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직병리검사

검색결과 683건 처리시간 0.03초

SD 랫드에서 혹명나방 저항성 유전자 변형 낙동벼의 13주 경구 반복투여 독성에 관한 연구 (Thirteen-Week Repeated Oral Toxicity Study of Leaf Folder (Cnaphalocrocis medinalis) Resistant Rice (Nakdongbyeb) in Sparague-Dawely Rats)

  • 서동석;권민;성하정;박철범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4-113
    • /
    • 2011
  • 본 연구는 혹명나방 저항성 유전자 변형 낙동벼(GMO)의 식품으로서의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13주 경구 반복투여 독성시험을 수행하였다. SD 랫드를 0, 5, 20%의 유전자 변형 낙동벼와 20% 낙동벼(Non-GMO)를 투여군으로 분리하여 13주간 투여한 후 체중, 사료섭취량, 요, 혈액 및 혈액생화학, 부검 및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수행하였다. 시험종료시까지 모든 동물은 생존하였으며, GMO 벼의 투여와 관련된 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혹명나방 저항성 유전자 변형 낙동벼의 무독성량은 10,000 mg/kg/day 이상일 것으로 판단되며, 13주 경구 반복투여 독성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저 및 표준단백식이로 성장시킨 흰쥐에 Toluene 투여가 간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Toluene Administration on the Liver Damage in Rats Fed Low or Standard Protein Diet)

  • 윤종국;김경순;임영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981-985
    • /
    • 1996
  • 식이성 단백질 함량이 toluene에 의한 간 손상에 어떠한 영 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할 목적으로 흰쥐를 저 단백식이 (casein 7%, LP) 및 고단백식이 (casein 20%, SP)로 성장시킨 후 체중 100g당 toluene과 olive oil의 동량흔액 0.2ml를 1일 1회 4번 투여한 다음 24시간 후 처치하였다. 체중 100g당 간무게는 SP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약 28%, LP군은 약 17%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혈청 xanthine oxidase(XO)활성은 SP군에서는 약 35%의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LP군에서도 증가되었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한편 toluene투여로 인한 간 glycogen, glutathione(GSH) 함량 감소율에 있어서는 SP군이 LP군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간세포의 대조군에 대한 cytosol, mitochondria 단백함량 감소율 역시 SP군이 LP군 보다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병리조직검사 소견에서는 SP군에서 swelling 정도가 LP군에 비하여 심화되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 PDF

횡격흉막에서 발생한 고립성 섬유성 종양 (Solitary Fibrous Tumor of the Diaphragmatic Pleura)

  • 이철범;임현수;지행옥;박충기;박용욱;김혁;정원상;김영학;강정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7호
    • /
    • pp.568-572
    • /
    • 2002
  • 우리는 단순 흉부 방사선 촬영에서 우연히 발견한 47세 여자의 횡격흉막에서 발생한 양성 고립성 섬유성 종양 1례를 보고한다. 단순 흉부 방사선 촬영, 복부 초음파 검사, 전산화 단층 촬영과 자기공명영상으로 주변과 경계가 분명한 다엽성의 흉막 섬유성 종양으로 진단하였다. 우측 개흉 수술시 종괴는 대부분 유착이 없었으나 $5{\times}4$cm 정도의 횡격막 중앙부와 유경으로 붙어 있었다. 붙어 있는 횡격막과 함께 종괴를 완전히 절제하였다. 종양은 $23.5{\times}13.5{\times}8.0$cm 크기였으며, 병리조직학 진단은 양성 섬유성 종양이었고 함께 절제된 횡격막에는 종양세포가 없었다.

후복막강내 기관지 낭종 - 1예 보고 - (Retroperitoneal Bronchogenic Cyst -A case report-)

  • 신경욱;강정호;정원상;김혁;김영학;전석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2호
    • /
    • pp.221-223
    • /
    • 2010
  • 기관지성 낭종은 일반적으로 폐실질 내 혹은 종격동 내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격동 내에 위치하는 경우 기관지와 식도 부근에 위치하나 후복막강에 위치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수술 전에 기관지성 낭종과 양성 낭종을 구분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저자들은 수술 전 양성 신경종으로 진단후 좌측 개흉술을 통해 절제된 후복막강의 종괴가 병리조직검사 결과 기관지성 낭종으로 밝혀져 보고하는 바이다.

세침흡인 검사물을 이용한 유방암세포 에스트로젠수용체 분석 : 동결절편조직과의 비교 (Estrogen Receptor Analysis in Fine Needle Aspirates and Frozen Sections from Human Breast Carcinomas)

  • 공경엽;안세현;박건춘;최기영;유은실;이인철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0-14
    • /
    • 1994
  • The expression of sex steroid hormone receptors by neoplastic cells is an important predictor of response to hormone therapy. Thus, the selection of treatment modality is often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receptors in tumor tissue. Various monoclonal antibodies of high specificity are now available for analyzing the estrogen receptor (ER). With these antibodies, biochemical enzyme immunoassay and immunohistochemistry using histologic sections have been used for ER analysis. We used fine needle aspirates from 15 human primary breast carinomas for the analysis of ERs. The semiquantitative receptor values obtained in cytologic specimens were correlated well with those from histologic specimens. The results of ER in fine needle aspirates were concordant with ER in histologic specimens(r=0.94). Only three cases showed a little difference in staining intensity and proportion of positive cells. Our results showed a good correlation between the receptor values determined in cytologic smears and those determined in tissue sections. It is suggested that measurement of the ER in cytologic smears may be a reliable technique which can be performed on aspiration cytologic samples.

