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경미학

Search Result 77,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An Ecological Aesthetic in Sustainable Landscape Design (지속가능한 조경설계에 있어서 생태미학적 접근)

  • Min, Byoung-Woo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0 no.2
    • /
    • pp.38-48
    • /
    • 2012
  • Since the late 20th century, sustainability is one of the most pressing concerns for the security and well-being of our society when we are witnessing the rapid change in urban landscape patterns. Responding to this issue, the discipline of environmental designs including landscape architecture has also attempted to realize this concept in various w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introducing and redefining the meaning of ecological aesthetics as an alternative "sustainable" design theory. This paper theoretically discusses about the role of aesthetics in landscape desig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scape and aesthetic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cological aesthetics. Based o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the study attempts to re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ecological aesthetics: an emphasis on cognitive process in landscape appreciation, environmentalism, unrestricted from style, and nonnative aesthetics. Having defined the characteristics, this study also finds several design subjects to adapt the concept of ecological aesthetics to actual design practice. Founded on the big idea "make nature visible", the defined subjects are ecological functions, temporality of landscape, and history of landscape, security, and accessibility. Also, this study stresses the importance m the creativity of the design(er) in order to effectively represent these subjects to the public.

A Study on the Artistic Development of Rogert Smithson as Means of Investigating His Conceptualization of a Modern Landscape Aesthetics (로버트 스미슨의 작품에 나타난 근대 경관미학의 개념화에 관한 연구)

  • 김도경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24 no.2
    • /
    • pp.62-73
    • /
    • 1996
  • 본 연구는 환경예술운동의 선구자격이며 가장 대표적인 작가로 평가되는 로버트 스미슨의 작품에 대한 연구를 통해 그의 경관미학의 개념화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하였으며 궁극적으로 본 연구가 환경예술운동이 현대 조경설계에 미친 영향에 대한 기초 연구라는데 본 논문의 의의를 찾고자 한다. 스미슨의 작품이 조경에서 다루는 경관의 여러 가지 관점을 다루었으며, la국을 중심으로 조경설계에서 공간의 시각적 표현을 시도한 몇몇 조경설계가의 작품배경 또한 환경예술로 불리어지는 일련의 작품군과 작가의 주장에 많은 영향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작품이 조경분야에서 연구의 대상으로 활발하게 다루어지지 못한 것도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미슨의 경관미학의 개념화를 그의 작품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스미슨의 작품과 조경설계와의 연관성, 그리고 현대 조경설계에 미친 스미슨의 공헌등을 조명해 보았다. 스미슨의 초기작품들은 개발로 인한 환경 및 경관의 남용 혹은 황폐화에 대한 비평적인 관점을 예술적 형태로 묘사한 반면, 후기 작품들에서는 환경 및 경관에 대한 예술적인 조작에 긍정적인 가치를 부여하고자 한 것이었다. 스미슨의 작품이 현대 조경에 미친 가장 큰 공헌은 무엇보다도 경관 및 환경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수단으로서 예술을 활용했다는 것일 것이다. 환경예술가들의 주장과 그들의 작품이 현대 조경설계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형상화되었는지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 규명되어야 할 부분이라고 판단된다.

  • PDF

The Diversification of Environmental Aesthetics and the Rise of Everyday Aesthetics - Theoretical Agendas and Issues of Yuriko Saito's Everyday Aesthetics - (환경미학의 다변화와 일상미학의 부상 - 유리코 사이토의 일상미학 이론의 의제와 쟁점을 중심으로 -)

  • Pae, Jeong-Han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51 no.2
    • /
    • pp.42-53
    • /
    • 2023
  • This paper explores the recent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aesthetics and critically examines the main agendas, claims, issues, and implications of everyday aesthetics, which is emerging as an important branch of environmental aesthetics. Environmental aesthetics began in the context of cultural change and environmentalism in the 1960s and expanded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with a solid theoretical foundation. At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it entered a process of diversification of objects and subjects. Having reached academic maturity, environmental aesthetics has expanded into theoretical territory considering the urban environment and the human environment, providing practical coordinates as a discourse for planning and designing urban environments and landscapes. The most notable achievement of environmental aesthetics since the mid-2000s is the establishment of 'everyday aesthetics'. Yuriko Saito, who is leading the research on everyday aesthetics, expanded the objects and scope of aesthetic theory to everyday objects, events, activities, and environments. She excavates the microscopic and sensory aspects of everyday life, which have been overlooked by conventional art-centered aesthetics, through the lens of aesthetics. She reinterprets various layers of phenomena in contemporary urban landscapes and analyzes how the 'power of the aesthetic' hidden in everyday life profoundly affects the quality of life and the state of the world. Saito examines the appreciation of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nd ambiance inherent in everyday objects and environments and proposes a 'moral-aesthetic judgment' to alert citizens to the environmental, social, and political consequences of everyday aesthetic appreciation and response. This paper identifies the issues and implications of everyday aesthetics as first, the expansion of aesthetics and the ambiguous everyday, second, the moral-aesthetic judgment and the aesthetics of care, and third, urban regeneration landscapes and aesthetic literacy. In particular, the moral virtues of everyday aesthetics that Saito proposes, such as care, thoughtfulness, sensitivity, and respect, provide a critical reference for the practice of contemporary urban regeneration landscapes. The 'aesthetic literacy' is a key concept demonstrating why an environmental aesthetics perspective is necessary to interpret everyday urban environments and landscapes.

