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성 기준

Search Result 1,47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전남지역 해양산업 분석 연구

  • Kim, Hwa-Yeong;Kim, U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131-132
    • /
    • 2018
  • 해양산업은 새로운 부가가치산업 및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항만을 중심으로 클러스터를 조성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해외 선진항만들도 앞 다투어 클러스터를 조성하여 수익창출과 경쟁력 강화에 나서고 있다. 우리나라도 2015년 해양산업클러스터 조성과 육성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다. 따라서 각 지역별로 어떤 해양산업이 비교우위에 있는지 파악하는 것은 해양산업클러스터를 통한 집적화 전략을 수립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지역을 대상으로 해양산업 구조를 분석하였다. 먼저 해양산업 분류에 대한 기존 문헌분석을 실시하여 해운 물류업, 조선업, 수산업, 해양관광업, 기타업 5개의 대분류와 21개 중분류, 84개 소분류로 해양산업을 재분류하였다. 재분류한 해양산업을 기준으로 입지계수와 변이할당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전남의 해양산업 구조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향후 전남지역 해양산업클러스터 구축 시 전략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Estimation of River Environment Flow of Donghwa Dam (동화댐의 하천유지용수 산정)

  • Kang, Seung-Mook;Kim, Sun-Joo;Kim, Phil-Sik;Shim, Jae-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11-315
    • /
    • 2012
  • 최근 환경친화적인 도시 공간 마련 또는 생태공원 및 친수환경 조성에 대한 국민의 기대가 높아지는 등 자연환경 및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용수의 도입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물이 부족한 우리나라에 있어 기존 수리시설물에 저장된 용수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은 부족한 수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으로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본 연구는 하천유지용수의 개념을 정립하고 비교적 수량이 풍부한 대상지구의 여유수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계획공급량 이외의 추가공급 가능량을 하천유지용수로 판단하여 대상지구에 활용하고 가치를 판단하는 등 용수이용률 제고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동화지구는 수변공원조성사업을 계획하고 있으므로, 앞으로 수변 공원조성사업의 각 시설물에 공급할 동화댐의 추가공급 가능량은 모두 하천유지용수라 할 수 있으며, 댐에서 하천유지용수가 차지하는 비중은 더 커질 것이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하천유지용수 개념의 정립과 소규모 댐에서 하천유지용수를 산정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준의 정립이 이루어져야 한다.

  • PDF

Using Weighting-Factored Matrix Evaluation Method for Development of System Deducing Optimal Ecological Stream Flow Secured Methodology (가중치부여매트릭스 평가기법을 이용한 최적의 생태하천유량 확보 방안 도출 시스템 개발)

  • Byun, Dong-Hyun;Lee, Jong-Chul;Lee, Kyoung-Do;Jung, Seung-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12-216
    • /
    • 2011
  • 현재 하천 건천화에 따른 수생태계 교란 및 수질악화 등의 근본적인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최근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기조에 따라 조성되고 있는 신도시, 소규모 및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의 경우는 환경 친화적인 단지조성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기존 도심하천의 복원 및 인공하천의 녹색성장을 고려한 친환경적 생태하천으로 조성하고자 하는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으나 안정적인 생태복원의 수원확보 방안을 마련하지 못해 실제 설계가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조성하고자 하는 소하천 혹은 실개울 등의 수질보전 및 생태계 보호 등 하천이 본래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생태하천유량을 확보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있지만, 공사 유형과 주변 환경에 적합한 생태하천유량 확보 방안을 선정할 수 있는 비구조적 대책마련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실정과 문제점을 고려해 볼 때, 조성하고자 하는 도시 내 자연하천 및 인공하천 조성 등 수변환경을 고려한 단지조성에 맞는 생태하천유량 확보 방안 및 평가에 대한 연구가 단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태하천유량 확보와 하천수질 개선이 필요한 특정 지역 또는 다양한 유형의 공사 지구 내 하천이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적용 가능한 생태하천유량 확보 방안들과 수리해석 모델인 HEC-RAS(River Analysis System), 생태하천유량 산정 모델인 PHABSIM(Physical HABitat SIMulation)을 연계한 물리서식처 평가 모듈을 개발하고, 이를 기초로 가중치부여매트릭스 평가(국토해양부, 2006) 기법을 적용한 최적의 생태하천유량 확보 방안과 수질개선 방안을 제시해 줄 수 있는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을 구축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최적의 생태하천유량 확보 방안 도출을 위한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의 활용으로 필요유량은 물론, 기준을 만족하는 수질의 확보가 절실히 요구되는 중 소규모 하천에 실질적으로 적정수질의 생태하천유량을 확보함으로서 하천으로서의 역할을 위한 본 기능의 회복과 동시에 소하천, 도심하천 및 인공하천 등 중 소규모 수계의 수문순환을 정상화하여 하천의 지속 가능한 개발과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진다.

