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류농도

Search Result 694,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Luminance distribution of Illuminated Bridges by View Point (교량의 조망점에 따른 휘도분포 특성분석)

  • Choi, Yoon-Seok;Kim, Jeong-Ta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5.11a
    • /
    • pp.73-7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한강에 위치한 교량을 대상으로 다양한 조망점에 따른 경관조명의 물리량을 측정하고 그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동일한 연구대상에 대하여 조망점이 달라졌을 때 나타나는 물리적 변화를 통해 경관조명분야의 물리량평가방법론의 새로운 접근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대상의 선정은 교량구조형식에 따라 분류하고. 경관조명이 설치된 교량 17개소 중 다양한 조망점과 현장측정의 편리성 등을 고려하여 광진교(거더교), 올림픽대교(사장교), 동작대교(트러스교), 동작대교(아치교)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조망점은 한강둔치를 이용하는 방문객들이 바라보는 투시뷰, 교량주변 건축물에서 바라보는 건물뷰 그리고 교량 위를 이동하면서 바라보는 주행뷰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으로 도출된 결과는 동일한 경관조명연출을 토대로 교량별 조망점에 따른 휘도측정 및 분석에서 측정되는 각도, 거리, 방향에 따라 정형화된 비율은 아니지만 휘도값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투시뷰와 건물뷰는 동일한 교량 구성요소를 갖고 있어 상호간 비교 분석이 가능하고 경관조명평가 요소로서 그 기능을 담당 할 수 있다고 판단되며, 주행뷰는 교량형식과 가로등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평가요소로써 조망점을 활용하기에는 조금 더 깊은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경관조명을 평가함에 있어 다양하게 바라보는 조망점은 조명연출로 인한 시각적 인식에 차이를 유발시킬 수 있어 경관조명을 평가할 때 다양한 조망점의 설정이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idinium의 분포는 chlorophyll-a농도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었다. 담수적조의 현존량은 상류지역에서 $8.5\;{\times}\;10^3\;cell\;mL^L{-1}$로서 많았고, 댐부근의 하류지역($4.4\;{\times}\;10^2\;cell\;mL^L{-1}$)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담수적조의 원인종으로 규조류 Synedra acus와 남조류 Microcystis aeruginosa도 소량관찰되었다. 저수지의 수질 부영양화 현상은 기존 경사사면형 농경지를 기반으로 조성되었으므로 저층으로부터 풍부한 영양환경을 내재하고 있었고, 담수 초기에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유입수량의 부족과 현재 수질개선을 위해 적용하고 있는 수중폭기시설등의 물리적인 영향도 직 ${\cdot}$ 간접적으로 작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향후 이에 대한 중장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였고 유역과 저수지의 통합적인 수질관리계획 이 요구되었다.group으로, 용존산소량, 전기전도도, pH, 인산염이 정점 3, 4, 5에서 같은 group으로 묶였다.유의적인 CAT 활성 증가효과가 나타났고, 간조직의 시토졸 1획분에서는 대조군 대비 15${\sim}$27%의 CAT 활성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목초액의 장기간 투여는 간조직 중의 활성산소의 억제효과뿐만 아니라 방어시스템으로서 활성산소 제거효소의 역할도 충실히 수행하여 노화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

  • PDF

Epilithic Diatom Communities in Streams of Jeju Island (제주도내 하천의 부착규조 군집)

  • Jung, Myoung Hwa;Cho, Hyeon Jin;Yun, Jung Ha;Lee, Hak You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2 no.1
    • /
    • pp.16-25
    • /
    • 2014
  • To identify distribution of epilithic diatom assemblag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iatoms and water chemistry, samples were collected twice a year from 2008 to 2012, from at 6 streams in Jeju Island, South Korea. A total of 171 diatom taxa were identified, and Achnanthes lanceolata, Gomphonema pumilum, Melosira varians, Navicula minima and Nitzschia palea were dominantly observed. BOD ranged 0.0~1.6 mg $L^{-1}$, TN 0.230~13.240 mg $L^{-1}$ (average 4.432 mg $L^{-1}$), TP 0.020~0.316 mg $L^{-1}$ (average 0.092 mg $L^{-1}$), and N/P rate ranged 2.5~178.5. Average of epilithic algal chlorophyll-a and AFDM were 1.1 ${\mu}gcm^{-2}$ and 0.6 mg $cm^{-2}$, respectively. According to BOD standard, the water qualities of study area sites were at 'Good' level. However, the healthiness levels assessed from DAIpo and TDI were 'Fair' to 'Poor'.

