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직소통

검색결과 405건 처리시간 0.022초

병원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 의사소통 유형, 조직몰입간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Communication Competence, Communication Typ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ospital Nurses)

  • 이현숙;김종경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88-496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plore the relationship in hospital nurses' of communication competence, communication typ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programs to improve internal communication and to promote nurses' commitment to their organizations. Methods: The participants included 316 nurses who worked in two general hospitals. The tool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GICC) and Communication Satisfaction Questionnaire by Downs & Hazen (1981), revised by Seo (2002) and Mowday's tool (1979)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PC+12.0. Results: The mean score for communication competence was 3.46, and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3.19. For communication types, the mean score for formal communication was 3.18 and informal communication, 2.59. Communication competence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formal communication (r=.32) and with informal communication (r=.16).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formal communication (r=.53), communication competence (r=.30), and informal communication (r=.27).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e necessity of developing programs to promote nurse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also developing a system that will enrich active communication. Systematic and continuous training in communication is also highly recommended.

공식적 의사소통과 종업원의 안전참여 및 안전순응이 산업재해빈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Employee Safety Participation and Safety Compliance on Frequency of Industrial Accidents)

  • 이정승;김재규;김수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558-564
    • /
    • 2019
  • 본 연구는 충청도와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직원 220명을 대상으로 조직의 안전에 대한 공식적 의사소통이 직원의 안전 준수 및 안전 참여, 산업재해 빈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연구에서 제안된 가설이 모두 채택되었다. 즉, 안전에 대한 조직의 공식적인 의사소통으로 인해 직원들이 안전규칙을 더 준수하고 안전 활동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궁극적으로 산업재해빈도를 낮아질 수 있었다.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 간호활동 영향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Patient Safety Care Activity among Nurses in Small-Medium Sized General Hospitals)

  • 배한주;김지은;배영희;김혜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118-127
    • /
    • 2019
  •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조직 의사소통이 환자안전 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환자안전 간호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보건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K시에 위치한 200병상 이상의 중소병원 3곳에서 6개월 이상의 재직기간을 가진 간호사 210명을 편의추출 하였고, 2019년 2월 8일부터 1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202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은 $3.60{\pm}.49$, 환자안전문화 인식은 $3.39{\pm}.41$, 조직 의사소통은 $3.29{\pm}.45$, 환자안전 간호활동은 $4.08{\pm}.50$이였고 환자안전 간호활동은 환자안전 중요성 인식(r=.597, p<.001), 환자안전문화 인식(r=.626, p<.001) 및 조직 의사소통(r=.559, p<.001)간에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안전 간호활동에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beta}=.258$, p<.001), 환자안전 문화인식(${\beta}=.323$, p=<.001), 조직 의사소통(${\beta}=.160$, p=.044)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F=53.067, p<.001), 이들 간의 설명력은 43.7%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 간호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병원 규모별 구체적 특성을 고려한 간호사들의 안전관리 자신감 증진, 비처벌적 환경 조성과 조직의 적극적인 의사소통 형성을 위한 환자안전 간호활동 증진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그룹프로젝트관리 지원을 위한 웹기반 정보보고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Information Reporting System for Group Project Management)

  • 김명옥;박은별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45-263
    • /
    • 2010
  • 최근 국내 대기업들은 세분화된 팀조직을 그룹조직으로 확대 운영함으로서 프로젝트업무의 유동성과 조직 인력활용의 유연성을 가져왔지만 프로젝트를 추진함에 있어 의사소통체계가 복잡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대부분 대기업들이 사용하는 전사적 자원관리시스템은 정보배포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그룹 내 프로젝트관리 의사소통의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제조건설 분야 대기업에 적용할 수 있는 그룹프로젝트관리 지원을 위한 웹 기반 정보보고시스템(WIRS : Webbased Information Reporting System)을 설계하고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WIRS 구현을 통해 대규모 프로젝트의 시작에서부터 종료까지 소그룹 내 신속하고 원활한 의사소통 지원이 가능하게 되었고 전사적자원관리시스템의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보완할 수 있게 된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구체적으로 WIRS의 기능 설정하기 위해 현장 요구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고 WIRS 프로세스 모델 설정을 위한 분석 및 기획을 수행하였다. 결과물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은 대체로 긍정적이었으며, 특히 프로젝트 진행 관련 웹상에서 보고가 이루어진다는 점, 일일메모를 통하여 주간 보고서와 월간보고서가 자동적으로 생성된다는 점, 지시생성 및 일정정보공유기능 등을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전자자료교환시스템의 구축과 조직의 성과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truction of EDI system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 진영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4권4호
    • /
    • pp.209-217
    • /
    • 1999
  • 1980년대 후반부터 전자자료교환시스템이 본격적으로 활용되기 시작되면서 이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전자자료교환시스템의 구축이 조직의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검증하고 있다. 전자자료교환시스템의 사용이 조직의 경쟁적 잇점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예측결과도 있지만 전자자료교환시스템의 성공적 구축이 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극소수의 연구만이 사례연구를 통해서 조직의 성과에 대한 전자자료교환시스템의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전자자료교환시스템의 성공적 구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이며 조직의 성과에 전자자료교환시스템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전자자료교환시스템, 의사소통. 신뢰 등으로 하여 가설을 설정하고 있다. 또한 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자자료교환시스템의 비중은 통제변수로서 활용하고 있다. 연구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사용된 자료는 서울 및 경인지역에 위치한 백화점을 대상으로 하여 우편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결과, 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전자자료교환시스템의 구축 그리고 의사소통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통제변수로 활용하고 있는 전자자료교환시스템의 비중은 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의 효과성 -정서적 몰입 및 이직의도를 중심으로- (How perceived communication satisfaction can affect turnover intention through affective commitment)

