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종격동종양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17초

종격동 병변의 경흉 세침흡인 세포학적 진단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of the Mediastinal Lesions)

  • 박인애;함의근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3-50
    • /
    • 1990
  • 방사선 검사상 종격동 확장으로 나타나는 질환은 흉선종, 배아종, 신경원성 종양, 림프종 등의 원발성 종격동 종양 및 폐암의 림프절 전이 등으로 매우 다양하고 또 이들의 감별진단이 환자의 치료 방침을 정하는데 중요하나, 조직학적 진단을 하기 위해 외과적 생검을 하기에는 그 위험도가 높은 장기이므로 세침흡인 세포학적 생검이 아주 유용한 방법이 되고 있음에도, 그 세포병리학적 진단 기준은 아직 우리에게 친숙한 편이 아니다. 저자들은 1985년에서 1988년 3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 병리과에서 검색된 종격동 병변의 세침흡인 생검 16예를 세포병리학적으로 관찰하고 그 결과를 검토하여 보았다. 판독 적절한 검체가 흡인되었던 15예 중 흉선종이 7예, 배아종이 2예, 신경원성 종양이 2예, 림프종이 1예 폐암의 림프절 전이 3예가 세포학적으로 진단 되었다. 조직학적이나 다른 세포학적 방법으로 확진된 예와 본 연구의 세포학적 진단이 비교 가능하였던 9예중 7예에서 진단이 일치하였는데, 그 중 5예는 흉선종, 1예는 배아종이었고 1예는 전이성 암으로 진단 일치율은 77%였다. 조직학적 진단과 세포학적 진단이 상이하였던 예는 2예로 1예는 흉선종이 림프종으로, 1예는 첨폐가 신경원성 종양으로 오진되었다. 흉선종은 세포학적으로 특징적인 소견을 보여, 대개의 경우 진단에 별 어려움이 없었으나 림프종과 소형세포암이 감별을 요하는 진단이었다.

  • PDF

원발성 종격동 종양 및 낭종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Evaluation of the Primary Mediastinal Tumors and Cysts)

  • 이재덕;이계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7호
    • /
    • pp.763-768
    • /
    • 1996
  • 대전 을지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86년 1훨부터 1995년 4월까지 원발성 종격동종양 및 낭종으로진 단된 43명의 환자에 대해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남자환자가 19례, 여자환자가 24례였다 연령분포는 4세 부터 68세까지이고 평균연령은 31.3세였다. 가장 흔한 증상은 호흡곤란(48.8 %)이고, 그외 흉부불쾌감(39.5 %), 기침 (34.9 %), 흥통(23.3 %) 순이 었다. 가장 빈발한 종양의 위치는 전종격동이고, 후종격동, 중종격동 순이 었다. 병 리 학적으로 기형종이 가장 흔하고, 신경종, 낭종, 흉선종, 임파종 순이 었다. 가장 유용한 진단방법은 단순흉부X-선이고 최종진단은 단지 수술로써 내려졌다. 양성종양은 전례에서 완전절제 되 었고 악성종 양은 수술후 화학요법 및 방사선요법을 병용하였다. 수술후 합병증은 7례 (16.3 %)에서 있었고 술후 사망은 1 례도 없었다.

  • PDF

종격동 질환의 비디오 흉강경 수술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for Mediastinal Lesions)

  • 김연수;김광택;손호성;김일현;이인성;김형묵;김학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호
    • /
    • pp.40-45
    • /
    • 1998
  • 종격동은 기관, 식도, 심장 및 주요혈관 등 주장기와 조직으로 이루어진 곳으로 다양한 병변이 발생하며, 종격동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서 외과적 접근방법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해왔다. 최근 흉강경수술 개발은 종격동질환 진단 및 치료에서 새로운 효과적인 수기로 평가받고있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92년 3월부터 1997년 4월까지 종격동의 병변에 33명의 환자에서 비디오 흉강경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남자가 16명 여자가 17명이었으며 연령은 14세부터 69세였고 평균 42세였다. 대상이된 종격동 질환의 해부학적 위치는 전종격동 14례, 중종격동 5례, 후종격동 11례, 상종격동 3례였다. 종격동 질환은 신경초종 9례, 낭성기형종이 5례, 심막 낭종 4례, 신경절신경종 2례,흉선 2례, 흉선낭종 2례, 흉선종 1례, 식도평활근종 2례, 유피종 1례, 지방종 1례, 악성 림프종 1례, 기관지 원성 낭종 1례, 심막 삼출 1례, Boerhaave's병 1례였다. 수술중 작업 창이 필요했던 경우가 6례였다. 개흉수술로 전환한 경우는 6례(24%)로 종양이 커서 개흉수술 전환이 필요했던 경우가 1례, 심한유착으로 인한 개흉수술 전환이 3례, 흉강경으로 접근이 어려웠던 경우가 2례있었다. 평균 수술 시간은 116분($\pm$56분)이었다. 수술후 흉강 드레인 거치기간은 평균 4.7일이었다. 수술후 평균 입원일수는 8.7일이었다. 종격동 각부위의 종양 및 염증성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비디오 흉강경의 적용이 가능하였으며,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종격동 종양 절제술은 안전성, 수술후 통증경감 및 빠른회복 등의 장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종격동 종양과 낭종의 임상 경험 (Clinical Experience of Mediastinal Tumors and Cysts)