Effects of a Commercial Activating Treatment Agent on Cultured Porphyra yezoensis thalli (양식 방사무늬김, Porphyra yezoensis의 활성처리제 처리 효과)

  • Park, Sung-Woo;Kim, Dae-Hyun
    • Journal of fish pathology
    • /
    • v.26 no.3
    • /
    • pp.275-282
    • /
    • 2013
  • The use of activating treatment agent (formerly acid treatment agent) has been an effective strategy to remove deleterious epibiont organisms such as diatoms and green seaweeds, and it has greatly contributed to increase in Porphyra production. Although many manufacturers supply many kinds of activating treatment agent with different components in these days, no report about their effects on Porphyra culture was found. In this paper, effects of a commercial activating treatment agent were evaluated for practical use in Porphyra culture. No difference was found in dead cell ratios(%) of Porphyra yezoensis thalli between treated and control groups. However, dead cell ratios of Monostroma nitidum thalli were increased from 0~4.6% to 99.0~100% after the treatment. Bathing Porphyra thalli in activating treatment agent resulted in a great decrease in epiphytic bacterial number attached to the thalli from $10^2{\sim}10^{11}$ cells/g to $0{\sim}10^5$ cells/g but did not change the colour of the thalli. These results suggest that bathing Porphyra thalli in activating treatment agent could be a promising strategy to remove green algae, diatoms and bacteria.

Effect of turbidity current on organic carbon cycle in Daecheong reservoir (탁수가 대청호 유기탄소 순환에 미치는 영향)

  • Dong Min Kim;Se Woong Ch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48-148
    • /
    • 2023
  • 산업 고도화로 인하여 복잡하고 다양한 유기물의 사용량이 증가하였으며, 공공수역 내 새로운 오염물질이 유입됨에 따라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 중심의 수질평가에 한계를 나타내었다. 이후 난분해성 물질을 고려한 유기물관리 정책과 총량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국내 하천과 호소에서는 총 유기탄소(TOC)를 유기물 관리지표로 설정하였다. 그러나 부영양 하천과 호소에서 TOC는 외부 부하뿐만아니라 식물플랑크톤의 과잉성장에 의해 증가할 수 있는 항목이므로 TOC 관리정책 추진을 위해서는 유기물의 기원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 한편, 우리나라와 같이 몬순 기후대에 속한 댐 저수지의 경우 강우시 유입하는 탁수에 의해 다량의 유기물과 인이 유입되기도 하지만 식물플랑크톤의 제한요인 중 광량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은 수체 내 유기탄소 내부생성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나 점 단위의 실험적 방법을 활용한 유기탄소 순환 해석은 저수지의 시·공간적인 변동성을 고려하기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금강 수계 최대 상수원인 대청호를 대상으로 3차원 수리-수질 모델을 적용하여 유기탄소 성분 별 유입과 유출, 내부생성 및 소멸량을 평가하고 탁수가 저수지에서의 유기탄소 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유기탄소 물질수지 해석을 위해 AEM3D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2018년을 대상으로 입력자료를 구축한 후 보정 및 검정을 수행하였다. 모델은 유기탄소를 입자성, 용존성, 그리고 난분해성과 생분해성으로 구분하여 모의하며 유기물질 성상별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입력자료를 구축하였으며 유기탄소순환 해석을 위해 4가지의 탄소성분과 조류 세포 내 탄소의 질량 변화율을 계산하였다. 이를 위해 외부 유입·유출부하율, 수체 내 생성(일차생산, 재부상, 퇴적물과 수체 간 확산) 및 소멸률(POC 및 조류 침강, DOC 무기화, 탈질)을 고려하였으며 탁수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탁수 포함여부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유기탄소 생성 및 소멸기작별 변동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모델은 2018년의 물수지를 적절히 재현하였으며 저수지의 수온 및 탁도 성층구조를 잘 재현해내면서 전반적인 수질을 적절하게 모의하였다. 탁수를 고려하였을 시 연간 TOC 부하량 중 내부기원 부하량은 56% 수준이였으나 탁수를 배제한 경우 내부기원 부하량은 82%로 나타났다. 특히, 연평균 Chl-a 농도가 44~48% 차이가 발생하면서 1차생산량이 약 4배가량 증가하였다. 몬순지역에서의 탁수는 체류시간이 긴 성층 저수지에서 식물플랑크톤 성장제어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전반적인 유기탄소 순환을 해석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Mass Proliferation Control Algorithm of Phytoplankton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식물플랑크톤의 대량 증식 제어 알고리즘 개발)

