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주거용도

Search Result 18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Performance Review and Revitalizing Support Plans for Rural Residence though Current Status Survey (현황조사를 통한 농촌주거의 성능검토 및 재생지원방안)

  • Park, Junmo;Kim, Okkyue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6 no.2
    • /
    • pp.3-11
    • /
    • 2015
  • The urban has been improved houses and facilities as accelerating industry and society, while the rural area was inferior to the city. Furthermore, there was not a maintenance in time as ageing, and did not expect to rebuilding of using proper techniques and materials for financial reasons. This study find a way to make a revitalizing plan for appropriate real state. For this, perform a current status survey that 900 rural residences of 36 rural villages in Chungcheong area. As a result, Korean traditional structure is a half in residential type, and has poor residential conditions by comparison with western pattern. The structural type comprises two type that a pure structure and a mixed structure, and Korean traditional structure is a mixed structure more than a pure structure. It is considered continuous changes by a resident due to a pure structure was not satisfy various functions. It need appropriate plan to improve a rural residence for each characteristics.

Representation of Population Distribution based on Residential Building Types by using the Dasymetric Mapping in Seoul (대시메트릭 매핑 기법을 이용한 서울시 건축물별 주거인구밀도의 재현)

  • Lee, Sukjoon;Lee, Sang Wook;Hong, Bo Yeong;Eom, Hongmin;Shin, Hyu-Seok;Kim, Kyung-Mi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2 no.3
    • /
    • pp.89-99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present the residential population distribution in Seoul, Korea more precisely through the dasymetric mapping method. Dasymetric mapping can be defined as a mapping method to calculate details from truncated spatial distribution of main statistical data by using ancillary data which is spatial data related to the main data. In this research, there are two types of data used for dasymetric mapping: the population data (2010) based on a output area survey in Seoul as the main data and the building footprint data including register information as ancillary spatial data. Using the binary method, it extracts residential buildings as actual areas where residents do live in. After that, the regression method is used for calculating the weights on population density by considering the building types and their gross floor areas. Finally, it can be reproduced three-dimensional density of residential population and drew a detailed dasymetric map. As a result, this allows to extract a more realistic calculating model of population distribution and draw a more accurate map of population distribution in Seoul. Therefore, this study has an important meaning as a source which can be applied in various researches concerning regional population in the future.

Temperature Change Analysis for Land Use Zoning Using Landsat Satellite Imagery (Landsat위성영상에 의한 용도지역 온도변화분석)

  • Jung, Gil-Sub;Koo, Seul;Yoo, Hwan-Hee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9 no.2
    • /
    • pp.55-61
    • /
    • 2011
  • The land use has been changed artificially and caused the result of temperature increase of city compared with the outside of city or region of park and fores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hange of the urban surface temperature with land use zoning in Jinju using Landsat TM/$ETM^+$ imagery and to provide the correlation between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and urban surface temperature change. The results presented tha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urban surface temperature was depending on the change of NDVI values on land use zoning. Considering to the average temperature by land use zoning, industrial area was the highest temperature but green area was the lowest temperature. Also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orrelation between surface temperature and NDVI, the green and residential area had higher correlation values than the commercial and industrial area. These results will be played a part as one of the major factors for implementing the sustainable urban planning considering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problem.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of Impervious Ratio in Land-use Zone Using Pervious/Impervious Map based on GIS - Focused on Bupyeong-gu Incheon - (GIS기반의 투수/불투수도를 이용한 용도지역별 불투수율 현황분석 - 인천시 부평구를 대상으로 -)

