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주두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7초

백합의 자가 및 품종간 종자형성에서 주두 및 화주절단수분 (Effect of Stigmatic and Cut-style Pollination on Selfed and Intraspecific Seed Set in Lilium spp.)

  • 이지용;임용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0권4호
    • /
    • pp.347-352
    • /
    • 2003
  • 주두 및 화주절단수분법으로 나팔백합 (L. longiflorum)과 신나팔백합 (1. ${\times}$ ormolongi)을 자방친으로 한 자가 및 품종간 수분을 통하여 교배 조합간 종자 형성율 등을 구명하고 교잡종 육성범위 확대를 위한 기본자료를 얻고자 수행했다. 나팔백합인 L. longiflorum 'Gelria' 및 L. longiflorum 'Lorina'의 자가수분에서 주두수분의 경우 각각 100%의 종자형성 삭과율에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각각 189개, 70개인 반면 화주절단수분에서는 종자형성 삭과율이 각각 87%, 40%였다.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각각 53개, 20개로 화주절단 수분법보다 주두 수분에 의한 종자 형성률이 훨씬 높았다. L.${\times}$formolongi의 자가수분에서도 주두수분은 80%의 종자형성 삭과율에 삭과당 종자수가 597개인 반면 화주절단 수분에서는 47%의 종자형성 삭과율에 삭과당 종자수가 81개였는데 형성된 종자도 주두수분보다 충실하지 못했다 품종간 수분에서 L. longiflorum 'Gelria' 및 L. longiflorum 'Lorina'을 자방친으로 한 전체에서 주두수분의 종자형성 삭과율은 60%로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18개인 반면, 화주절단 수분에서는 종자형성 삭과율이 20%로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7개로 주두수분과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신나팔백합의 품종간 교잡인 (L.${\times}$formolongi 'Raizan'${\times}$L. formolongi 'Nobia')에서도 주두수분시 종자형성 삭과율이 75%로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179개인 반면 화 주절단 수분에서는 종자형성 삭과율이 50%로 삭과당 평균 종자수는 63개로 주두수분과 많은 차이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주두수분이 화주절단수분보다 결실률이 높았다.

성장기 운동선수에서 발생한 척골주두의 스트레스 골절: 증례 보고 2례 (Stress Fracture of Olecranon in Growing Athletes: A Report of Two Cases)

  • 백승훈;최창혁;김세식;최용석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5-68
    • /
    • 2010
  • 15세 씨름선수에서 발생한 주두의 횡상 골절 1례에서 골이식 및 내고정 치료를 시행 후, 술 후 6주에 골유합 소견을 확인하고 능동적 근력강화 운동을 통하여 술 후 6개월에 기존 강도의 운동으로 복귀하였다. 18세 야구선수에서 발생한 주두의 사선상골절 1례에 대해서는 안정 및 근력강화운동을 통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3개월 후 통증이 완화되어 투구 운동을 재개하였고, 6개월 후 기존 강도의 운동으로 복귀하였다.

  • PDF

기내 수분과 배양에 의한 화본과 사료작물 종속간 수정과 배의 발육 (Fertilization and Embryo Development in Pollination and Culture for Interspecific and Intergeneric Crossing of Forage Crops)

  • 이호진;한지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55-461
    • /
    • 1987
  • Festuca속의 토올페스큐와 메도우페스큐, 그리고 Lolium속의 이탈리안라이그라스들 간에 종속간 잡종을 얻기 위하여 기내수분과 기내배양을 실시하였다. 이들 작물들의 자방과 화분을 채취하여 소독을 하고 주두수분, 주두제거 수분, 배주수분의 3가지 방법으로 기내수분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배발육상태를 MS, N6 , White's의 배지종류와 IAA Kinetln, BA의 생장조절물질의 처리로서 비교하였다. 1. 토올페스큐, 메도우페스큐,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상호 조합간 기내수분에서 44~92%의 수정율을 나타내었다. 이들의 주두수분은 평균 67.8% 주두제거 수분은 평균 89%의 수정율을 보였으나 배주수분은 평균 61 %로 낮았다. 2. 화본과 수정배주에서 배발육을 촉진하는데는 White's 배지가 가장 효율적이었고 식물생장조절물질의 처리는 IAA(10mg/$\ell$)와 Kinetin(0.2 mg/$\ell$)의 혼합처리가 무처리보다 효과적이었으나 발아율은 극히 저조하였다 3. 기내배양으로 성숙 배주의 배부조직에서 유관책의 형성과 시원체조직의 분화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배주 내부에 후막세포들의 형성이 관찰되었다.

