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종곡선

검색결과 389건 처리시간 0.032초

추계 일기 생성 모형을 활용한 합성 적설심 시계열 모의 (Simulation of synthetic snow depth time-series using stochastic weather generation model)

  • 박정하;김동균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99-9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기상 자료와 적설 특성 자료의 관계를 도출하고, 이와 추계 일기 생성 모형을 활용하여 합성 적설심 시계열을 모의하는 방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추계 일기 생성 모형에서는 적설량을 직접 모의하지 않기 때문에 강수량을 적설량으로 변환해야한다. 이를 위해 도입한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기상청 적설 예보의 적설 유무 판단 기준을 이용하였다. 이 기준에서는 상대습도와 지상기온에 따라 강수의 형태를 비, 눈, 진눈깨비로 구분한다. 둘째로 강수가 적설로 판단되었을 때 강수량을 신적설심으로 환산하는 수상당량비를 지상기온과 회귀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에 따라 3시간 1 mm 이상 5 mm 이하 강수와 3시간 5 mm 이상 강수 사상에 대하여 나누어 sigmoid형 곡선을 이용하여 회귀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융설에 의한 적설심 감소량을 지상기온과 복사량의 함수로 표현하였으며, 각 변수의 계수는 입자 군집 최적화 방법을 통하여 보정하였다. 추계 일기 생성 모형으로는 AWE-GEN 모형을 활용하였으며, 시험 자료로 강릉(105) 종관기상관측소의 24년 기간(1982-2005) 자료를 활용하여 합성 적설심 시계열을 생성하였다. 합성 적설심 시계열 모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추계 일기 생성 모형으로 합성 일기 자료 생성, (2) 강수 발생 시 적설 유무 판단, (3) 적설로 판단 시 수상당량비를 계산하여 신적설심 추정, (4) 기존 적설심에 신적설심을 더하고, 적설심 감소량만큼 감소. 위와 같은 과정으로 200년 길이 합성 적설심 시계열을 모의한 결과 극한 사상을 과소 추정하는 경향이 나타나 추가적인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백꽃으로부터 분리한 Leuconostoc mesenteroides DB3의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Leuconostoc mesenteroides DB3 from Camellia japonica Flower)

  • 김삼웅;신다혜;갈상완;방규호;김다솜;지원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11호
    • /
    • pp.915-922
    • /
    • 2023
  • 동백꽃으로부터 분리된 24 Leuconostoc spp. 균주들에 대한 항균활성 분석 결과, Leuconostoc mesenteroides DB3가 E. coli, Salmonella Typhimurium,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Candida albicans 등에 대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산성 분석결과 pH 2.5까지는 내성이 존재하고, pH 2.0에서는 내성이 존재하지 않았지만, 비교적 우수한 내산성이 존재했다. 담즙산에 대해서는 시험 구간내에서는 모두 안정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L. mesenteroides DB3는 표준균주인 L. mesenteroides KCTC3505에 비교하여 성장력이 늦은 것으로 나타났고, 생육적온은 30℃로 관찰되었다. 30℃에서 성장곡선의 관찰결과, L. mesenteroides DB-3는 L. mesenteroides KCTC3505에 비교하여 성장이 지연되었고, 18시간 이후에 정지기에 도달되었다. pH 변화는 성장곡선에 연동하여 변화되었지만, pH 3.98 이상에서 유지되었다. L. mesenteroides DB-3는 L. mesenteroides KCTC3505에 비교하여 초기 항균활성이 높았지만, 대수증식기 후반부 이후에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산 함량은 성장 곡선에 연동되어 나타났으며, 초기에는 L. mesenteroides DB-3가 낮게 생성되었지만, 대수증식기 후반부 이후에는 유사하였다. 뮤이신 부착력은 L. mesenteroides DB-3가 L. mesenteroides KCTC3505보다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등유에 대한 유화 능력은 L. mesenteroides KCTC3505와 DB-3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수성이 강한 바이오계면활성제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본 연구에 사용된 Leuconostoc mesenteroides DB3는 우수한 항균력, 내산성, 내담즙성 및 뮤이신 부착력에 기인하여 프로바이오틱스로써 활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울릉도 산림군락의 구조 및 DCCA에 의한 식생과 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 (An Analysi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s with DCCA in Forest Community of Ullung Island)

