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사간격

검색결과 216건 처리시간 0.026초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한 Immunoglobulin yolk (IgY)의 생산과 특이성 (Production and Specificity of Imunoglobulin yolk (IgY) on Vibrio parahaemolyticus)

  • 심원보;김혜정;박선자;강동훈;강진순;정덕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1-66
    • /
    • 2003
  • 본 연구는,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한 면역 글로블린 Y(IgY)를 생산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Vibrio parahaemolyticus는 중요한 병원성 균이며, 위장염을 유발시키는 원인 균이다. 따라서, 난황에서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한 항체를 생산하기 위하여 항원 LPS(lipopolysaccharide)를 암탉에 주사하였다. 면역은 2주 간격으로 4차까지 실시하였으며, 추가면역으로 2주 간격으로 3차까지 실시한 후 ELISA로 그 항체 역가를 측정하였다. 난황에서의 항체생성은 1차 면역 후 1주일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7주에 최고 역가에 도달하였고, 이러한 역가는 13주 이후까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혈청에서의 항체 역가도 난황에서의 경향과 유사하였다. 정제시킨 IgY를 본 연구의 water-dilution방법과 상업용 IgY분리 kit로 그 정제 정도를 비교해본 격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Vibrio parahaemolyticus외의 다른 Vibrio 속 및 세균들과의 교차반응성 조사에서 특별한 교차반응이 없었다. 본 연구에 나타난 결과로, 아주 적은 양의 LPS 항원으로 역가가 높은 항체의 생산이 가능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들로 보아 난황은 유행성 위장염을 유발하는 병원성 균의 특이 항체 개발을 위한 좋은 공급원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카드뮴으로 중독된 흰쥐의 간장 및 신장에서의 Metallothionein 합성에 관한 연구 (Accumulation of Metallothionein in Rat Liver and Kidney by Cadmium Administration)

  • 전수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6권2호
    • /
    • pp.156-163
    • /
    • 1993
  • 카드뮴 투여에 의해 급성중독 된 흰쥐의 간장과 신장에서의 MT합성양상을 검토하고져, 체중이 $60\pm{5g}$ 내외가 되는 Sprague-Dawley종 수컷을 이용하여, 4주간 기본식이로 사육한 후, Cd투여량 및 투여횟수에 따른 MT합성양상을 검토하였다. 즉, Cd투여량에 따른 실험에서는 체중 Kg당 0, 0.625, 1.25, 2.5, 5mg의 Cd를 24시간 간격으로 2회 복강 내에 투여하였으며, Cd투여 횟수에 따른 실험에서는 체중 Kg당 2.5mg의 Cd를 각각 0, 1, 2, 3, 4회씩 24시간 간격으로 복강내에 투여하였다. 두 실험 모두, 마지막 주사 24시간 만애 실험동물을 희생하여 혈액중의 hemoglobin과 hematocrit함량 측정과 간장 및 신장조직중에서의 MT합성양상을 관찰하였으며, 아울러 간장조직중에서의 -SH group함량을 측청하였다. 1) Cd 투여 농도에 따른 hemoglobin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체중 Kg당 2.5, 5.0mg의 Cd를 투여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hematocrit치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Cd 투여횟수를 증가시켰을 때는 모든 군이 대조군보다 감소되었으며 hermatocrit치는 3,4회 Cd 투여군에서 대조군보다 감소되었다. 2) 간종조직중의 MT합성은 2.5mg Cd/Kg of body wt.까지는 Cd투여농도에 비례하여 점진적인 증가를 하였다. 또한 Cd투여 횟수가 증가됨에 따라 간장 MT합성은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두 실험 모두에서 신장조직중의 MT합성량은 간장조직에서보다 합성량은 적었지만 그 경향은 비슷하였다. 3) 간장에 대한 신장내에서의 MT합성비율은 투여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4) Cd투여농도에 따른 간조직중의 -SH group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체중 Kg당 2.5, 5.0mg Cd투여군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하였으며, Cd 투여 횟수의 증가에 따라서는 모든 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 PDF

임플란트 식립 후 초기 안정성의 변화 (Initial Changes of Implant Stability from Installation during Early Bone Healing)