  • Seonghwa Park;Jonggu Kim;Minsun K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9 no.5
    • /
    • pp.435-444
    • /
    • 2023
  • Suit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in Saemangeum frequently favor phytoplankton growth. There have been occurrences of sudden phytoplankton blooms, surpassing the algae management standards. A model was designed to prevent such blooms using scientific predictive techniques to forecast and regulate the possibility of phytoplankton blooms. We propose effective and efficient algae control measures concerning every phytoplankton species optimized through the policy control of nutrients (DIN, PO4-P) from rivers and controlling lake salinity using gate operations. The probability of phytoplankton blooms was initially forecast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lgorithm based on observations. The model's Kappa number fluctuated from 0.7889 to 1.0000, indicating good to excellent predictive power. The Garson algorithm was then utilized to assess the significance of explanatory variables for every species. Meanwhile, the probability of phytoplankton blooms was anticipated depending on the DIN and salinity value changes. Therefore, the model predicted the precise DIN and salinity concentrations to inhibit phytoplankton blooms for each species. Hence, the green algae model can create effective proactive measures to avoid future phytoplankton blooms in enormous artificial lakes.

Analysis of Organic Carbon Mass Balance in Daecheong Reservoir Using a Three-dimensional Numerical Model (3차원 수치 모델을 이용한 대청호 유기탄소 물질수지 해석)

  • Kim, Dong Min;An, In Kyung;Min, Kyug Seo;Chung, Se 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62-62
    • /
    • 2021
  • 산업 고도화로 인하여 복잡하고 다양한 유기물의 사용량이 증가하였으며, 공공수역 내 새로운 오염물질이 유입됨에 따라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 중심의 수질평가에 한계를 나타내었다. 이후 난분해성 물질을 고려한 유기물관리 정책과 총량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국내 하천과 호소에서는 총 유기탄소(TOC)를 유기물 관리지표로 설정하였다. 그러나 부영양 하천과 호소에서 TOC는 외부 부하뿐만아니라 식물플랑크톤의 과잉성장에 의해 증가할 수 있는 항목이므로 TOC 관리정책 추진을 위해서는 유기물의 기원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 특히, 국내 하천에서 나타나고 있는 난분해성 유기물 오염도의 증가 추세에 대응한 실효성 있는 유기물 오염관리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유기물의 근원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금강 수계 최대 상수원인 대청호를 대상으로 3차원 수리-수질 모델을 적용하여 유기탄소 성분 별 유입과 유출, 내부생성 및 소멸량을 평가하고 저수지시스템에서의 유기탄소 물질수지를 해석하는 데 있다. 유기탄소 물질수지 해석을 위해 AEM3D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2017년을 대상으로 입력자료를 구축한 후 보정을 수행하였고 2018년을 대상으로 모델을 검정하였다. 모델은 유기탄소를 입자성, 용존성, 그리고 난분해성과 생분해성으로 구분하여 모의하며 유기물질 성상별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입력자료를 구축하였다. 유기탄소 물질수지 해석을 위해 4가지의 탄소성분과 조류 세포 내 탄소의 질량 변화율을 계산하였다. 이를 위해 외부 유입·유출부하율, 수체 내 생성(일차생산, 재부상, 퇴적물과 수체 간 확산) 및 소멸률(POC 및 조류 침강, DOC 무기화, 탈질)을 고려하였다. 모델은 2017년과 2018년의 물수지를 적절히 재현하였으며 저수지의 성층구조를 잘 재현해내면서 전반적인 수온, 수질을 적절하게 모의하였다. 연간 TOC 부하량 중 내부기원 부하량은 2017년 68.4 %, 2018년은 높은 강우량의 영향으로 55.0%로 산정되었다. 내부 소멸 기작 중 침전으로 인한 손실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7년과 2018년 각각 31.3%, 29.0%로 나타났다. TOC의 공간분포는 Chl-a 농도 분포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댐 설치로 형성된 정체수역은 유역의 유기물 순환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TOC 관리 정책 기초자료 확보를 위해서는 향후 유역-저수지 시스템을 연계한 유기물 물질순환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Long-term Water Quality Data Monitored in Andong and Imha Reservoirs (안동호와 임하호에서 관측한 장기 수질자료의 비교 분석)