  • 송호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1-118
    • /
    • 2000
  • 본연구는 울릉도의 성인봉과 태하령 지역의 산림 식생을 대상으로 199년 7-8월에 식생조사와 토양조사에 의한 너도밤나무 군락의 임분구조 및 DCCA ordin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울릉도 산림의 중요치를 각 군락별로 살펴보면 너도밤나무-섬조릿대 군락에서 중요치가 높은 종은 너도밤나무, 우산고로쇠, 마가목, 섬단풍, 섬벚나무 등의 순으로 너도 밤나무-일색고사리 군락은 우산고로쇠 너도밤나무, 마가목 층층나무, 등수국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너도밤나무-큰두루미꽃 군락에서 중요치가 높은 종은 너도밤나무 우산고로쇠 등수국 마가목 음나무등의 순으로 솔송나무-섬잣나무 군락은 섬잣나무, 너도밤나무, 솔송나무, 회솔나무, 섬피나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 DCCA ordination에 의하면 산림군락과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다 너도밤나무-섬조릿대 군락은 해발고가 높고 네 군락 중 토양수분이나 전절소 유기물 등이 많은 지역에 분포하고 있었다. 너도밤나무-일색고사리 군락은 해발고가 다른 군집보다 높고 토양수분이나 전질소, 유기물 등이 많아 너도밤나무-섬조릿대 군락과 매우 유사한 입지환경을 가진 지역이나 토성 중 clay 가 많이 함유된 지역에 분포하고 있었다. 너도밤나무-큰두루미꽃 군락은 해발고가 네 군락 중 중간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토양수분이나 유기물, 전질소 등도 중간인 지역에 분포하고 있었다. 솔송나무-섬잣나무 군락은 해발고가 낮고 토양수분이나 전질소, 유기물이 적고 sand가 많이 함유된 토양에 분포하고 있었다. 3. 울릉도 산림군락으 Shannon의 종다양도 지수는 0.5455~0.8801으로 비교적 낮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너도밤나무 군락에서 분포하고 있는 주요 종의 조서열 중요치 곡선을 보면 전체의 기울기가 완만하여 너도밤나무 군락은 안정적이라 할 수 있다.단 생산성 향상을 위한 세포의 고농도 배양에는 조사한 여러 배양 시스템 중에 가장 효율적인 시스템임올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이 시스템 에서 포도당을 낮은 level로 유지할 수 있었으나, 초산의 과도한 축적으로 항체 생산성의 향상은 예상에 비해 크지 않았다. 81%), C18 0(12.38%), C18: 1(25.93%), C22:6(9.95%)이며 결합지방질(結合脂肪質)은 C14 : 0(11.60%), C16 : 0(18.94%), C16: 1(10.42%). C18 : 1(10.89%), C22 : 6(23.44%)이었다. 총필수지방산(總必須脂肪酸) 함량(含量)은 극성지방질(極成脂肪質)$(20.14{\sim}31.12%)$이 비극성지방질(非極成脂肪質)$(6.97{\sim}11.13%)$보다 훨씬 높았고, 결합지방질(結合脂肪質)이 유리지방질(遊離脂肪質)보다 높았으며 부위별(部位別)로는 피부(皮部)$(15.18{\sim}15.41%)$가 육질부(肉質部)$(6.97{\sim}11.13%)$보다 높았다. 또${\omega}3$고도부포화지방산(高度不飽和脂肪酸) 함량(含量)은 육질부(肉質部)$(15.15{\sim}28.32%)$가 피부(皮部)$(6.77{\sim}18.18%)$나 내장부(內臟部)$(8.35{\sim}9.74%)$보다 높았으며, 육질부(肉質部)에서는 극성지방질(極成脂肪質)$(26.28{\sim}34.18%)$이 비극성지방질(非極成脂肪質)$(15.15{\sim}28.32%)$보다 높았다.veral world-wide prediction models. Based on the analysis, we can easilty know

