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거 만족

Search Result 31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아파트 거주자의 변인에 따른 주거환경 만족도의 차이에 대한 연구 -부동산 관련 창업자를 위한 소비자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 Jin, Seon-Jin;Ha, Gyu-S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0a
    • /
    • pp.81-108
    • /
    • 2009
  • 본 연구는 서울지역 아파트 거주자를 대상으로 거주자의 주거환경 만족도,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주거형태에 따른 주거환경 만족에 차이, 그리고 주거환경 만족도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아파트 거주자 500명을 대상으로 2009년 9월 1일부터 2009년 9월 20일까지 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Duncan Multiple Ranger's Test 등을 계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지역 아파트 거주자의 주거환경만족도는 중간이상의 수준을 나타냈으며, 사회환경 중 단지질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둘째, 거주자 변인에 따른 시설환경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거주자 변인에 따른 근린, 사회환경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주거환경 만족도 변수상호간에는 주택환경 만족도와 단지 내 환경 만족도, 단지 내 환경 만족도와 관리상태 만족도간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 PDF

Housing Environment Type And Resident Housing Satisfaction (주거환경유형과 거주자의 주거만족)

  • 진양교;수와이드만;제임스앤더슨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19 no.1
    • /
    • pp.45-59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 환경지표와 그에 대한 인간의 주관적 반응간 의 인과적 관련도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거주자의 주관 적 반응인 주거만족과 객관적 환경지표의 하나인 주거환경유형들(건물유형 과 건물배치유형)과의 인과적 관련도가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토의된다. 한국의 6개 대단위 공동주택단지가 본 연구의 대상지로 선정되었고, 표본 추출시 건물유형과 건물배치유형을 고려한 다단계 표집방법(multistage sampling)이 사용되었다. 설문면답방법(modified structured survey)에 의해 646명의 처리 가능한 응답이 수거되었다. 인과모형 검증의 첫 단계로서 다 수의 설문문항을 원래 관심있는 소수의 변수로 정선, 추출하기 위한 방법 으로 요인분석이 사용되었다. 요인분석으로부터 정선, 추출된 변수를 이용 해서 본 연구의 가설모형이 정립되고, 그 모형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으로 경로분석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를 요약해 볼 때, 건물유형과 건물배치유 형 모두가 거주자의 지각, 인식, 태도 등의 적절한 매개변수들을 통해 거주 자의 주거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물유형은 일반 적으로 저층주거에서 고충주거로 바뀌면서, 거주자의 주거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고, 고층주거가 거주자에게 주는 시각적 단 조로움, 과밀감, 그리고 주차장을 포함한 옥외공간 이용상의 불편들과 또 그들로 인한 낮은 안전성 및 경관에 대한 불만족 등이 그 이유로서 밝혀졌 다. 건물배치유형의 경우, U자형의 배치유형이 선형배치유형에 비해 과밀 감 해소, 시각적 명료성 향상, 그리고 옥외공간 이용상의 편리 등 및 또 그 에 따른 경관에 대한 만족의 향상 때문에 거주자의 주거만족을 높이는 데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와 관련된 설계 및 계획분야를 위한 여러 다 양한 제안들이 본 연구에서 제시되고, 추후 관련 연구들을 위한 가능성들 도 토의되었다. 그 유용성 때문에, 아직 많은 이론적, 방법론적, 그리고 분 석상의 문제에도 불구하고, 객관적 환경지표들과 이용자들의 만족을 포함 한 다양한 주관적 변수들과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밝히려는 시도가 계속되 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ffects of Housing Environment on Valu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Housing (주거환경이 주거가치, 주거만족,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Park, Yeung-kurn;Kim, Pan-jun;Hwang, Tae-soo
    •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 /
    • v.5 no.1
    • /
    • pp.89-105
    • /
    • 2007
  • The apartment market in korea is rapidly changing from the producer-oriented market to the customer-oriented market. This means the user's perception of the apartment changed, so the pattern of purchase also changed. The apartment house enterprises should use the method of well grasping the purchase intention of the customers, and then satisfying buyer's need to study the marketing strategy. Seeing from the circumstances, the purpose of study is not just the real estate, and on the basic of preceding studies about the marketing field also should analysis what kind of influence the housing environment gives to the standard of the housing value and housing satisfaction, and what kind of influence the standard of the housing choice criteria gives to housing value, housing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and what kind of influence this kind of housing value and housing satisfaction gives to the Repurchase Intention. And also should give some suggestions for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apartment house enterprises later.