  • Park, Sun-Jae;Choi, Seong-Mo;Park, Jong-Seok;An, Kwang-Guk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9 no.1 s.115
    • /
    • pp.21-31
    • /
    • 2006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rends of temporal water quality and trophic state in Andong and Imha reservoirs using chemical dataset during 1993 ${\sim}$ 2004, obtained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According to long-term limnological analyses, Suspended solids (SS) in Imha Reservoir were 2 ${\sim}$ 8 fold2 greater, than those in SS of Andong Reservoir, and the high solids increased total phosphorus (TP) and biological oxygen demand ($BOD_5$) and decreased the transparency, measured as Secchi depth (SD). Chlorophyll-a (CHL-a) increased little or decreased slightly in the both reservoirs during the high solids, resulting in reduced yields of CHL-a : TP ratios. The deviation analysis of Trophic State Index (TSI) in Imha Reservoir showed that about 70% of TSI (CHL-a)-TSI (SD) and TSI (CHL-a)-TSI(TP) values were less than zero and the lowest values were-60, indicating that influence of inorganic solids (or non-volatile solids) on phytoplankton growth was evident in Imha Reservoir and the impact was greater than that of Andong Reservoir. Inorganic solids in Imha Reservoir resulted in light limitation on phytoplankton growth and thus contributed variations in the relations among three parameters of trophic state index. Especially, seasonal data analysis of nutrients in both reservoirs showed that during the postmonsoon, mean TP concentration was Imha Reservoir greater in than that in Andong Reservoir. The higher TP concentrantion was mainly attributed to increases of inorganic solids from soil erosions and nonpoint source inputs within the watershed. The high inorganic turbidity in Imha Reservoir should be reduced for the conservation of water quality for, especially a tap water supply.

Prediction of Seabed Topography Change Due to Construction of Offshore Wind Power Structures in the West-Southern Sea of Korea (서남해에서 해상풍력구조물의 건설에 의한 해저지형의 변화예측)