  • Oh, Seong Kwang;Kim, Kye Hyun;Lee, Chol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91-191
    • /
    • 2015
  • 무분별한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해 불투수면이 증가하고 있다. 불투수면은 빗물이 투과하지 못하는 지면을 의미한다. 이러한 불투수면은 강우 시 지면에 있는 유해물질이 그대로 인근 수계로 유입되게 함으로써 심각한 수질 오염을 야기한다. 이와 관련하여 환경부에서는 불투수율 관리를 위하여 2013년에 전국토를 대상으로 불투수율을 산정한바 있으나, 소축척 수준의 시 또는 유역 단위 통계만을 산출하였고 대축척 수준의 소규모 개인 필지 내 조경지역 등을 반영한 불투수율 통계는 현재까지 부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천시 부평구를 대상으로 소규모 필지까지 적용 가능한 고해상도 투수/불투수도를 제작 및 활용하여 용도지역별 불투수율 현황을 분석하였다. 불투수면의 공간적 분포 확인을 위해 토지피복지도, 수치지형도, 항공사진(25cm급) 등을 활용하여 고해상도 투수/불투수도를 제작하였다. 투수/불투수도는 세분류 토지피복지도 제작 지침인 선형 요소의 경우 폭 3m, 면형 요소의 경우 면적 $10m{\times}10m(100m^2)$를 참조하여 제작되어 개별 필지단위의 불투수면까지 확인 가능하다. 이후 용도지역도를 수집하여 GIS 환경에서 투수/불투수도와 중첩하여 용도지역별 불투수율을 산출하였다. 불투수율을 산정한 결과 부평구 전체 불투수율은 64%로 확인되었다. 또한 용도지역도 중분류상 주거지역의 경우 불투수율이 82.1%, 상업지역의 경우 91.7%, 공업지역의 경우 94.1%, 녹지지역의 경우 30%로 확인되었다. 상업지역 및 공업지역의 경우 불투수율이 90%이상으로 불투수면 관리가 시급하다고 판단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기존 환경부에서 제작한 투수/불투수도 보다 정확한 불투수면의 공간적 분포 확인 및 불투수 면적 산출이 가능하여 불투수면 우선관리지역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불투수율이 높은 지역을 우선 선별하여 저영향개발(LID, Low Impact Development) 및 그린빗물인프라(GSI, Green Stormwater Infrastructure)의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한다. 특히, 불투수율이 높은 상업지역 및 공업지역에 대해서는 연구 결과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한 개선이 요구된다.

  • PDF

Impacts of An Election Pledge of Chief 3of Regional Government on the Change of Urban Spatial Structure (자치단체장의 선거공약이 도시공간구조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Shin, Chun-Shick;Lee, Joo-Hy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7
    • /
    • pp.387-405
    • /
    • 2011
  • A local government is not a group under central government, rather it fulfills the function independently as a economic social administrative unit. Belief and role of chief of regional government, and citizen's understanding and interest regarding importance of an election pledge are getting higher. Thus, this study researches election pledges which can be a main variable of urban plan. Especially, the study attempts to analyze impacts of election pledge on urban spatial structure and regional economic structure. When relationship between election pledge and Use Zoninig change were analyzed, the result showed that development related entire use Use Zoninig changes were related with election pledge. When it was subdivided according to each use area, relationship of use area change among election pledge and urban spatial structure found to have relatively high in resident area. In addition, relationship between population factor and election pledge was high. This can be judged as election pledge and urban spatial structure change have relationship. Particularly, sectors related with residents are expected to have high correlation. As a result, pledges regarding general welfare administrative part were a few at areas with many pledges regarding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So, it can be classified as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oriented pledge suggesting area and welfare administrative oriented suggesting area. Through realization of these pledges, it might be able to affect urban spatial structure changes.

An Analysis Affecting Commercial Use Penetration within Single-detached Residential Units in the Residential Development Complexes : Focused on Cheong-ju Cases (택지개발지구 단독주택용지내 상업용도 침투의 영향요소 분석 : 청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 Song, Sun-Gi;Jung, Yun-Kwang;Hwang, Hee-Y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6 no.1
    • /
    • pp.34-4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commercial use of housing site in residential development complexes, and to derive effective future development plan by analyzing the influence of penetrating factors of commercial use. The foJ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characteristics of roads showed that the wider the widths of roads adjoining individual lots have more influences on commercial use penetration. This means that non-residential facilities tend to be located on regions where frequencies of uses are high, preferring regions having good transportation accessibility. Second, characteristics of adjacent usage showed that the distances of common housing, neighborhood facilities, schools to single-detached residential units acted as a factor for higher penetration ratio of commercial use when they were closer.ors an opposite, it showed as distances to parks were further, the penetration ratio were higher. This can be inferred that the condition of detached houses located closer to parks have pleasure environment, and act as a factor preventing commercial use penetration. Third, the official land price presents as a form of quality, a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higher official land price, the more it acts as a factor increasing the penetration ratio of commercial use.

  • PDF

A Study on the Guideline of Zoning Classification (용도지역 세분화의 기준에 관한 연구)

  • Lee, Won-Geun;Moon, Suk;Eo, In-Jun
    • Journal of The Korean Digital Architecture Interior Association
    • /
    • v.4 no.1
    • /
    • pp.26-35
    • /
    • 2004
  • The study is to provide the guidelines for the classification of residential zoning System in Seoul which reflect district characteristics. To this end, we first identify the problems the residential areas of Seoul are facing, and set up the policy goals and guidelines for refinding the zoning system for residential areas. Also, this study reviewed density control in he classification of residential zoning system, based on the guidelines of density, which included height, ratio of total floor to ground area, and land distribution.