  • PDF

Design of Riparian Areas for the Carbon Sequestration and Diffused Pollutants Control (비점오염저감 및 탄소축적을 고려한 적정 수변지역 설계방법)

  • Kim, Bo-Ra;Sung, Ki-Jun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2 no.11
    • /
    • pp.1030-1037
    • /
    • 2010
  • This study suggests the riparian area management measures that can control nonpoint source pollution and optimal carbon sequestration. 30~600 m ranges of riparian buffer width are estimated for controlling diffused pollutants in Nakbon K watershed in the Nakdong River. The area that can be easily restored to the riparian buffer zone considering current land use type is the 1,776.51 ha and it is the 50% of estimated buffer area. About 14,526 tC/yr, 11,826 tC/yr, 8,382 tC/yr and 3,349 tC/yr of carbon can be sequestered in the restoration of riparian buffer zone with broad leaved forest, mixed forest, coniferous forest and perennial grass, respectively. It is equivalent amount of carbon dioxide that emitted from 5,000 cars or 20,000 homes as a family of four.

A Study on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Coastal Disaster Prevention Forest(Ⅰ) - on New Plan Site - (해안방재림 실태조사에 관한 연구(Ⅰ) - 신규조성대상지를 중심으로 -)

  • Chun, Kun-Woo;Lee, Jin-Ho;Kim, Min-Sik;Yeom, Kyu-Jin;Seo, Jae-Chul;Ezaki, Tsugio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763-766
    • /
    • 2008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the conditions of coastal disaster prevention forests in coastal sand dune in Korea. As a result new planed area were about 250.05ha of 576 sites and average area per site is about 0.43h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adjust it in 1 ha/site for standard of new plan area and 10 ha/year for establishment quantity. In addition, the maintenances methods for about 1,479 ha in the forested area of coastal disaster prevention forest and the basic investigations for forests close to coastal were carried out as soon as possible.

  • PDF

Investigation on the Distribution of Native Oxide in GaAs Wafer Using Angle-resolve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각분해 X-선 광전자 분광기를 이용한 GaAs 자연 산화막의 분포연구)

  • Sa, Seung-Hun;Gang, Min-Gu;Park, Hyeong-Ho;O, Gyeong-Hui;Seo, Gyeong-Su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7 no.6
    • /
    • pp.484-491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비파괴적 분석 기법인 각분해 X-선 광전자 분광기(Angle-Resolve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GaAs 표면 자연 산화막의 깊이에 따른 화학적 결합 상태 및 조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GaAs의 벽개면 및 Ar이온으로 식각된 면을 기준시료로 하여 각 원자의 광전자 강도(intensity)를 보정해주는 인자인 ASF(atomic sensitivity factor)의 최적값을 구하였다. 이륙각에 따라 발생되어지는 각 원소의 피이크 분해와 정확한 ASF의 보정을 통한 각 원소의 실험적인 결과를 이용하여 깊이 방향으로의 조성 분포 모델을 세웠으며, 이론적인 강도와의 상호비교로부터 표면 오염층의 구조는 표면으로부터 탄소층, Ga-oxide와 As-oxide로 이루어진 oxides층, As-As결합의 elemental As층 및 GaAs기판의 순으로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GaAs 표면에 존재하는 오염층은 35.8$\pm$3.3 $\AA$이었다. 또한 위 결과로부터 분석깊이 영역에서 원자수의 비로써 정의되는 의미로서의 실질조성을 구하였는데 단지 특정 이륙각에 따라 일반적인 ASF로 보정된 표면조성 결과는 표면 상태를 명확히 표현해주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