  • PDF

Satisfaction with Housing , Community , and Living Environment - Comparison among Urban , Rural , and Fishing Village Residents - (지역별 주거만족도와 생활환경 만족도 - 도시 , 농촌, 어촌 지역 주민을 중심으로 -)

  • 정영숙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6 no.2
    • /
    • pp.113-121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도시, 농촌, 어촌지역 주민들의 주거만족도와 지역사회 및 생활환경 만족도를 비교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특성은 지역을 하나의 통제변인으로 분석에 포함시켜 제변인들의 영향력의 방향과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는 점이다. 자료는 1993년 6월 부터 1994년 6월 동안 488명의 주부를 대상으로 수집하였으며, 대구에 거주하는 주부 254명과 경북권내의 영천과 청도 등의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주부 124명, 그리고 한산도 섬내에 거주하는 주부 110명을 대상으로 각 가정을 방문하여 면접법을 실행하였다. 회귀분석을 실행한 결과,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주거비와 주거소유형태였으며, 거주하고 있는 지역사회와 생활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주거만족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을 고려할 때, 도시거주자의 주거만족도가 농촌이나 어촌거주자의 주거만족도 보다 높은 반면 지역사회에 대한 만족도와 생활환경 만족도는 농촌거주자와 어촌거주자가 도시거주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을 고려한 주거정책 관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The Effects of APT Management and Residence Quality on Residence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아파트단지 관리와 주거품질이 주민들의 주거만족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In, Yong Jun;Oh, Deog Se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6
    • /
    • pp.552-562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partment complex management and residential quality on the residents'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residents of an apartment complex in Doan, Daejeon. Statistical analysis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s for apartment complex management, residential quality, living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The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evalua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Multi-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es. As a result, the following main results were derived. First, maintenance factors and living management factors among apartment complex management factor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sidents' residential satisfaction. Second, among the factors of residential quality in apartment complexes, convenience, safety, comfortability, and econom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sidential satisfaction. Third, residential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Overall, the factors of apartment complex management and residential quality affecting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s were derived.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Factor of Residents' Participation and Conflict on Housing Satisfaction in a Social-Mix Housing Complex (Social-Mix 단지에서의 입주자 참여 및 갈등이 주거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 Park, Kun-Sok;Park, Eun-Kyu;Kwon, Chi-Hung;Nam, Won-Seok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2 no.3
    • /
    • pp.239-247
    • /
    • 2011
  • Such factors as living space, living environments, etc. are considered to have influence on housing satisfaction. Recently, increased residents' participation and residents' conflict in apartment management emerge as the important factors to influence it. They are more important in a social-mix housing complex of sales apartment and rental apartment, which is provided as a part of social mix. Therefore, a study hypothesis is established with a study model based on the precedent studies. The results from investigation the hypothesis are; First, the factor of living environment has meaningful influence on the factors of residents' participation and conflict. Second, residents' participation and conflict significantly affect housing satisfaction. Third, the factor of residents' participation shows a full mediated effect, and the factor of residents' conflict, a partial mediated effect. This study has a meaning as an exploratory one to identify a variable of residents' participation and conflict in social-mix apartment complex, and to verify their influence on houisng satisfaction empirically.

The effects of multiphasic components of home environment on life satisfaction (다면적 주거환경 구성요소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Hong, Sun-Gwa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3
    • /
    • pp.419-425
    • /
    • 2016
  • This paper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multiphasic components of home environment on life satisfaction. This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15 to November, 2015 and 298 responses from the survey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earch findings could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s. First, each of the elements of home environment was generally recognized as average level. while, the mean score of privacy was higher than average. Second, privacy, economics, high income and good health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s to explain life satisfaction. In conclusion, privacy and economics among the multiphasic components of home environment were major variables that affect life satisfaction.