  • PDF

Analysis of Cellular Call Traffic with City Zone Characteristics(1) (도시용도지역의 시간별 이동 통신 통화량 분석(I))

  • 손동우;윤영현;김상경;최원근;안순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c
    • /
    • pp.262-264
    • /
    • 1999
  • 이동 통신 텔레트래픽 모델은 Traffic Source 모델과 Network Traffic 모델이라는 2개의 하부 모델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지국이 설치되어 있는 지역특성을 고려한 Network Traffic 모델을 제시한다. 기존의 Network Traffic 모델에서는 이동 통신 환경을 시뮬레이션 하기 위해 동일한 환경에 설치되어 있는 몇 개의 기지국을 가정하여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기지국이 설치되어 있는 지역적 특성에 따라 다른 사용자 호 특성 및 설치 지역 특성이 전혀 반영되지 않고 있다. 도시를 상업, 주거, 준공업, 그리고 녹지지역으로 되어 있는 도시 계획 용도지역과 이외에 특이한 호 발생 패턴이 예측되는 역과 터널 주변이라는 6개의 지역으로 구분하고, 여기에 설치되어 있는 기지국으로부터 실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 자료를 이용하여 기지국이 설치되어 있는 지역에 따라 이동 통신 기지국의 요일별 통화량 분포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시뮬레이터에 적용하기 위한 평균값 및 분포값을 제시하였다. 이 파라메터들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성능 및 신뢰성을 측정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값들이다.

  • PDF

Analysis of Cellular Call Traffic with City Zone Characteristics(2) (도시용도지역의 시간별 이동통신 통화량 분석(2))

  • 윤영현;손동우;김상경;최원근;안순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c
    • /
    • pp.265-267
    • /
    • 1999
  • 이동 통신시스템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서는 이동 통신에서 발생되는 호의 패턴을 분석하는게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도시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기지국의 지역특성을 고려한 이동 통신 통화량을 분석하여,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도시를 상업, 주거, 준공업 그리고 녹지 지역으로 되어 있는 도시계획 용도지역과 이외에 특이한 호 발생 패턴이 예측되는 역과 터널 주변이라는 6개의 지역으로 구분하고, 여기에 설치되어 있는 기지국으로부터 실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 자료를 이용하여 기지국이 설치되어 있는 지역에 따라 이동 통신 기지국의 시간대별 통화량 분포를 분석하였으며, 하루 중 통화량이 가장 많은 최빈시간대와 통화량이 가장 적은 최번시간대를 구하였다. 또한, 구해진 각 종 결과를 시뮬레이션에 적용하기 위한 평균값 및 분포값을 제시하였다. 이 파라메터들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성능 및 신뢰성을 측정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값들이다.

  • PDF

Safety Survey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city planning area (용도구역별 아동·청소년의 안전실태와 대응방안)

  • Kim, Young-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243-245
    • /
    • 2015
  • 본 논문은 사고의 발생은 안전하지 못한 장소나 상황으로부터 발생하며, 그러한 장소는 안전수준이 높은 지역이나 사회적 계층 및 가정보다는 그렇지 못한 취약지역이나 취약계층 또는 취약가정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사고 발생율과 위험에 직면한 상황이 많이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지역의 특성에 맞는 집중적인 안전관리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국가적 차원의 안전사고 발생율을 낮추고, 효과적인 사고 예방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시계획구역에 따라 청소년 1,200명을 표본조사 하였으며, 자료처리 방법은 window spss pc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주요 사고 유형은 '추락/넘어짐/미끄러져 다친 사고'가 49.2%로 가장 많으며, 사고 장소는 학교주변, 집주변, 여가놀이시설주변이었다. 이것은 본 연구에서 아동청소년들의 주요 활동공간으로 제시한 곳과 일치한다. 용도지역에 따른 아동 청소년의 안전도 차이를 보면 도시 내 상업지역이 사고경험이 가장 많으며, 사고유형은 도시 내 상업지역은 화재, 이물질 섭취, 폭발, 부패 변질, 물체 접촉 등이 많고, 도시내 주거지역과 공업지역, 농어촌지역은 충돌이나 충격사고, 추락/넘어짐/ 미끄러져 다친 사고나 날카로운 물체에 베이거나 찔린 사고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