  • 박찬진;김대곤;조리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3호
    • /
    • pp.272-279
    • /
    • 2013
  • 골치유 기간 중 임플란트-골 계면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미세동요가 발생하게 되면 임플란트의 골유착이 방해받게 되므로 임플란트 식립 후 초기 골반응에 관해 임플란트 안정성은 하나의 지표가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임플란트 식립 후 전향적인 연구를 통해 초기 임플란트 안정성 변화를 추적하여 골치유 양상을 추론하고자 하였다. 총 26명의 환자에게 식립된 30개의 임플란트를 대상으로 하악골에 1회법으로 식립 직후 1주 간격으로 12주간 공진주파수분석을 시행하여 초기 안정성의 변화를 구하였으며 식립 직후와 1개월 간격으로 변연골 흡수 정도를 방사선학적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식립 직후와 각 치유기간 동안의 ISQ값 비교에서 식립 4주에서 6주사이에 골질에 따른 차이를 보였으나(P<0.05), 6주 이후에는 골질군 간에는 임플란트 안정성 변화에 차이가 없었다(P>0.05). 방사선학적 검사에서는 변연골의 차이가 관찰기간내에 유의하게 변화하지 않았다(P>0.05). 임플란트 식립 후 초기 골치유과정은 골흡수과정에 연속적인 과정으로 4주 이후 바람직한 골치유과정이 진행됨을 공진주파수분석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국소마취제에 함유된 에피네프린의 농도가 치수 및 치은 혈류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pinephrine Concentration in Local Anesthetics on Pulpal and Gingival Blood Flows)

  • 이재상;김성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8권6호
    • /
    • pp.475-484
    • /
    • 2003
  • 동통조절을 위해 국소마취제는 치과임상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진다. 가장 널리 쓰이는 국소마취제는 리도카인이고 이는 마취효과의 지속 및 지혈효과 등의 목적으로 혈관수축제를 포함하고 있다. 대표적 혈관수축제인 에피네프린은 임상에서 1:300,000에서부터 1:50,000의 농도로 다양하게 사용되어진다. 수복치료를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1:100.000농도의 에피네프린이 사용되고 있고 외과적 근관치료시 지혈효과를 위해서는 1:50,000농도의 에피네프린이 추천되고 있다. 이들 농도의 에피네프린을 포함한 리도카인으로 국소마취시 에피네프린의 농도가 치수의 혈류 및 치은의 혈류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필요가 있고 그 영향이 전기치수검사에 대한 치수의 반응성에 미치는 영향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혈관수축제를 포함한 국소마취제에 의한 치수혈류의 변화와 치수신경의 반응성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하겠다. 본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 농도의 에피네프린을 포함한 국소마취제로 마취시 나타나는 치수 및 치은의 혈류 변화를 치수신경의 반응성과 비교, 관찰함으로써 국소마취제가 치수 및 치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함에 있다. 24세에서 27세까지의 10명의 피검자의 건전한 상악중절치를 시험에 이용하였다. Laser Doppler flowmeter의 probe을 고정하기 위한 splint를 간접법으로 인상용 putty를 이용하여 제작하고 치수 및 치은의 혈류량, 그리고 전기치수검사에 대한 반응성을 측정하기 위한 3개의 구멍을 만들었다. 피검자를 10분간 안정시킨 후 마취 전 10분간 정상 혈류량과 전기검사치를 측정하고 1:50,000 epinephrine과 1:100,00 epinephrine이 각각 함유된 2% 리도카인 용액 0.9 ml를 상악 좌측 중절치 치근단부위 협점막에 침윤마취하였다. 마취 후 70분간 치수 및 치은 혈류량을 laser Doppler flowmeter를 이용해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그 수치를 컴퓨터에 저장하였고, 매 5분 간격으로 전기치수검사를 시행하여 그 측정치를 기록하였다. 매 시간 간격의 평균 혈류량을 정상 혈류량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고, 각각의 농도에서 최소 치수 및 치은 혈류량을 Paired t-test, Wilcoxon's signed rank test. Duncan's multiple range test. Fisher's exact test등을 이용. 통계분석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에피네프린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리도카인을 협점막에 주사시 혈류변화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1:50,000 및 1:100.000 에피네프린이 함유된 2% 리도카인을 협점막에 침윤마취시 치수 및 치은 혈류 공히 현저히 감소하였다(p<0.01). 1:50,000 에피네프린군은 1:100,000 에피네프린군에 비해 치수 혈류량이 현저히 억제되어 나타났으나(p<0.01), 치은 혈류량에서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두 농도의 에피네프린 군 공히 치은혈류는 치수혈류에 비해 유의하게 많은 감소를 나타내었다(p<0.05). 1:100,000 에피네프린 군에서 마취액 주입 후 치수혈류 최대감소가 가장 먼저 나타났고 이어서 전기검사에 대한 치수의 반응성 소실 및 치은혈류 최대 감소의 순으로 나타났다(p<0.05). 1:50,000 에피네프린군의 경우가 1:100,000 에피네프린군의 경우에 비해 마취지속시간이 길게 나타났으나 유의성은 없었다(p>0.05).