  • PDF

영남지방 농상물에 대한 위생학적 연구(제2보) ELISA 법에 의한 Aflatoxin B1 검색 (Hygienic Studies on the Agricultural Products in Youngnam Districts (Part II) Determination of Aflatoxin B1 by ELISA Method)

  • 정덕화;하기수;정혜경;김동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71-176
    • /
    • 1989
  • 영남지방 곡류에 오염되어 있는 Aflatoxin B1을 측정하기 위해 식속하고 정확한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법을 응용하였다. 생산된 Antibody 는 aflatoxin B2와 강한 corss reaction을 보였고, 정량적으로 표준곡선을 보인 aflatoxin B1 범위는 1-100ppb이었으며, methanol-PBS-dimethylformamide로 spike시킨 쌀 추출물이 ELISA 반응에 약간의 간섭반응을 보였다. ELISA법에 의한 쌀 65종, 보리 116종의 aflatoxin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쌀시료 65개 중 3개의 시료가 positive 반응을 보였으며, 그중 R-18이 $7.5\;\mu\textrm{g}/kg$, R-30이 $3.6\;\mu\textrm{g}/kg$, R-59가 $3.3\;\mu\textrm{g}/kg$ 순으로 aflatoxin B1 함량을 나타내었고 시료의 4.6%가 aflatoxin B1에 오염되었음을 보였다. 보리 116종 중 겉보리에서 4개의 시료가 positive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그 중 겉보리 UB-37이 $9.6\;\mu\textrm{g}/kg$의 함량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그의 UB-35, UB-54순이었으며 전체 시료의 3.4%가 aflatoxin B1에 오염되었음을 보였다.

  • PDF

한국산 버들치와 버들개의 생식 주기에 관한 연구 (Reproductive Cycles of Moroco oxycephalus and M. lagowskii in Korea)

  • 강영진;민미숙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7-125
    • /
    • 1999
  • 한국산 담수어류인 버들치와 버들개의 생식주기 연구를 위해 버들치 1개 지역, 버들개 2개 지역에서 1998년 4월부터 1999년 4월까지 채집된 암, 수 개체의 생식소중량지수 (GSI: gonado-somatic index)의 변화 주기와 각 발달 시기별 생식소의 조직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두 종은 거의 생식소 발달 단계상의 차이를 보이지 않아 이를 제 1단계 (방출기), 제 2단계 (미숙기), 제 3단계(초기 발달기), 제 4단계(후기 발달기), 그리고 제 5단계(완숙기)의 5단계로 나눌 수 있었다. 1998년 4월 중반부터 6월까지의 제 1단계 중, 두 종의 생식소는 현저한 무게감소를 보여 제 2단계인 7월 말에 이르러 최소값의 GSI를 기록하였다. 1998년 9월 이후 이후 두 종의 난소와 청소는 난자형성과정과 정자형성과정의 발달로 서서히 비대해져 GSI의 증가곡선을 보였으나 동절기인 12월 이후부터의 낮은 증가율로 인해 거의 일정한 상태의 GSI값이 1999년 2월까지 유지되었다(제 4단계). 1999년 3월 이후의 본격적인 난황축적과정과 정자형성파정으로 인해 GSI는 다시 빠른 속도로 증가하여 4월 경 완전히 성숙된 난소와 정소가 되었다. 일년간 조사된 GSI값의 변화와 조직학적 결과로 확인된 버들치와 버들개의 산란기는 4월 중순~5월 중순이었다.