  • Jeong, Seung Myung;Kwon, Kyung Hwan;Lee, Jong Sup;Park, Il Heu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1 no.6
    • /
    • pp.423-433
    • /
    • 2019
  • In order to predict the seabed topography change due to the construction of offshore wind power structures in the west-southern sea of Korea, field observations for tides, tidal currents,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s and seabed sediments were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These data could be used for numerical simulation. In numerical experiments, the empirical constants for the suspended sediment flux were determined by the trial and error method. When a concentration distribution factor was 0.1 and a proportional constant was 0.05 in the suspended sediment equilibrium concentration formulae, the calculated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s were reasonably similar with the observed ones. Also, it was appropriate for the open boundary conditions of the suspended sediment when the south-east boundary corner was 11.0 times, the south-west was 0.5 times, the westnorth 1.0 times, the north-west was 1.0 times and the north-east was 1.0 times, respectively, using the time series of the observed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s. In this case, the depth change was smooth and not intermittent around the open boundaries. From these calibrations, the annual water depth change before and after construction of the offshore wind power structures was shown under 1 cm. The reason was that the used numerical model for the large scale grid could not reproduce a local scour phenomenon and they showed almost no significant velocity change over ± 2 cm/s because the jacket structures with small size diameter, about 1 m, were a water-permeable. Therefore, it was natural that there was a slight change on seabed topography in the study area.

Influence of the Increase of Dissolved $CO_2$ Concentration on the Marine Organisms and Ecosystems (해수중 용존 $CO_2$ 농도 증가가 해양생물 및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국내외 사례 연구)

  • Lee, Jung-Suk;Lee, Kyu-Tae;Kim, Chan-Kook;Park, Gun-Ho;Lee, Jong-Hyeon;Park, Young-Gyu;Gang, Seong-G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9 no.4
    • /
    • pp.243-252
    • /
    • 2006
  • Influence of the increasing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seawater on various marine organisms is assessed in this article with regard to the impacts of anthropogenic $CO_2$ introduced into surface or deep oceans. Recent proposals to sequester $CO_2$ in deep oceans arouse the concerns of adverse effects of increased $CO_2$ concentration on deep-sea organisms. Atmospheric introduction of $CO_2$ into the ocean can also acidify the surface water, thereby the population of some sensitive organisms including coral reefs, cocolithophorids and sea urchins will be reduced considerably in near future (e.g. in 2100 unless the increasing trend of $CO_2$ emission is actively regulated). We exposed bioluminescent bacteria and benthic amphipods to varying concentrations of $CO_2$ and also pH for a short period. The ${\sim}l.5$ unit decrease of pH adversely affected test organisms. However, amphipods were not influenced by decreasing pH when HCl was used for the seawater acidification. In this article, we reviewed the biological adverse effects of $CO_2$ on various marine organisms studied so for. Theses results will be useful to predict the potential risks of the increase of $CO_2$ concentrations in seawater due to the increase of atmospheric $CO_2$ emission and/or sequestration of $CO_2$ in deep oceans.

  • PDF

Effects of Eisenia bicyclis Extracts on the Proliferation and Activity of Osteoblasts and Osteoclasts (대황 추출물이 조골세포와 파골세포의 성장과 활성에 미치는 영향)

  • Kim, Seoyeon;Jeon, Myeong-Jeong;Cheon, Jihyeon;Lee, Sang-Hyeon;Kong, Changsuk;Kim, Yuck Yong;Yu, Ki Hwan;Kim, Mihyang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4 no.3
    • /
    • pp.297-303
    • /
    • 2014
  • The effects of Eisenia bicyclis extracts on osteoblast differentiation and osteoclast formation were investigated. The proliferation of MC3T3-E1 osteoblastic cells was tested in an MTT assay. Treatment with E. bicyclis ethanol extract increased cell proliferation by approximately 128% at a concentration of 10 ${\mu}g/ml$. The ALP activities in the MC3T3-E1 cells was 179% higher when the E. bicyclis ethanol extract was processed at a concentration of 50 ${\mu}g/ml$. The proliferation of RAW 264.7 osteoclastic cells decreased significantly in response to treatment with the E. bicyclis extracts. Moreover, the proliferation of the RAW 264.7 osteoclastic cells treated with E. bicyclis hot water extract decreased by nearly 80%. In addition, the E. bicyclis extract reduced the number of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positive (TRAP+) multinucleated cells from osteoclastic RAW 264.7 cel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 bicyclis extracts have an anabolic effect on bone through the promotion of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suggest that the extracts could be used in the treatment of common metabolic bone dis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