  • 최준영;옥창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7호
    • /
    • pp.708-712
    • /
    • 1997
  •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 교실에서는 1988년 4월부터 19%년 3월까지 47명의 원발성 종격동 종양 및 낭종 환자에 대하여 수술적 치험을 하였다. 환자들의 연령분포는 5세에서 67세로 평균연령은 36.4세였곡 남녀의 성비는 1:1.5였다. 임상증상은 홉통이(27.7%) 가장 많았고, 안검하수(14,9%), 전신쇠약(12.8%), 기침 (10.6%) 복시(10.6%) 등의 순이먼으며 증상이 없는 경우도 8례(17.0%) 있었다 종양의 위치는 전상부 종격동 이 63.8%로 가장 많았고· 술후 병리조직학적 진 단상으로는 흉선종(32.9%)이 가장 많았으며 낭종(21.3%), 신경 절 종잉(17.0%) 배아세포종(12.8%), 간엽종양(6.4%) 순의 빈도를 보였다. 수술시 양성종양 41례와, 악성종양 6 례중 3례는 완전절제가 가능하였으나 나머지 3례는 부분절제만이 가능했고 술후 6례 모두에서 화학요법 또 는 방사선요법을 시행하였다. 술후 합병증으로는 Homor 증후군, 유미흉, 상대정맥 파열, 그리고 횡격막 신경 마비 등이 각각 1례씩 발생하였으며 술후 사망례는 없었다.

  • PDF

흉강경적 후종격동 종양 절제 후 발생한 뇌공기증 - 1예 보고 - (Pneumocephalus after Thoracoscopic Excision of Posterior Mediastinal Mass -A case report-)

  • 이향림;박국양;박철현;전양빈;최창휴;이재익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12호
    • /
    • pp.878-881
    • /
    • 2007
  • 흉강경적 종격동 종양 절제 후 발생하는 뇌공기증은 매우 드문 합병증으로, 척수근 주위 경막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한 거미막하강-흉강 누공이 그 원인이다. 후종격동 종양으로 흉강경적 종양 절제술을 시행 받은 60세 환자가 수술 직후부터 지속적인 오심과 두통을 호소하여 시행한 뇌 전산화 단층 촬영에서 뇌공기증이 진단되었고, 보존적 치료로 호전되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원발성 종격동 종양 및 낭종의 진단과 치료 -단일 대학병원에서의 42년 보고- (Diagnosis and Treatment of Primary Mediastinal Tumors and Cysts - Forty-two years report in a University Hospital -)

  • 박무석;정경영;김길동;이홍렬;정재호;한창훈;문진욱;김영삼;신동환;김세규;김형중;장준;안철민;김성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6권1호
    • /
    • pp.29-39
    • /
    • 2004
  • 연구 배경 : 종격동 종양과 낭종은 최근 정기적인 건강 검진의 보급 및 진단 수기의 발달로 진단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장기간의 경과를 통한 우리나라에서의 특징적인 임상 양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에 입원하여 병리조직학적으로 확진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이전 25년 동안의 보고와 1985년 7월부터 2002년 6월까지 최근 17년 동안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 과 : 전체 종격동 종양 479예 중 흉선종이 183예(382%)로 가장 많았고, 종격동 구획에 따른 분포는 이전 보고와 유사하였다. 흉부 X-선 촬영상 우연히 발견된 경우가 174예(36.3%)로 이전의 보고(10.9%)보다 더 많았다. 악성 종양과의 감별을 위해 시행한 경피세침흡인생검의 전체 진단율은 68.6%이었고 악성 종양에서 80.9%로 진단율이 높았다. 전체 479예 중 수술적 절제를 시행한 환자는 405예(84.6%)이었고, 완전 절제율은 91.1%로 이전의 보고(78.8%)보다 더 높았다. 이전 보고와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한 42년 간의 결과는 총 662예 중 흉선종이 205예(31.0%)로 가장 많았다. 결 론 : 종격동 종양과 낭종은 최근 진단율과 완전절제를 통한 적극적인 치료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흉선종의 비율이 현저히 증가하여 이에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종격동 종양에 대한 경피세침흡인생검(중심침생검 포함)의 전체 진단율이 68.6%이고, 악성 종양에서 80.9%로 높아 수술적절제 전 악성 종양과의 감별을 위한 일차적인 진단법으로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종격동 이소성 갑상선조직 - 1예 보고 - (Mediastinal Heterotopic Thyroid Tissue - A case report -)