마이크로 강섬유와 MWCNT를 혼입한 전도성 모르타르의 발열성능, 휨강도 및 미세구조 분석 (Analysis of Heat-generating Performance, Flexural Strength and Microstructure of Conductive Mortar Mixed with Micro Steel Fiber and MWCNT)

  • 최범균;허광희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8권3호
    • /
    • pp.47-58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 강섬유와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walled carbon nanotube, MWCNT)를 혼입한 전도성 모르타르의 발열성능, 휨강도 및 미세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실험적으로 수행하였다. 전도성 모르타르 발열성능 및 휨강도 시험에서 MWCNT의 혼입 농도는 시멘트 중량 대비 0.0wt%, 0.5wt% 및 1.0wt%로 선정하였으며, 마이크로 강섬유는 부피 대비 2.0vol%로 혼입하였다. 발열성능 실험은 다양한 인가전압 (DC 10V, 30V, 60V) 및 상이한 전극간격 (40 mm, 120 mm)을 매개변수로 수행하였으며, 양생 재령 28일에서 휨강도를 측정하여 일반 모르타르와 비교, 분석하였다. 더 나아가, 전계방사 주사전자현미경(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을 이용하여 전도성 모르타르의 표면 형상과 미세구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MWCNT의 혼입 농도와 인가전압이 증가할수록 발열성능이 향상되었으며, 전극간격이 좁을수록 발열성능이 더욱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MWCNT의 혼입 농도를 1.0wt%까지 추가하더라도 발열성능은 크게 향상되지 못하였다. 휨강도 시험결과, PM 시편과 MWCNT를 혼입한 시편을 제외한 모든 시편의 평균 휨강도가 4.5 MPa 이상으로 나타나 마이크로 강섬유 혼입에 따른 높은 휨강도를 보였다. FE-SEM 이미지 분석을 통해 시멘트 매트릭스 내 마이크로 강섬유와 MWCNT 입자 사이에 전도성 네트워크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메타크릴레이트계 4차 암모늄 유도체 고분자 전해질의 감습특 (Humidity Sensitive Properties of Polymer Electrolytes of Quaternary Ammonium methacrylate derivatives)

  • 김태미;공명선;이임열;박정기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권6호
    • /
    • pp.598-605
    • /
    • 1993
  • 고분자 전해질의 화학구조가 감습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C_{1}\sim C_{12}$의 알킬,benzy1, 2,2-diethoxy dthy1기가 치환된 메타크릴계 4차 암모늄 단량체들을 합성하였다. 이들의 감습용액을 0.15mm간격의 빗살 모양의 금전극이 인쇄된 알루미나 기판에 마이크로 주사기로 도포하여 광중합 후 상대습도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를 측정하였다. 도포된 막의 두께가 증가하면 임피던스는 감소하고, 치환기의 탄소 길이가 증가할수록 임피던스는 증가하였다. $C_6\sim C_8$의 알킬기를 가지는 고분자 전해질의 감습특성은 30-90% RH 범위에서 18M$\Omega$-5K$\Omega$의 직선적인 임피던스 변화를 보였다. 또한 임피던스는 온도 의존성을 보여주며 온도가 증가하면 임피던스가 감소하며 온도 의존성 계수는 -0,45% $RH/^{\circ}C$이다. 히스테리시스는 $\pm$2%RH이내이며, 33%-85% RH 사이에서의 응답 속도는 약 35sec이었다.

  • PDF

제주양식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성장에 따른 혈액성상 및 항산화효소의 변화

  • 김태형;이기정;여인규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107-107
    • /
    • 2003
  • 육상동물과 달리 어류에서는 성장에 따른 생리적인 변화, 특히 환경 스트레스에 민감한 항산화효소 등에 관한 전반적인 연구가 거의 이루어져 있지 않고 있다. 현재 고급 단백질원으로서의 어류에 대한 수요가 사회적으로 급증하고 있으며, 그중 많은 양의 수산물 생산을 양식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양식종의 성장에 따른 생리적인 변화를 조사하여 이에 따른 영양관리, 질병관리 및 환경에 대한 스트레스의 분석이라는 측면에서 혈액성상의 농도 변화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양식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스트레스에 대한 생리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넙치의 성장에 따른 혈액성상 및 항산화효소의 변화를 조사함으로서 기초 생리학적 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건강한 어류에서의 혈액성상 및 항산화효소의 기준치를 설정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어는 초기 평균 전장의 18.5$\pm$0.4cm 초기 평균 중량 75.4$\pm$5.6g인 것을 사용하여 5개월 동안 실험 하였고, 실험 종료 시 평균 전장이 26.8$\pm$1.9cm 및 평균 중량이 220.0$\pm$37.1g 으로 각각 증가 하였다. 혈액 성상은 실험개시 후 30일 간격으로 넙치 미부의 혈관으로부터 주사기를 이용하여 혈액을 채취 한 후 헤마토크리트치, 적혈구 수, 헤모글로빈농도, 혈청중 총 콜레스테롤 및 혈당량을 각각 측정 하였으며, 간장내의 Catalase(CAT)및 Superoxide dismutase(SDD) 또한 조사하였다. 실험어의 헤마토크리트치는 성장에 따른 경향을 나타내지 않고 22%에서 32%까지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적혈구수는 성장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이에 반해 헤모글로빈 농도는 성장에 따라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혈당 또한 성장에 따른 뚜렷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고 60(mg/dl) 에서 75(mg/dl)정도의 비율을 나타내었다. 혈청중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성장에 따른 유의적인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평균 307.81$\pm$125.36(mg/dl)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한판 외부 환경으로부터 스트레스 작용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진 CAT의 실험기간 중 혈중평균농도는 2837.29$\pm$1259.17(nmol/mg protein sec)를 나타내었으며, SOD의 혈중평균농도는 14.73$\pm$5.67(unit/mg protein min)의 범위로 유의적인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성장에 따라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인공산성(人工酸性)비에 의한 농작물(農作物) 잎의 조직형태(組織形態)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II. 벼, 콩, 보리, 무에 관하여 (Histological Perturbations of Crop Leaves after Exposure to Simulated Acid Rain;II. For rice, soybean, barley, and radish)

