. 향후 주얼리산업에서의 활용성 확대를 위하여 2D 디지털이미지로 제시하였다. 향후에도 전통문화를 매개로 하는 다양한 문화콘텐츠산업에 관한 연구가 더한층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담수진주의 보석학적 특성과 진주주얼리 디자인 제안 -색처리된 양식 진주를 중심으로- (Gemological Characters and Jewelry Design of Fresh Water Pearl -Focused on Color Treated Cultured Pearl-)

  • 김경진;김혜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154-161
    • /
    • 2010
  • 주얼리 산업은 점차 다이아몬드와 진주의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활기를 띄고 있으며 최근의 진주 시장은 여러 종류의 진주들이 수입되어 규모가 확대되었다. 이에 진주의 보석학 특성을 파악하고 진주의 새로운 디자인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시중에 판매되는 양식진주 중 흑회색(그레이)계열과 브라운계열의 담수진주를 보석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염색처리한 담수진주로 판명되었다. 현재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초콜릿브라운과 그레이계열의 진주비즈를 사용한 디자인을 제안하고 CAD/CAM작업을 통한 예물 컨셉의 진주주얼리 디자인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