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민 협치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입법에서의 협치 확대를 위한 고찰

  • Hong, Wan-Sik
    • Journal of Legislation Research
    • /
    • no.53
    • /
    • pp.311-335
    • /
    • 2017
  • 국민들과 주민들의 입법참여를 위한 여러 방안들을 제도화 한 것은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것에서 나아가 주권자인 국민과 대의기관이 협력하여 협치를 이루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미 제도화된 입법예고와 공청회 청문회를 비롯하여 입법청원과 주민의 조례의 제정 개폐청구권 등은 일방적으로 법을 입법하여 수범자에게 제시되는 것이 아니라, 국민들의 의견을 반영하고 협력하여 '좋은 법' 내지 '준수가능한 법'을 만들기위한 것이다. 또한 제도화되지는 않았거나 본질상 제도화될 수는 없는 것이지만 사회적 자율과 국가적 강제를 조화시키는 장점을 지니는 국민발안과 협상에 의한 규칙제정 그리고 시민입법 및 연성법 등도 협치라고하는 시대정신에 상응하는 입법경향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현행 제도인 입법청원이나 입법예고를 포함하여 법안심사 과정중에 공청회 청문회를 실질화하여 국민들의 의견을 입법에 적극 반영하는 것이 국가와 국민의 협치를 강화하는 것이며 조례의 제정이나 개폐 청구를 실질화하여 주민들의 의견을 자치입법에 적극 반영하는 것이 지방자치단체와주민의 협치를 강화하는 것이다. 또한 제도화는 안 되어 있지만 국민소환과 함께 도입이 주장되고 있는 국민발안제도 혹은 시민입법도 입법과정에서의 일방성을 시정하기 위한 협치의 한 방안이고 협상에 의한 입법이나 연성법의 활용도 협치적 요소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이라고 볼 수 있다. 법률 행정입법 자치입법의 입법을 포함하여 연성규범에 있어서, 즉입법과정에서 공식적이건 비공식적이건 간에 협치의 의미를 실현하고 이를 적용할 영역은 이와 같이 다양하게 생각해 볼 수 있다. 입법을 통한방식의 국가의사 결정에 있어서 기존처럼 일방적인 방향성을 지니는 패러다임에서, 이제는 쌍방적인 방향성을 지니는 패러다임의 전환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법률에 의한 행정과 재판이 법치주의의 본질적내용이기 때문에 국가작용에서 입법은 특히 중요하며, 입법과정에서 국민을 참여시키고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는 협치적 요소를 입법과 관련한 제도개선에 적극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

An Analysis of Residents and Experts' Perception on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Urban Rivers (도시하천의 보전 및 이용에 관한 주민과 전문가 인식 분석)

  • Lee, Ai Ran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9 no.2
    • /
    • pp.124-129
    • /
    • 2022
  • Urban river have been a key pillar in citizens' lives through the healthy urban environment of ecological nature along with the function of this dimension. On the other hand, conflicts are occurring in terms of conservation and use of rivers in the region along with the expansion of infrastructure due to urban densification. Appropriate agreement and coordination are needed for sustainable streams. This study aims to analyze various opinions through public discussion of residents' proposals through the resident participation cooperation budget. User awareness surveys and expert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six rivers in Eunpyeong-gu. Through this, stable and sustainable preservation of local and small rivers and appropriate and balanced use measures were proposed.

The action plan of community-based governance for the realization happy life zone in Jeju (제주행복생활권 민관협치 구현 방안 연구)

  • Yang, Sung-Soon;Hwang, Kyung-Soo;Kim, Kyung-Bum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9
    • /
    • pp.178-187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governance in the business processes of Jeju's proposed 'Happy Living Area.' This study found Jeju's 'Happy Living Area' plans for governance were realized and conflicts may frequently occur in future business processes. Furthermore, roles and support systems were measured for the development council of 'Happy Living Area.' This paper reports findings from a case study on community planning for a public art project. This study recommends public-private governance in terms of process factors as well as role considerations. With respect to process factors, administrative agencies and citizen participation are examined. Second, the Living Area Council should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s well as residents. Third, Happy Living Zones' Advisory Centre should undertake an advisory role. Fourth, consulta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s is needed to establish evaluation criteria for reviewing proposals from subordinate administrative agencies. Fifth, local government systems should be managed by autonomous municipalities. Concerning role considerations, a new 'Personality for Governance' position should be established for performing different roles in the project implementation stage.

The Transitions in Korea's Rural Development Policies: From 1960s to the Present (한국농촌개발정책의 시기별 전개와 구성요소의 변화)

  • Yoon, Won-Keun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17 no.2
    • /
    • pp.279-304
    • /
    • 2010
  • 한국의 농촌개발정책은 지난 50년에 걸쳐서 많은 변화를 겪어왔다. 농촌개발정책은 국내외의 정책 환경인자와 관련성을 맺는 가운데, 농업 농촌이 처한 시대별 과제를 해결해나가는 과정의 결과라고 여겨진다. 농촌개발정책은 1960년 이후 현재까지의 기간 동안에 4단계의 시기별, 정책구성요소별로 의미 있는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2000년을 전후하여 국가발전을 위한 행정이념이 효율성에서 형평성으로 전환됨에 따라 농촌개발정책은 전반적이고 근본적인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농촌지역은 국가발전을 위한 새로운 가치와 자원을 가지고 있는 공간으로 재인식되고 있다. 농촌은 곧 마을이라는 으로 변화되고, 농촌의 소도읍이 새로운 농촌지역의 삶의 미시적인 관점에서 접근되던 정책이 인근의 도시와 연계를 맺는 방향 공간으로 접근되고 있다. 농촌개발정책은 농업을 중심으로 하는 정책에서 비농업부문의 개발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지역농업과 공간정책을 통합하여 개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 과정에서 농촌개발과 관련이 있는 중앙정부 부처의 수가 증가하는 가운데, 지방정부와 지역주민의 역할이 강조되면서, 수직적 수평적인 분권화와 협치 체제의 구축이 중요해지고 있다. 또한 지역의 고유성과 지역단위사업의 연계성에 대한 강조는 자연히 지역단위 계획제도의 정착과 이를 현실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예산제도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How can the development of neighbourhood renewal strategies in Malaysia be informed by best practice and transferable lessons from developed countries (선진국 도시재생 사례비교를 통한 말레이시아 주거재생 전략의 모색)

  • Tin, Wan Jiun;Lee, Seok-Hwa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4
    • /
    • pp.469-486
    • /
    • 2017
  • Economy-based urban redevelopment is the main priority in Malaysia, but has resulted in social problems such as gentrification, loss of heritage and identity, inequity, etc. Hence, it is crucial for the government to seek other alternatives rather than being solely reliant on urban redevelopment. Neighborhood renewal is a strategy involving the integration of redevelopment, rehabilitation, revitalization and preservation that aims to improve deprived areas using a more holistic approach.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neighborhood renewal policies in developed countries and to identify those elements that can be adopted in Malaysia. This study is conducted via a literature review. It was found that neighborhood renewal which integrates people-based, place-based and system-based policie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diversity, thereby aiming for resource optimization, community engagement and urban governance with the focal point of the fair, equity and systematic provision of resources. This paper concluded that neighborhood renewal in Malaysia should be initiated by locals with an emphasis on real local participation and a sustainable funding system. The government and local authorities should be observers rather than implemen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