  • PDF

강바닥판교의 종리브-횡리브 교차연결 상세변화에 따른 최적설계방안의 수치해석 연구 (Numerical Analysis Study for Optimal Design Method on Intersection between Longitudinal and Transversal Rib in Orthotropic Steel Deck Bridge)

  • 배두병;공병승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333-340
    • /
    • 2004
  • 최근 장대화 되어가는 강교량의 건설 기술발전에 따라, 자중이 가벼운 강바닥판 형식의 교량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강바닥판 교량은 피로에 매우 취약한 구조형식이며, 특히 종리브와 횡리브가 교차되는 상세부에서의 피로균열은 강바닥판 교량이 가지고 있는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이다. 이러한 피로균열의 발생원인은 횡리브의 면외거동에 의한 2차 응력으로부터 유발된다. 본 연구에서는 강바닥판 교량의 피로균열을 억제하고, 종리브-횡리브 교차연결부의 상세개선을 위해 3차원 실물모형체의 피로실험과 범용구조해석 프로그램인 LUSAS를 이용한 세부변수 해석을 병행하여 최적의 상세를 제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표준단면 형상에 곡선형 벌크헤드 플레이트를 부착한 상세가 가장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부 변수해석에 의한 개선 단면 적용시 발생되는 응력값이 최대의 경우 약 50%이상까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력의 감소와 함께 횡리브의 간격 증대(G=400)에 따른 4%의 강재량과 34%의 용접길이 감소로 제작원가 절감 및 피로에 유리한 강바닥판교의 제작이 가능하게 되었다.

LC-MS/MS를 이용한 돼지고기 중 총아플라톡신 및 오크라톡신 A 동시분석법 확립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Aflatoxins and Ochratoxin A in Pork by LC-MS/MS)

  • 백옥진;박송이;박기훈;김신희;서세정;윤혜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94-200
    • /
    • 2016
  • 돼지고기 중 5종의 곰팡이독소(아플라톡신 $B_1$, $B_2$, $G_1$, $G_2$ 및 오크라톡신 A)를 분석하기 위해 0.1% 개미산을 함유한 50% 아세토니트릴용액으로 추출한 후 고체상추출칼럼을 이용하여 정제하고, LC-MS/MS로 동시 정량할 수 있는 시험법을 마련하였다. 분석조건으로 측정한 5종의 곰팡이독소 matrix-matched 표준곡선식에서 모두 상관계수 0.998이상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5종의 곰팡이독소 2배의 정량한계에서 10배의 정량한계로 첨가한 시료에서 평균 회수율은 72.1~109.9%로 실험 결과들이 EU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유효성 확인을 위한 기준을 만족함으로써 시험법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충청지역 유통되고 있은 돼지고기 20건에 대한 총아플라톡신 및 오크라톡신A에 대한 오염도 조사결과 정량한계 미만으로 조사되었다.

개 자연발생 유선종양 2종의 세포주 확립 및 특성분석 (Establishment and Characterization of Canine Mammary Gland Cancer Cell Lines)

  • 이선태;권오경;김완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32-239
    • /
    • 2010
  • 개에서 자연발생한 유선종양으로부터 채취, 배양된 세포주 2개를 확립하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9세 령의 퍼그 종 개와 동일연령의 토이푸들 종의 개에 발생한 종양을 무균 상태를 유지하여 수술적으로 채취한 후 primary culture를 실시하였다. 두 종양의 조직병리검사에서는 각각 선암종과 혼합암종이 진단되었으며, 이후 두 마리 모두 전이로 인해 폐사하였다. 배양된 종양세포는 1년 이상의 기간 동안 60회 이상 계대를 반복하면서 형태학적으로 일관성을 유지하였고, 특성분석을 위해 광학현미경검사, 성장곡선 산출, 배가 시간 계산, 누드 마우스에 이종이식, 면역조직 화학검사를 실시하였다. 각 세포주는 다각형의 긴 세포형태를 보였으며, 세포질 연결을 형성하였으며, 배가 시간은 각각 47.1 시간과 18.6 시간이었다. 암컷 누드마우스의 등 부위에 피하이식 후 4주 이내에 10마리 중 9마리에서 촉진이 가능한 종괴의 형성이 확인되었으며, 면역조직화학검사 시 한 세포주에서는 keratin과 cytokeratin 8에서 다른 세포주에서는 smooth muscle actin과 cytokeratin 8에서 강한 염색성이 확인되었다. 두 세포주는 개의 유선종양의 시험관내, 체내 연구에 있어 모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효소면역측정법에 의한 국내산 된장과 고추장 중 Aflatoxin B1의 오염도 조사 (Survey of Aflatoxin B1 in Domestic Doenjang and Kochujang Determined by Enzyme Linked-Immunosorbent Assay)