  • PDF

푸들에서 발생한 melanotrichia: 임상적 그리고 조직병리학적 특징 (Melanotrichia in Poodles : Clinical and Histopathological Findings)

  • 김하정;박철;정동인;김주원;강병택;임채영;서정향;김춘근;박희명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53-156
    • /
    • 2005
  • 5살과 2살의 푸들 견이 미용 직후, 등 부위의 털의 변색과 전신적 탈모증세로 건국대학교 부속 동물 병원에 내원하였다 병변 부위에서는 육안적으로 약간의 피부 발적과 소농포가 발견되었지만 총 혈구 계산, 혈액 화학 검사에서는 특이한 소견이 발견되지 않았다. 아울러 최근 약물투여 병력도 없었다. 병변부의 trichogram에서는 모근 쪽과 모간에 멜라닌 과립이 착색되어 있었고, 병변 이외의 부위에서는 멜라닌 착색이 관찰되지 않았다. 그리고 병변부 피부 생검에서는 약한 부전 각화증이 관찰되었으며 아주 미약한 진피층의 호중구 침윤이 관찰되었다. 본 케이스에서는 melanotrichia가 미용 직후에 피부에 가해지는 각종 자극에 의해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미용 후 멜라닌 신생의 정도와 델라닌 세포의 증식 기전은 본 증례로서는 현재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다.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비만마우스에서 산마늘 잎추출물의 항비만효과 (Allium victorialis Leaf Extract Prevents High Fat Diet Induced Obesity in Mice)

  • 구세광;정인권;전우현;김주완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80-286
    • /
    • 2011
  • 본 실험은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비만마우스에서 산마늘 잎 메탄올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고자 체중변화, 사료섭취량변화, 렙틴과 아디포넥틴 수치변화, 난소주위 지방무게 변화 측정과 지방세포의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메트포민을 체중당 250 mg 투여한 약물대조군과 비교평가 하였다. 비만유발을 위하여 고지방식이를 13주간 공급하였으며, 고지방식이 공급 7일째에 증류수(비만대조군), 메트포민(약물대조군), 산마늘 잎 메탄올 추출물을 투여하였다. 비만대조군은 확연한 비만이 유발되었으며, 산마늘 잎 메탄올 추출물(62.5, 125, 250 mg/kg) 투여군에서는 이러한 비만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산마늘 잎 메탄올 추출물은 비만유발 마우스에서 비만개선작용을 나타내었으며, 나아가 인체에서도 유의한 비만개선작용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넙치의 미동정 진균 기생증 (A Mycosis of Unidentified Fungi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위식;백근식;김두운;서중경;오명주;강소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06-30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2014년 넙치 치어를 사용하여 실험하는 과정에서 폐사가 발생하였다. 병어는 외관상 특이한 증상을 보이지 않았으나 아가미에서 많은 양의 균사가 관찰되었다. 기생충과 세균은 병어로부터 분리되지 않았다. 진균에 감염된 넙치와 건강한 넙치를 혼합 사육한 결과, 건강한 넙치는 7일이내에 100% 폐사되었고 폐사어는 아가미에 진균이 심하게 감염되어 있었다. 병리조직학적 검사 결과, 아가미의 새엽, 새판 및 새파 주위에 균사체와 다수의 균사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넙치의 폐사는 진균 감염과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귀밑샘의 형질세포와 호산성 조직구를 다량 함유한 림프절외 변연부 B-세포 림프종의 세침흡인 세포검사 소견 -1예 보고-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of Extranodal Marginal Zone B cell Lymphoma with Abundant Plasma Cells and Eosinophilic Histiocytes in Parotid Gland)

  • 이영석;안정석;채양석;염범우;최종상;김철환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5-169
    • /
    • 2007
  • The authors present the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FNAC) cytologic findings of a case of extranodal marginal zone B cell lymphoma (MZBCL), which featured abundant plasma cells and eosinophilic histiocytes arising in both parotid glands. A 49-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palpable masses in both parotid glands. She had been suffering from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and rheumatoid arthritis. The lesions were evaluated by FNAC and smears showed a small number of clusters of oncocytic cells with abundant eosinophilic granular cytoplasm and small nuclei, intermixed with small to medium-sized lymphoid cells containing round to lobulated nuclei, which suggested Warthin's tumor. Some of lymphoid cells had a plasmacytoid appearance, and some scattered large cells contained a large amount of eosinophilic cytoplasm. Bilateral superficial parotidectomy was performed and a histopathologic study indicated MZBCL with abundant plasma cells, intermixed with eosinophilic histiocytes. The presence of oncocytic cells and a mixture of lymphoid and plasma cells indicates Warthin's tumor, but the cytologic features of a relatively monotonous small to medium-sized lymphoid infiltrate suggest the possibility of MZBCL in the clinical setting of an FNAC study performed on a patient suffering from a connective tissue disease.

방선균에 의해 발생된 기관지 결석증 (Broncholithiasis Caused by Actinomycosis)

  • 박정옥;방성식;김삼현;서필원;류재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3호
    • /
    • pp.236-239
    • /
    • 2006
  • 32세 남자 환자가 내원 15일 전부터 지속되는 피가 섞인 가래를 주소로 전원되었다. 환자는 내원 전부터 반복되는 폐렴으로 개인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 흉부 X-선상 우폐 중엽에 폐허탈이 관찰되었다.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상 우폐 중엽 기관지에 결석이 관찰되었으며 우폐 중엽에 폐허탈이 동반되어 있었다.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하여 기관지 결석을 제거하려 하였으나 제거할 수 없었다. 이에 수술 치료로 기관지결석을 제거하고 우폐 중엽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조직병리 검사상 기관지결석의 원인은 방선균증으로 진단되었다. 방선균에 의한 기관지 결석은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반복적인 폐쇄성 폐렴은 동반한 방선균에 의한 기관지결석에 대한 외과적인 치료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