  • 이종식;김복진;정구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9-24
    • /
    • 1996
  • 산성비에 의한 작물의 조직피해를 알아보기 위하여 벼, 콩, 보리, 무 등 4개 작물에 pH 2.0, 2.5, 2.7, 3.0 및 6.0(대조구)의 인공산성비를 10mm씩 2일 간격으로 10회 처리한 후 잎의 피해율과 모용(Trichome) 및 기공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산성비 처리에 의한 작물별 가시적 피해는 콩 > 무 > 벼 > 보리의 순으로 외떡잎 식물인 벼와 보리가 쌍떡잎 식물보다 적게 나타났다. 2. pH 2.0의 인공산성비를 처리한 작물의 잎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살펴본 결과, 콩과 무는 잎의 모용이 변형되었으나 벼 잎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3. pH 2.5 인공산성비 처리로 벼를 제외한 콩, 보리 및 무의 기공에 피해가 나타났다.

  • PDF

가상 용접부내의 결함으로부터 반사된 초음파의 지향성 해석 (Directivity Analysis of Ultrasonic Wave Reflected from the Artificial Defect in Simulated Butt Welded Joint)

  • 남영현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78-385
    • /
    • 1995
  • 초음파검사는 초음파 펄스가 한 방향으로 진행한다고 하는 지향성을 이용하고 있다. 초음파의 지향성은 전파 방향과 음압 분포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탐촉자의 배치, 탐상 감도 및 주사 간격, 결함의 위치 및 특성의 결정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 본 논문은 초음파가시화법을 이용하여 pyrex glass로 만든 가상 맞대기 용접부내의 용접 금속부에 위치한 인공 결함으로부터 산란한 반사 횡파의 지향성을 측정하였다. 2 MHz와 4 MHz의 사각탐촉자가 인공 결함에서의 반사파의 지향성 조사에 사용되었다. 인공 결함으로부터 반사된 횡파의 지향성은 사각탐촉자의 위치 및 가상 용접부의 형상에 따라 달랐으며 2 MHz와 4 MHz의 사각 탐촉자에 따라 반사파의 지향성은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가상 용접부의 높이가 커짐에 따라 반사각과 입사각은 비슷하게 되었다.

  • PDF

한우에서 rbST 처리가 Progesterone 농도와 황체의 크기 및 수태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combinant Bovine Somatotropin (rbST) Treatment on Concentration of Progesterone, Volume of Luteal Tissue and Pregnancy Rate in Hanwoo)

  • 정세환;공일근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69-274
    • /
    • 2003
  • 본 연구는 과배란처리에 의한 수정란이식 시 우수한 수정란을 다량 확보하고 이식 후 수태율 향상을 위하여 수란우에 rbST처리가 수태율 및 progesterone 농도와 황체의 크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공란우는 Folltropin-V와 PGF$_2$$\alpha$를 이용하여 과배란처리를 유도하여 12시간 간격으로 2 straw씩 3회 인공수정을 실시하였다. 공란우와 수란우는 대조구와 rbST 처리구로 구분하였으며, rbST (500 mg)처리는 발정발현 후 미근부에 근육 주사하였다. 과배란처리된 공란우의 수정란채란은 수정 후 7∼8일째에 비외과적인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수정란이식 후 수태율은 rbST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64.0 vs. 47.1%; p<0.05). 채취한 혈액의 progesterone 농도 분석과 황체의 단면적를 조사한 결과 progesterone 농도는 대조구와 rbST 처리구에서 6일 동안 차이가 없었지만, 6일 이후부터 차이가 나타났으며 황체크기 역시 rbST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서 rbST처리는 이식 후 수태율의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