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제4군

검색결과 2,354건 처리시간 0.034초

근관충전의 폐쇄효과 평가에서 색소침투의 정성적 및 정량적 측정의 상호관계 (RELATIONSHIP BETWEEN LINEAR AND VOLUMETRIC MEASUREMENTS OF DYE PENETRATION IN THE SEALING EFFECT OF CANAL OBTURATION)

  • 백승래;조규증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7권2호
    • /
    • pp.343-354
    • /
    • 1992
  • 본 연구의 목적은 여러가지 근관충전법으로 충전된 근관의 폐쇄효과를 정선적 및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각 충전법간의 폐쇄효과를 비교하므로써 정선적 측정법 및 정량적 측정법간의 상호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108개의 발거된 상악중절치 및 측절치와 상하악 견치에서 치관을 절제하고 통법대로 근관형성한 다음 4개군으로 나누어 제 I 군은 sealer를 사용하고 측방 가압근관충전법으로, 제 II 군은 sealer를 사용하고 저온연화 gutta-percha주입근관충전법으로, 제 III 군은 sealer를 사용하고 Thermafil근관충전법으로 그리고 제 IV 군은 sealer를 사용하지 않고 고온용융 gutta-percha주입근관충전법으로 충전하고 전 시편을 2 % methylene blue 용액 속에 근단부를 1mm담근 채 $37^{\circ}C$ 항온기에서 10일간 경과시켜 근단공을 통한 색소침투를 정선적 및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정선적 측정에서는 II 군은 III군, I군 및 IV군보다, III군은 IV군보다 유의상 있게 색소침투가 적게 나타났으나 (P<0.05), 그 이외의 군들 상호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정량적 측정에서는 II 군이 가장 적게 나타나 I 군 및 IV군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P<0.05), III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정선적 측정과 정량적 측정과의 사이에는 미약하지만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0.3391, P<0.001).

  • PDF

감잎(Diospyros kaki folium) Polyphenol 화합물군이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lyphenol Compounds from Persimmon Leaves (Diospyros kaki folium) on Allergic Contact Dermatitis)

  • 박무희;최청;배만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1-115
    • /
    • 2000
  • 한국산 감잎으로부터 폴리페놀 화합물군을 분리하여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에 비해 폴리페놀 화합물군에서 era swelling이 감소되었으며, 비만세포의 분포에서도 대조군에 비하여 감잎 폴리페놀 화합물 투여군에서 매우 적은 수가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제4형 알레르기 반응을 지연 또는 예방할 수 있는 생약제로서의 가능성을 시시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 PDF

야콘잎 발효차가 고지방식이와 스트렙토조토신으로 유도한 제2형 당뇨마우스의 혈당 및 당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mented Yacon (Smallanthus Sonchifolius) Leaves Tea on Blood Glucose Levels and Glucose Metabolism in High-Fat Diet and Streptozotocin-Induced Type 2 Diabetic Mice)