  • PDF

장력대 강선 고정법을 이용한 주두 골절의 수술적 치료 후 전완부의 회전운동 제한 - 증례보고 - (Limitation of Forearm Rotation after Tension Band Fixation in Olecranon Fracture - Case Report -)

  • 노권재;이철우;윤여헌;신상진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33-137
    • /
    • 2005
  • 주두 골절에 대한 치료적 수술 방법으로 장력대 강선 고정법은 골절의 고정과 유합에 유용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의 합병증으로 불유합, 운동 장애 및 강선의 피하 돌출 등이 보고되고 있으나 그 빈도는 많지 않다. 그 중 주관절의 회전 운동 장애에 대한 보고된 예가 없어 저자들은 전완 회내전과 회외전 장애를 각각 1례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

한국산 덩굴용담과 좁은잎덩굴용담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Studies of Korean Tripterospermum japonicum (Max.) Max. and Pterygocalyx volubilis Max.)

  • 백원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1-73
    • /
    • 2003
  • 한국산 용담과 식물중, 덩굴식물인 좁은잎덩굴용담속과 덩굴용담속에는 각기 1분류군씰 분포한다. 이에 대한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였으며, 줄기, 잎, 자방, 악, 자방의 횡단면, 주두, 잎표피, 주맥표면, 화관열편 표면, 밀선, 종피와 화분의 형태를 조사하여 두 속간의 한계 와 유연관계를 재검토하고자 하였다. 두 분류군의 식별형질로는 주로 열매형질(삭과와 장과), 부화관의 유무와 화분형 질(망상과 유선상)로 의존해 왔으나, 조사결과 외부형태형질(뿌리, 잎, 꽃받침, 주두, 약)과 내 부형태형질(꽃받침, 자방) 그리고 미세구조(화피열편의 표면, 잎의표면, 주맥의 표면, 종피)에서도 커다란 차이를 보였다. 두 분류군의 분포는 한반도 육지역에 분포하는 것은 전부 좁은잎덩굴용담이었고 덩굴용담은 해양성기후대인 제주도와 울릉도에서만 발견되었다.

하늘지기속(사초과)의 신종: 물하늘지기(Fimbristylis drizae J. Kim & M. Kim) (A new species of Fimbristylis (Cyperaceae): F. drizae J. Kim & M. Kim)

  • 김종환;김무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8-11
    • /
    • 2015
  • 사초과의 하늘지기속 신종인 물하늘지기(Fimbristylis drizae J. Kim & M. Kim)를 전라북도 정읍시 수청저수지에서 발견하여 기재하였다. 물하늘지기는 줄기는 5각형이고 1-2개의 기부 경생엽이 엽신이 없는 엽초만 있으며 화서는 소수화서를 가진 점에서 검정하늘지기(F. diphylloides Makino)와 유사하다. 그러나 물하늘지기는 주두가 2개이고, 소수가 타원형이며, 수술이 1개(드물게 2개)이고, 인편이 황갈색이며 저수지 가장자리에서 자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반면에 검정하늘지기는 주두가 2개 또는 3개이고, 소수가 난형이며, 수술이 2개이고, 인편이 흑갈색이며 임도변의 습한 곳에서 자라는 점에서 구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