  • 이석열;한정욱;이승진;이철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4호
    • /
    • pp.537-539
    • /
    • 2009
  • 47세 여자 환자가 이전부터 있던 흉골상 절흔부에 종괴를 제거하기 위해 내원하였다. 흉부 CT에서 종괴는 상전종격동에 위치하고 있었다. 경부 절개 후에 종괴를 제거하였고 병리학적 검사상 종괴는 결절성 과형성(nodular hyperplasia)을 함유한 이소성 갑상선 조직으로 진단되었다. 저자들은 드문 종격동 이소성 값상선 조직을 치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상대정맥 전장을 포함한 종격동 해면상 혈관종 - 1 례 보고 - (Mediastinal Cavernous Hemangioma Involving Whole SVC -A case report-)

  • 허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8호
    • /
    • pp.626-629
    • /
    • 2002
  • 해면상 혈관종은 종격동에 발생한 혈관종중 가장 많은 형태로 주로 전종격동에 발생하고 그 빈도가 매우 드물다. 환자는 13세된 여아로 우연히 발견된 종격동 종괴로 수술적 절제를 하여 해면상 혈관종으로 판명되었다. 술후 추적한 x-ray 검사상 재발의 소견이 없으며 수술적치료시 너무 광범위한 무리한 박리와 절제는 필요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절제된 비소세포암에서 FDG 섭취비와 Glut-1 발현 정도를 이용한 종격동 림프선 전이 여부 예측 (The Ability of FDG Uptake Ratio and Glut-1 Expression to Predict Mediastinal Lymph Node Metastasis in Resected Non-small Cell Lung Cancer)

  • 조석기;이응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5호
    • /
    • pp.506-512
    • /
    • 2010
  • 배경: 이 연구는 비소세포암 환자에서 종격동 임파선 전이 여부를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 PET/CT에서 종격동 임파선과 폐종괴의 FDG 섭취비와 폐종괴의 Glut-1 발현 정도를 이용하여 분석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PET/CT에서 폐종괴와 종격동 임파선에서 측정할 수 있는 정도의 FDG섭취가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FDG 섭취비는 종격동 임파선의 섭취를 폐종괴의 섭취로 나누어 구하였다. 폐종괴의 Glut-1 발현은 발현 면적으로 나타내었다. 결과: 폐종괴와 종격동 임파선의 mSUV값은 악성군에서 각각 $7.4{\pm}2.2$$4.2{\pm}2.2$, 양성군에서 각각 $7.6{\pm}3.7$$2.8{\pm}6.9$였다. FDG의 섭취비는 악성군과 양성군에서 각각 $0.58{\pm}0.23$$0.45{\pm}0.20$ (p<0.05)였다. FDG 섭취비와 Glut-1 발현 정도를 결합한 모델 중에서 {p/(1-p)}=ratio+glut+ratio${\times}$glut의 식으로 표시된 모델이 FDG 섭취비만을 이용한 모델 보다 정확히 종격동 임파선의 악성 정도를 예측할 수 있었다. 결론: 염증성 폐질환의 병력이 있는 일부 폐암 환자에서 Glut-1 발현 정도를 고려한 FDG 섭취비를 분석한 모델은 종격동 임파선의 악성 정도를 정확히 진단할 수 있다.

종격동에 발생한 림프혈관종 -1예 보고- (Lymphangiohemangioma of the Mediastinum -A case report-)

  • 송승환;이충원;김영규;이창훈;이민기;정연주;김영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5호
    • /
    • pp.423-425
    • /
    • 2006
  • 종격동에 발생한 림프혈관종은 아주 드문 질환으로 수술 전 컴퓨터 단층촬영과 자기공명 혈관촬영상 흉선 기원 종양으로 오인된 환자의 수술 소견상 무명정맥에서 기인하는 혈관조직의 증식을 보였다. 병리검사상 림프조직과 혈관조직을 모두를 보여 림프혈관종으로 진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