Affect and Cognition Interface in Aesthetic Experiences of Landscapes (경관의 미학적 경험에 있어서 감정과 인지의 상호작용)

  • 이영경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20 no.3
    • /
    • pp.11-20
    • /
    • 1992
  • 본 논문에서는 사람이 환경을 통해 경험하는 미학적 경험(aesthetic experience)을 체계화시킨 이론적 모델(a conceptual model of affect and cognition interface in aesthetic experiences of landscapes)이 간단히 소개 되며, 이 모델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가 중점적으로 다루어진다. 제시된 모 델은 경관의 미학적 경험을 감정(affect)과 인지(cognition)와의 상호작용 (interface)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세 가지 요소(사람이 환경에 대하여 갖고 있는 목적 : tasks, 사람의 모든 과거경험에 근거한 지식일체 : schematic knowledge, 환경의 독특한 상황 : environmental situation)를 미학적 경험 의 주요인자로 제시한다. 이 모델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에서는 앞에서 소 개된 미학적 경험의 세 가지 요소(사람의 목적, 지식, 환경상황)를 과학적 이고 계량적이고 처리할 수 있도록 세부요소로 분류정의 (operationalization)하였다. 구체적으로, 사람의 목적은 환경을 평가하는 세 가지 목적, 즉 경치평가(scenic beauty judgment), 들놀이 목적으로서의 평가(picnic preference judgment), 주거목적으로서의 평가(living preference judgment)로 분류되었고, 이 세 가지 환경평가는 미학적 경험의 지표로 사용되었다. 사람의 지식은 국적에 근거한 문화적인 지식(cultural schema : 한국인과 텍사스인)과 직업에 근거한 사회적인 지식(social schema : 농부, 비농부, 조경학과 학생)으로 분류되었으며, 환경상황은 환 경의 아름다움(beauty : 아름다운 경관과 아름답지않은 경관)과 환경의 의 미(meaning : 긍정적인 의미가 있는 한국경관, 긍정적인 의미가 없는 한국 경관, 긍정적인 의미가 있는 미국 텍사스경관)로 분류되었다. 연구결과를 보면, 이론적 모델에서 소개된 세 가지 요소들 (사람의 목적, 지식, 환경상 황) 모두가 경관의 미학적 경험에(경치평가, 들놀이 선호도, 주거지 선호 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 연구결과는 제시된 이론적 모델을 뒷받침하고 있다. 특히, 가장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사람의 문화적인 지식은 단독으로 미학적 경험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다른 요소들(특히 사회적인 지식과 목적)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미학적 경 험을 형성한다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환경의 아름다움은 다른 세부요소 들(환경의 의미, 사람의 목적과 지식)보다 미학적 경험에 주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사람들에게 비슷한 미학적 경험을 발생시키는 것 이 밝혀졌다. 다시 말하면 모든 사람들은 그들의 문화적인 국적과 사회적 인 직업의 차이, 목적의 차이, 또한 환경의 의미의 차이에 상관없이 아름다 운 경관(High-beauty landscape)을 주거지나 나들이 장소로서 선호했으며, 아름답다고 평가했다. 반면에, 사람들이 갖고 있는 문화의 차이, 직업의 차 이, 목적의 차이, 그리고 환경의 의미의 차이에 따라 경관의 미학적 평가가 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constructing the Dichotomy between Ecology and Art in Contemporary Landscape Architecture (현대 조경설계에서 생태-예술 이원론의 해체)

  • Pae, Jeong-Han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6 no.2
    • /
    • pp.48-56
    • /
    • 2003
  • 20세기 후반을 거치며 환경 관련 이슈는 조경 이론과 설계에서도 중심 주제로 자리잡아 왔다. 환경에 대한 고려를 중심에 둔 이른바 생태적 조경계획 설계는 조경의 패러다임에 일대 전환을 가져오고 조경의 대사회적 역할을 교정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흐름은 동시대 조경 이론과 설계의 가장 첨예한 쟁점 중의 하나인 생태학과 예술 사이의 이분법을 심화시켰다는 비판에 직면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즉 생태적 조경은 환경적 가치 대형태 구축, 부지의 생태적 분석 대 창조적 표현이라는 이원론적 갈등 관계를 형성해 온 것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양상의 생태-예술 이원론을 해체하고 대안적 조경의 지평을 구축하는 일이 현대 조경설계가 풀어야 할 최우선의 과제라고 파악한다. 이 논문은 특히 최근의 조경설계에서 실험되고 있는 경험의 구축, 변화와 프로세스의 고려, 일시성과 불확정성을 존중하는 태도 등을 통해 생태-예술 이원론을 해체할 수 있는 실천적 전략을 모색한다. 뿐만 아니라 그러한 전략에서 드러나는 대안적 조경미학이 최근의 환경미학과 공유하고 있는 이론적 지형을 검토함으로써 생태학과 예술의 접점을 가로지르는 조경설계의 새로운 좌표를 탐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