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직화학적영상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6초

RGB 항공영상을 이용한 합류부 전단층 특징 추출법 (Confluence shear layer feature extraction method using RGB aerial imagery)

  • 노효섭;박용성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277-277
    • /
    • 2021
  • 합류부는 인공수로 또는 자연하천에서 흔히 존재하며 매우 복잡한 흐름 구조가 발생하는 곳이다. 특히 본류와 지류의 유속장의 차이에 따라 발생하는 전단층은 흐름과 물질이 혼합되는 경계면이 되며, 흐름 구조가 전단층을 따라 발달한다는 특징으로 인해 수리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최근 원격탐사 기법의 발전에 따라 위성이나 드론과 같은 무인 이동체를 이용한 하천 계측법이 수질 및 지형변화 연구들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 중 RGB 항공영상은 해상도가 높고 취득 비용이 저렴하여 확장성 및 활용도가 높다. 본 연구에서는 합류부 전단층이 촬영된 RGB 항공 영상을 이용해 합류부 전단층 분석에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되는 방법은 RGB 항공 영상에서 본류와 지류의 수체 영역을 각각 추출하기 위해 가우시안 혼합 모형(Gaussian mixture model)을 이용한다. 추출된 수체 영역에는 자기조직화지도(self-organizing map)을 적용하고 좌표 변환을 하여 정량적인 특징을 추출한다. 본 연구에서는 알고리듬의 적용 예로서 구글어스를 통해 확보된 낙동강-남강 합류부의 항공 영상을 분석한다. 본 추출법을 이용하면 접촉식 센서를 이용하는 기존의 전단층 계측 방법들에 비해 경제적이고 안전하며 합류부 흐름의 평면적 분석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개에서 발생한 뇌실막종 증례; 컴퓨터 단층영상, 조직병리학적 그리고 면역조직화학적 소견 (A Case of Ependymoma in a Dog; Computed Tomography, Histopath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Findings)

  • 이희천;김나현;조규완;정해원;문종현;김지현;서정향;정동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7-120
    • /
    • 2014
  • 11살의 암컷 말티즈견이 1주일간의 군집성 발작을 주증상으로 내원하였다. 뇌 컴퓨터 단층영상 결과를 기초로 뇌종양이 강하게 의심되었다. 보호자의 요청에 따라 환자의 안락사를 실시하고 부검이 진행되었다. 부검 상 뇌의 가로단면의 육안적인 소견은, 붉은색의 종양덩어리가 비교적 잘 구분되어있었고 왼쪽 외측 뇌실에 위치해 있었으며 주변 조직들이 압박되어 있었다. 종양덩어리는 2가지의 독특한 조직병리학적인 소견을 보였다: 혈관주위 거짓로제트 양상의 구조와 원섬유 세포의 소용돌이 구조. 면역조직화학적 검사에서 GFAP에 대한 강한 양성, S-100에 대한 중등도의 양성, Ki-67에 대한 드문드문한 점상 염색성이 확인되었다. 조직병리학적 및 면역조직화학적 소견을 기초로 이 환자는 뇌실막종으로 진단되었다.

흰쥐 정소의 방사선 조사에 따른 정자변화의 영상처리에 의한 정량분석 (The quantitative analysis by the image processing of sperm changes according to the radiation irradiation of white rat testicle)

  • 나수경;김성인;이언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6호
    • /
    • pp.433-438
    • /
    • 2014
  • 본 연구는 흰쥐의 정소에 방사선을 조사하였을 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나타나는 정소세포 및 정자의 변화를 현미경학적으로 얻은 영상을 기초로 영상처리에 의한 정량분석을 통하여 정자의 변화에 대한 결과를 정량화함으로써 더 정확하고 객관적인 결과를 얻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에는 8주 수령의 흰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6 MV의 X선을 1회 2 Gy를 전신 조사하였다. 총 30 마리의 흰쥐를 대상으로 방사선을 조사하지 않은 정상대조군과 실험군을 조사 즉시, 조사 2시간, 4시간, 8시간, 24시간 후에 각 실험군 마다 5마리의 정소를 각각 적출하였다. 적출 후 Periodic acid Schiff 염색을 시행하여 정상대조군과 실험군에서의 정소세포와 정자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방사선조사 후 24시간까지, 정소세포수와 정자수가 점차 감소하는 것을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RGB 항공 영상을 이용한 하천 합류부 전단층 추출법 (Identification of shear layer at river confluence using (RGB) aerial imagery)