  • 김인숙;이진;이점숙;신동영;김명주;이미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3권4호
    • /
    • pp.333-341
    • /
    • 2010
  • 본 연구는 고지방식이와 STZ으로 제2형 당뇨병을 유발한 마우스에게 야콘잎 발효차 열수추출물을 수준별로 급여한 후 혈당과 당대사 변화를 살펴보았다. 4주령 ICR 마우스를 1주간 적응시킨 후 고지방식이 (전체 열량의 37% 지방)를 4주간 급여하여 인슐린저항성을 유발한 마우스에게 STZ (100 mg/kg body weight)을 일회 복강주사 하였다. 7일 후 공복시 혈당이 250 mg/dL인 마우스만을 사용하여 난괴법으로 대조군, 저농도 야콘잎 발효차 열수추출물군 (0.16%, wt/wt), 고농도 야콘잎 발효차 열수추출물군 (0.8%, wt/wt)으로 나누었으며, 야콘잎 발효차 분말이 1%와 5% 수준이 되도록 열수추출물을 식이에 첨가 조제하여 6주간 사육하였다. 체중, 일일 식이섭취량과 상대적 장기무게는 야콘잎 발효차 열수추출물 급여에 따른 유의적인 영향이 없었다. 실험 6주 동안 대조군에 비하여 야콘잎 발효차 열수추출물 급여는 혈당상승을 억제하였는데 특히, 고농도 야콘잎발효차 열수추출물 급여는 실험 5주째부터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혈당을 낮추기 시작하여 실험종료시 대조군에 비하여 21%의 혈당을 개선하였다. 반면, 당화헤모글로빈의 함량은 야콘잎 발효차 열수추출물 급여에 따른 영향이 관찰되지 않았다. 야콘잎 발효차 열수추출물 급여는 혈장 중의 인슐린과 C-펩티드 함량 및 내당능을 개선하지 못하였으나 고농도의 야콘잎 발효차 열수추출물 급여는 제2형 당뇨마우스의 인슐린 내성을 유의적으로 개선하였다. 또한 혈장 중의 렙틴 농도는 모든 야콘잎 발효차 열수추출물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1.2배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대조군에 비하여 야콘잎 발효차 열수추출물 급여군의 췌장내 $\beta$-세포가 농도의존적으로 많이 존재하였다. 간조직의 GK 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저농도와 고농도의 야콘잎 발효차 열수추출물 급여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G6Pase 활성은 고농도 야콘잎 발효차 열수추출물 급여군이 대조군과 저농도 급여군에 비하여 낮았다. 그러나 GK/G6Pase 비는 저농도와 고농도 야콘잎 발효차 열수추출물군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한편, PEPCK 활성은 실험군간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고농도의 야콘잎 발효차 열수추출물군의 혈장 AST와 ALT 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 이와 같이 고농도의 야콘잎 발효차 열수추출물은 제2형 당뇨마우스의 인슐린 민감성을 개선하고 간조직에서 당이용을 높이는 반면, 당 신생을 억제함으로써 혈당저하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치수 및 치근단 병소에서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 -1, -2, -3의 분포에 관한 연구 (Detection of Matrix Metanoproteinase -1, -2, -3 in pulpal and periapical pathosis)

  • Su-Jung Shin;Seung-Ho Baek;Sung-Sam Lim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6권3호
    • /
    • pp.191-199
    • /
    • 2001
  • 목적 -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는 조직의 염증 및 치유과정에서 숙주세포에서 생성, 분비되어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의 분해에 작용한다. 다양한 염증반응에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치수 및 치근단 질환에서의 그 역할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염증이 있는 사람의 치수 및 치근단 조직을 채취하여 Enzymeimmunoassay 및 면역조직화학적 검색을 통해 제1형, 2형, 3형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수준 및 그 분포를 측정하여 치수 및 치근단 병소에서 이 효소의 작용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 연구재료는 근관치료를 위해 서울대학교 병원 치과 진료부 보존과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34개의 치아에서 통상의 근관치료 중 발수한 치수조직과 치근단 수술중 얻은 치근단 병소(n=10)를 이용하였다. 치수는 발수 전에 임상진단을 통해 급성 치수염(n=12), 만성 치수염(n=12), 정상 치수(n=10)로 구분하고 정상치수로 진단된 것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채취된 표본은 둘로 나누어 절반은 30분 이내에 5$\mu\textrm{m}$ 두께로 동결절단을 시행하여 조직표본을 제작하였고 deep freezer에 보관하였다가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 및 면역조직화학적 검색을 시행하였다. 나머지 조직은 ELISA를 위해 액체 질소에 보관하였다. ELISA를 시행하기전 표본의 단백질 정량을 시행하여 모든 표본의 단백질 양을 50mg/$\mu\textrm{l}$로 일치시키고 Amersham사의 ELISA kit를 사용하여 제1형, 2형, 3형의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양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Mann-Whitney U test를 사용하여 각 군간의 통계학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1. ELISA의 결과 제1형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농도는 모든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성있게 높게 나타났다.(p<.05). 또한 급성치수염군의 제1형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농도가 다른 실험군보다 유의성있게 높았다(p<.05). 2. 제2형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경우 급성치수염군과 대조군에서만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였다(p<.05). 3. 제3형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경우 급성치수염군에서 대조군이나 만성치수염군보다 유의성 있는 높은 수치를 보였다(p<.05). 4. 면역조직화학검색 결과 염증성 치수에 존재하는 급성 및 만성염증세포 주위로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에 대한 면역 반응이 존재하였으며 주로 제1형과 제3형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경우 대식세포 및 림파구 주위로 강한 발색제의 침윤양상이 관찰되었다. 5. 치근단병소의 면역조직화학적 검색 결과 만성염증 세포 주변으로 미약한 발색제의 침윤양상이 관찰되었다.