  • 배수익;곽보연;박윤경;김영호;손동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95-100
    • /
    • 2003
  • 된장과 고추장에 대해 cdELISA에 의한 $AFB_1$의 분석방법을 확립하고 국내에서 생산되는 재래식 및 개량식 된장과 고추자을 수거하여 $AFB_1$의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표준곡선을 작성하였을 때, 이의 검출 한계는 0.2 ng/m(ppb)이었다. 된장의 Spike test 후 회수율은 1~100 ng/g 범위에서 평균 71.5%로 나타나 이 범위에서 cdELISA에 의한 $AFB_1$의 측정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이로부터 된장 및 고추장에서 cdELISA를 통한 $AFB_1$의 분석 방법을 확립하였다. 된장 및 고추장 시료의 $AFB_1$의 오염도는 총 30종의 고추장 시료에서는 $AFB_1$이 검출되지 않았고 총 30종의 된장 시료 중 6종에서 1.0~6.0 ng/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이는 우리 나라의 허용 기준인 10 ng/g(ppb) 이하였다.

물달개비(Monochoria vaginalis Presl.)의 지방수집종간(地方蒐集種間) 생리생태적(生理生態的) 특성(特性) (Studies on physio-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local collections of Monochoria vaginalis Presl.)

  • 박광호;김길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11
    • /
    • 1987
  • 우리 나라 논에 가장 널리 분포(分布)하며 우점도(優占度)가 높은 일년생(一年生) 광엽잡초(廣葉雜草)인 물달개비 종자(種子)를 3 지역(地域)(수원(水原) 전주(全州) 밀양(密陽))에서 수집(蒐集)하여 파종기(播種期)를 달리하여 재배(栽培)시켜 생육특성(生育特性)을 구명(究明)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물달개비의 초장(草長)은 25-34cm 내외로써 파종기(播種期)가 빠를수록 밀양(密陽)>전주(全州)>수원(水原) 수집종(蒐集種) 순(順)으로 길었고 파종기(播種期)가 늦을수록 짧았다. 건물중(乾物重)도 5월(月) 15일(日) 파종기(播種期)에서 가장 많았으며 초장(草長)과 같이 파종기(播種期)가 늦어질수록 적었다. 최고엽수(最高葉數)는 수집종(蒐集種)에 관계(關係)없이 5월(月)30일(日) 파종기(播種期)에서 가장 많았다. 건물중(建物重)으로 본 생장량(生長量) 증가(增加)는 완만한 S-곡선(曲線)을 나타냈으며 파종후(播種後) 75-90일(日)에 최고(最高)에 달(達)했다. 2. 물달개비의 개화기(開花期)는 5월(月)15일(日) 파종시(播種時) 8월(月) 2일(日)~9일(日)로써 개화소요일수(開花所要日數)는 75-85일(日)였으며 수원(水原)>전주(全州)>밀양(密陽) 수집종(蒐集種) 순(順)으로 빨랐으며 7월(月)15일(日) 파종시(播種時)는 9월(月)2일(日)-4일(日)로 개화(開花)에 48-50일(日) 소요(所要)되었다. 3. 수집종간(蒐集種間)의 수량생산력(收量生産力)을 보면 수집종간(蒐集種間)에 통계적(統計的)인 有의(有意)한 상관(相關)은 없었으나 수량구성요소별(收量構成要素別)로는 화경수(花莖數)와 삭과수(蒴果數)는 1%에서 삭과당(蒴果富) 종자수(種子數)는 5%에서 유의적(有意的)인 상관(相關)이 인정되었으며 파종기간(播種期間)에도 6월(月)15일(日)>6월(月)30일(日)>5월月)30일(日)>5월(月)15일(日)> 7 월(月)15일(日) 파종순(播種順)으로 종자량(種子量)이 많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