  • 노효섭;박용성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8호
    • /
    • pp.553-566
    • /
    • 2021
  • 하천 합류부는 두 개의 수체가 만나 전단층을 이루고 전단층을 따라 강한 혼합양상을 보이는 특징이 있다. 자연하천에서 합류하는 대비되는 두 하천의 색은 전단층을 따라 구분될 수 있는데, 이는 위성 또는 무인항공체를 이용해 촬영된 항공영상을 통해 쉽게 관측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취득 비용이 저렴한 RGB 항공 영상을 이용해 합류부에서 발생하는 전단층을 추출하고 전단층 주변의 기하학적 특성을 정량적으로 산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방법은 네 단계로 구분된다. 첫 번째로, 합류부 흐름에서 전단층 추출을 위해 가우시안 혼합 모형을 바탕으로 한 영상 분할을 수행하여 본류와 지류가 포함된 픽셀을 추출해낸다. 다음으로 추출된 하천 수역에 자기조직화지도를 적용해 하천의유선을 1차원 곡선으로 단순화한다. 추출된 수체 영역과 1차원 곡선들을 이용해 본류와 지류의 수역을 이미지상 직교좌표계에서 곡선좌표계로 투영한 뒤, 마지막으로 전단층의 기하학적 특성을 산정한다. 결과적으로 개발된 전단층 추출법을 경상남도의 낙동강과 남강의 합류부가 촬영된 위성 영상에 적용하여 자연하천 합류부의 기하학적 특성인 합류각, 합류하는 두 하천의 상하류 하천 폭, 전단층의 길이, 그리고 전단층의 최대 두께를 각각 정량적으로 추출하는 데에 성공하였다.

미각자극에 따른 감각 및 감성적 미각정보 처리과정의 기능적 매핑 비교 (Comparisons of functional brain mappings in sensory and affective aspects following taste stimulation)

  • 이경희
    • 감성과학
    • /
    • 제15권4호
    • /
    • pp.585-592
    • /
    • 2012
  • 음식물 섭취는 영양상태의 유지와 생존을 위해 필요하며, 미각은 가장 기본적인 감각 중의 하나이다. 맛을 느끼는 미각세포는 다섯 가지 기본 맛(단맛, 쓴맛, 짠맛, 신맛, 감칠맛)에 대해 반응한다. 그러나 뇌에서 맛감각의 처리과정과 미각피질의 조직화된 원리에 대한 이해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최근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 뇌자도(MEG), 광영상(optical imaging)을 이용하여 미각 자극에 대한 뇌의 반응들을 영상화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뇌 활성 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 이들 뇌 영상 기법들은 서로 직접적인 비교 데이터를 제공하지는 못하지만, 이러한 기법들은 상호 보완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기법들을 이용한 데이터들의 상호비교는 미각 자극에 대해 반응하는 뇌의 시간-공간적인 활성 패턴 변화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본 연구는 감각 및 감성적 측면에서의 미각 자극에 따른 뇌의 정보처리에 있어서 미각영역의 활성화에 관한 영상매핑에 대해 최근까지 밝혀진 결과들과 연구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미각 자극에 따른 뇌의 영상 변화를 관찰하여 구조해부학적 지도를 만드는 것은 매우 복잡한 미각의 신경회로망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원발성 위암 환자의 치료 전 PET/CT 스캔에서 FDG 섭취 정도와 임상병리학적 및 면역조직화학적 지표들과의 비교 (Comparison between FDG Uptake and Clinicopathologic and Immunohistochemical Parameters in Pre-operative PET/CT Scan of Primary Gastric Carcinoma)