  • 송민영;이중학;박재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0호
    • /
    • pp.149-158
    • /
    • 2019
  • 조직 내의 세대, 인종, 성별이 다양해짐에 따라 갈등이 첨예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를 해결 하기 위해서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한데,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은 조직 내 긍정적 행동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부정적 행동을 감소시켜준다. 본 연구는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의 만족이 조직에 대한 정서적인 몰입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그리고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 등을 일반 행정업무, 영업, 품질, 연구 등의 직무를 수행하는 보건의료업 종사자 267명을 대상으로 실증했다. 주요 시사점으로 조직 내 소통을 통해서 구성원들의 조직에 대한 태도가 결정된다는 것을 보여줬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최근과 같이 다양성이 증가하고 있는 시대에 조직 내 소통을 통해서 조직에 대한 몰입과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다는 점을 밝혀냈다는데 실무적 기여점이 있다. 향후의 추가연구에서는 세대, 인종 및 성별 등의 다양성 요소에 따라서 그 효과성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스타트업 팀워크와 성과: 과업 갈등과 관계 갈등의 영향을 중심으로 (Startup Teamwork and Performance Research: the Impact of Task Conflict and Relationship Conflict)

  • 박준기;이혜정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2호
    • /
    • pp.101-111
    • /
    • 2016
  • 스타트업은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소수의 전문가들이 모여서 한정된 자원을 이용하여 창의석인 성과를 달성하는 소규모 조직이다. 실제 스타트업 환경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갈등을 과업 갈등과 관계 갈등으로 구분하고, 팀워크에 미치는 영향을 긍정과 부정으로 나누어 연구 모형을 설계하였다. 팀워크의 요소로는 의사소통, 협업, 업무조정과 응집력을 설정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스타트업 팀의 성과에 미치는 개별 구성요소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스타트업 팀 142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PLS를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구조모형 검증 결과, 과업 갈등은 팀워크에 긍정적인 영향을, 관계 갈등은 팀워크의 일부 요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팀워크 중 의사소통을 제외한 협업, 업무조정, 응집력은 팀의 성과를 높이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스타트업 조직의 리더 또는 관리자와 구성원을 위한 조직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 이론적 기여점을 서술하였다.

  • PDF

사회복지사 개인간 갈등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 김교정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사회복지학회 2004년도 추계공동학술대회 자료집
    • /
    • pp.223-250
    • /
    • 2004
  • 본 연구는 사회복지 조직 중 부산 지역사회복지관이라는 조직 내에서 사회복지사들의 개인간 갈등수준이 어느 정도로 지각되는지를 규명하고 이에 대한 영향요인들을 조사하여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조직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갈등의 상호주의적 관점에서 갈등수준이 지나치게 높거나 낮을 경우 조직의 유효성이 역기능적이라고 하였으나 지역사회복지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들의 개인간 갈등수준 정도는 비교적 낮은 수준이었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하고 갈등요인들이 갈등수준에 대해 미치는 영향력은 의사소통 요인, 리더십 요인중에서 리더의 유인성, 퍼스낼리티중 자발성, 자신감의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기업 및 산업 조직과 같은 기술 관료적인 조직의 경우와는 틀리게 사회복지조직을 포함하는 휴먼서비스 조직의 경우는 조직의 원료가 도덕적 가치를 부여받은 인간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술 관료적인 패러다임이 그대로 적용되지 않음을 갈등관리전략의 전제로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지역사회복지관 내에서 개인간 갈등의 수준을 낮추기 위해서는 동료간 의사소통이나 합리적인 문제해결방법의 습득 린 건전한 인간관계 형성을 위한 교육, 훈련의 기회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효과적인 수퍼비전과 상담(상사와의 상담, 또래 동료와의 상담)을 제공뿐만 아니라 전문가로서의 자신감과 긍지를 지니고 일을 할 수 있도록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재충전할 수 있는 전문적 교육프로 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 PDF

부서장의 리더십이 부서원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head of department leadership on the performance of department head)

  • 강병섭;유동윤;임상호
    • 산업진흥연구
    • /
    • 제2권1호
    • /
    • pp.57-62
    • /
    • 2017
  • 본 연구는 부서장의 리더십이 부서원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전. 충남지역 직장인을 대상으로 201년 9월 22일부터 10월 13일까지 설문지를 배포하여 최종 72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서장의 리더십이 부서원의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표달성도에는 의사소통능력(p<.001, ${\beta}=.613$)이, 업무효율성은 의사소통능력(p<.01, ${\beta}=2.70$)과 솔선수범(p<.05, ${\beta}=2.454$)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다. 둘째, 부서장의 의사소통 능력이 부서원의 업무효율성이 p<.01 유의수준에서 유의하게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서장의 의사소통능력과 솔선수범이 부서원의 성과로 높게 인식하는 양(+)의 상관관계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부서장의 리더십이 부서원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개인 조직 환경적 요인의 중요도를 파악하고 근로자의 개별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