The Effects of Housing Poverty on Family life (주거빈곤이 가족생활에 미치는 영향)

  • Lim, Jae-hyu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2 no.1
    • /
    • pp.279-304
    • /
    • 2011
  • The housing is basic need to human life, foundation of family life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to control human life and acti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housing have various effects on the family life such as family lifestyle, relationship of family members and child development and health by family structu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how the housing poverty, defined as sub-minimum standard housing conditions, excess housing expenditure and housing instability, affects the family responsibility burden, th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he family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used the third Korean Welfare Panel Study, the analytic method used wa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d the model fit had a considerable validity by inspecting the SEM.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Housing poverty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amily responsibility burden, while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family conflict action metho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family life satisfaction and health(subjective, mental, physical). The indirect effects on housing poverty had better effect by family conflict action method than effect by health, but the direct effects had the most.

A Study on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Single Youth Households Tenants (청년 1인가구 임차인의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부산·경남지역을 중심으로)

  • Kwon, Jeongpyo;Kang, Jeonggyu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3 no.2
    • /
    • pp.65-79
    • /
    • 2022
  • To suggest implications of future housing problems, this study investigates which characteristics affect the housing satisfaction of young single households. Using the survey data, we perform the multiple regression and decision tree models based on the SPSS Statistics 25.0. Our empirical results show several key features. First, housing characteristics and intention to continue single households had a positive (+) effect on housing satisfaction, in the order of natural, housing,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intention to continue single households. Second, housing characteristics and intention to marry in the future had a positive (+) effect on housing satisfaction in the order of natural, housing,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Third, housing characteristics and intention to increase household members in the future had a positive (+) effect on housing satisfaction, in the order of natural, housing,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Finally, the results of the decision tree model show that the natural characteristics were over 3.4, and housing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in the case of Jeons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ree implications for policymakers. First,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young single households is important. Second, providing customized housing for young single households could enhance the housing satisfaction of young people. Finally, housing provision needs to be carried out with suitable space for the lifestyle of young single households.

Residents' Satisfaction with Visual Appearance of the Housing Environment in Korean Multi-Family Housing (주거환경에 대한 거주자 시각만족의 경험적 모형)

  • 진양교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21 no.4
    • /
    • pp.15-27
    • /
    • 1994
  • 주거환경에서 거주자의 '시각만족(residents' satisfaction with visual appearance)은 더 큰 추상적 개념인 '주거만족'(residents' housing satisfaction)과의 밀접한 인과적 관련(Francescato et. al., 1979) 때문뿐만 아니라 인간 기본 욕구 중의 하나인 미적 욕구의 충족과 관련되어 있다는 점(Chin, 1991)에서도 중요시 되어야 할 이론적 개념이다. 본 연구에서는 거주자의 시각만족을 종속지표로 보고, 다양한 영향 가설변수들과의 인과 적 관련도를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통해 검증하고 있으며, 어떤 변수 가 어떤 이유(경로)로 또는 얼마만한 크기로 거주자의 시각만족에 영향을 주는 가가 중점적으로 토의된다. 한국의 6개 대단위 주거단지로부터 다단 계표집 방법과 설문면담 방법을 통해 646명의 응답이 수거되었다. 분석의 첫 단계로써, 다수의 설문문항을 본 연구의 가설 변수로 집약하기 위한 요 인분석(factor analysis)이 사용되었고, 요인 분석으로부터 추출된 변수들간 의 인과적 관련도를 검증하기 위해 최종적으로 경로분석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볼 때, 본 연구의 가설 변수 대부분이 최종 종속변 수인 거주자의 '시각만족'에 유의한 인과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구체적으로 '시각적 무질서'(visual disorder), '시각적 단조로움'(visual monotony), '단지 과밀감'(development crowding) 등이 부정적 영향을, '시 각적 매력'(visual attractiveness)과 '인근 자연녹지의 존재'(presence of nearby natural environment)등이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 다. 그 외에도 '옥외공간이용 편리'(outdoor or recreation convenience)와 ' 이웃만족'(satisfaction with neighbors), 그리고 '주거환경 유형'(building type, building arrangement type)등도 유의한 인과적 관련을 보이므로써, 기존 문헌들이 제시하고 있는 것보다 훨씬 다양한 변수들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거주자 시각만족의 영향인자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가설 변수의 하나인 '길찾기의 난이 정도'(difficulty of way-finding)와 종 속변수간에 유의한 관련도가 나타나지 않은 이유로 길찾기 변수가 '시각만 족'보다는 거주자의 '안전만족'(safety)과 관련된 변수일 가능성도 아울러 지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주거 계획 및 설계분야 그리고 추후 관 련 연구 분야를 위한 여러 제안들이 제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