  • 한은지;최우희;정용안;김기준;맹이소;손경명;정현석;손형선;정수교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3권1호
    • /
    • pp.26-34
    • /
    • 2009
  • 목적: 원발성 위암 환자의 PET/CT 스캔에서 FDG 섭취에 영향을 주는 임상병리학적 및 면역조직화학적 지표들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 내원하여 수술 전 FDG PET/CT 스캔을 시행한 89명의 위암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PET/CT 영상에서 원발 종양의 SUVmax를 구한 후 침범 깊이(T기),종양 크기, 림프절전이, 종양 분화, Lauren의 분류, Ki-67 지수, p53, EGFR, Cathepsin D, c-erb-B2. COX-2의 발현과 같은 임상병리학적 및 면역조직화학적 지표들과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89예의 위암 중 19예에서는 PET/CT 영상에서 인지 가능한 FDG 섭취가 없었는데, 이 19예 중 16예는 원발 종양의 침범 깊이가 점막하 이내에 국한된 경우였다. 위암의 FDG섭취 정도는 T기가 T2 이상일 때가 T1일 때보다 유의하게 높았고($5.8{\pm}3.1$ vs. $3.7{\pm}2.1$, p=0.002), 위암의 크기가 3 cm 이상일 경우가 3 cm 미만일 경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5.7{\pm}3.2$ vs. $3.7{\pm}2.0$, p=0.002) Lauren의 분류에 따른 장형 위암에서 장형이 아닐 때보다 높은 SUVmax를 보였다($5.4{\pm}2.8$ vs. $3.7{\pm}1.3$, p=0.003). 원발 종양의 SUVmax는 p53 양성인 경우가 음성인 경우보다 의미 있게 높았다($6.0{\pm}2.8$ vs. $4.4{\pm}3.0$, p=0.035). 그 외 림프절 전이 유무, 종양 분화, Ki-67 지수, EGFR, Cathepsin D, c-erb-B2 그리고 COX-2 같은 다른 지표들은 원발성 위암의 SUVmax와 의미 있는 상관 관계가 없었다. 결론: 원발성 위암의 침범 깊이(T기)는 FDG PET/CT 스캔에서의 위암 발견율에 영향을 주었다. 위암이 PET/CT스캔에서 인지 가능한 FDG 섭취를 보일 경우 T기, 종양의 크기, Lauren의 분류에 따른 조직형, 그리고 p53의 발현 정도는 원발성 위암의 FDG 섭취와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

좌측 주기관기시부의 사구종양 1례 (Glomus Tumor in Left Main Bronchus -A Case Report-)

  • 양기완;나국주;안병희;김상형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호
    • /
    • pp.35-38
    • /
    • 2003
  • 사구종양은 구조적 및 면역조직화학적으로 평활근의 특징을 가진 사구세포에서 발생한 드문 질환이다, 폐및 기관부에 발생한 사구 종양은 매우 드물고 몇례만이 보고되고 있다. 16세의 여자환자가 기침, 가래, 발열, 호흡곤란으로 검사위해 입원하였다. 영상검사상 좌측 주기관부의 돌출형 종괴가 발견되었고, 좌측 개흉술하에 종양절제술 시행하였다. 저자들은 주기관지에 발생한 사구종양 1례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HVS와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킹 (Digital Watermarking using HVS and Neural Network)

  • 이영희;이문희;차의영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01-109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DCT 도메인에서 영상의 블록에 대한 분류에 따라 다른 블록들에 삽입될 워터마크의 강도를 적용적으로 조절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하기 위해 인간 시각 시스템(HVS)과 선경회로망 중 SOM(Self-Organizing Map)을 이용한 적용적 디지털 이미지 워터마킹을 제안한다. 인간 시각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블록의 특정벡터를 찾아낸다. 블록의 특정벡터를 입력으로 SOM에 의해 블록들은 4등급으로 분류된다. 이들 중 3개의 등급에 속하는 블록을 선택하여 DCT 계수들 중 DC성분을 제외한 저주파 성분을 가지는 6개의 계수들을 선택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한다. 실험을 통해 새로 제안된 알고리즘은 좋은 화질을 얻을 수 얻을 수 있었고 JPEG 압축, 영상처리, 기하학적 변환과 잡음과 같은 공격에 아주 강인하였다.

  • PDF

원발성 대장-결장암 환자의 치료 전 PET/CT 스캔에서 FDG 섭취 정도와 병리학적 및 면역조직화학적 지표들과의 비교 (Comparison between FDG Uptake and Pathologic or Immunohistochemical Parametersin Pre-operative PET/CT Scan of Patient with Primary Colorectal Cancer)

  • 나세정;정용안;맹이소;김기준;손경명;김성훈;손형선;정수교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3권6호
    • /
    • pp.557-564
    • /
    • 2009
  • 목적: CRC 환자의 PET/CT 스캔에서 FDG 섭취에 영향을 주는 임상병리학적 및 면역조직화학적 지표들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 내원하여 치료 전 F-18 FDG PET/CT 스캔을 시행한 147명의 CRC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PET/CT 영상에서 원발 종양의 SUVmax를 구한 후 종양의 위치, 크기, 침습 정도(T 병기), 종양 성장 패턴, 림프절 전이 여부, Dukes-Astler & Coller 병기, 분화도, EGFR, MLH1, MSH2 발현 유무 그리고 Ki-67 표지율과 같은 임상병리학적 및 면역조직화학적 지표들과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CRC 환자 147명의 치료 전 PET/CT 스캔 중 146명의 스캔에서 인지 가능한 FDG 섭취가 확인되었다. FDG 섭취는 종양의 크기와 약한 양적 선형 관계를 보였다(r=0.277, p=0.001). 원발 종양 조직에서 Ki-67 표지율이 50% 이상인 그룹에서의 SUVmax는 50% 미만인 그룹에서의 SUVmax 보다 의미있게 높았고(7.62.8 vs. 11.65.8, p=0.002), Ki-67 표지율 정도와 FDG 섭취 간에 약한 양적 선형 관계를 보였다(r=0.226, p=0.019). 그 외 종양의 위치, 침습 정도(T 병기), 종양 성장 패턴, 림프절 전이 여부, Dukes-Astler & Coller 병기, 분화도, EGFR, MLH1, MSH2 발현 유무에 따른 CRC의 SUVmax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CRC에서 F-18 FDG의 섭취 정도는 종양의 크기, Ki-67 표지율과 연관성이 있어 종양의 거시적 그리고 미시적 성장에 따라 FDG 섭취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갑상선 미세 유두암종에서 Galectin-3, Cytokeratin 19와 HBME-1의 발현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of Galectin-3, Cytokeratin 19 and HBME-1 in Papillary Microcarcinoma of the Thyroid Gland)

  • 김진환;이상숙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3-137
    • /
    • 2007
  • 갑상선 미세유두암종은 영상 기술의 발달로 더욱 그 빈도가 높아질 것이 예상되므로 진단의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갑상선 미세 유두암종으로 진단 받은 37예를 대상으로 galectin-3, cytokeratin 19와 HBME-1 분자 표지자들을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한 결과 cytokeratin 19에서 1예를 제외하고 모든 예에서 갑상선 종양 세포에서 발현하였다. Galectin-3는 갑상선 종양 세포의 세포질에 강하게 염색되었으며 cytokeratin 19는 세포질과 세포막을 따라 강하게 염색되었다. HBME-1은 종양 세포의 세포막에 강하게 염색되었으나 3가지 분자 표지자 모두 정상 갑상선 조직에서는 염색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galectin-3, cytokeratin 19와 HBME-1은 병리조직학적 소견과 함께 갑상선 미세 유두암종을 진단함에 있어 보조적 도움이 되는 표지자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