  • PDF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군사로봇 전투개념 연구 (A Study on the Concept of Military Robotic Combat Us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 박상혁;남궁승필;김성권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397-401
    • /
    • 2023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기반 우리나라 군(軍) 조직이 미래 전장에서 승리할 수 있는 이정표를 제시하는 측면에서 출발한 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제 1장 서론은 군사 선진국들이 4차 산업혁명 기반 국방분야의 산업기술 현황이 어떻게 운용되는지 거시적 측면에서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출발하며 제 2장 이론적 배경은 우리나라 국방분야의 4차 산업혁명 기술현황과 한국형 전투(선견·선결·선타)개념을 고찰하며 제 3장 군사 선진국의 국방로봇 기술 분석은 미국, 이스라엘, 독일의 무인 전투로봇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결국, 미래전은 첨단플랫폼을 기반으로 초연결· 초지능화 군(軍)으로 도약했을 때 전장을 지배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군(軍)도 국방로봇을 전투체계별 특징에 부합되게 연구·개발하고, 군사적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며 더 나아가 적의 사이버 및 전자전·우주 공격 등으로부터 아군의 핵심능력과 중심을 보호할 수 있는 전투수행 개념을 확대·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유과기 지벨렐린 도포제 처리에 의한 '신고'배의 과대지와 과실생장 변화 (Change in the Bourse Shoot and Fruit Growth due to the Gibberellins Paste in the Young Fruit of Niitaka Pear)

  • 최진호;박연옥;최장전;김명수;임순희;이한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97-501
    • /
    • 2011
  • 본 연구는 '신고'배의 재배과정에서 만개 후 35일에 GA 도포제를 처리하여 발생하는 과대지의 변화와 과실특성 및 품질변화의 양상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이상발육 과대지의 발생률은 GA 도포제 무처리군 27.5%, 25 mg 처리군 52.5%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과대지수와 꽃 수는 이상발육 과대지에서 감소하였다. GA 도포제 처리 후 배생육기간 동안 GA 도포제 25 mg 처리군의 과실비대량이 무처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수확기 과실의 당도, 산도, 과피색은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경도는 감소하였으며 과중과 바람들이 발생률은 무처리에 비하여 GA 도포제 25 mg 처리군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수확 후 저장기간 동안 GA 도포제 25mg 처리 과실의 경도는 무처리보다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 중량 감모율은 저장 후 60일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마늘즙 투여가 납중독 Rat에 미치는 효과를 N-Acetyl Penicillamine 해독 효과와 비교 (Effect of Garlic Juice on Toxicity of Lead in Rat Compared with N-Acetyl Penicillamine Action)

  • 서화중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7-33
    • /
    • 1996
  • 납중독에 대한 마늘의 antidotic effect를 조사하기 위한 4주간의 실험에서 , rat 체중 kg 당 중 (7일간) 1회초산납 100mg을 투여한 rat에 매일 마늘즙을 식이의 4%로 투여한 실험군(LG)과 초산납과 함께 중금속 해독제인 N-acetyl penicillamine을 매일 rat 체중 kg당 100mg 투여한 실험군 (LP)의 체중 증가율 비교에서 초산납만을 투여한 실험군(L)보다 LG군과 LP군 모두 유의성 있는 rat 성장률 개선효과 (각각 +13.3%과 +22.3%)를 보였다. L군 rat의 외관과 해부검사에서는 장기들(위, 간장, 신장)의 병변(damage)이 매우 미미하게 관찰되었으나 혈액검사에서 GOT, alkaline phos-phatase, blood uric acid, blood urea nitrogen, crea-tinine, bilitrubin 값이 유의적을 증가하여 납중독에 의한 장기(organs) 특히 신장 기능의 현저한 장해를 보였다. 그러나 LG군이 이들 측정값이 L군보다 유의성의 차로 낮은 값을 보여 LP군과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다. 특히 L군에서는 Pb 중독으로 인하여 hemo-globin 량이 정상 이하(10.37g/dl)로 감소되었으나 LG군에서는 L군에서와 같이 거의 정산 (12.32g/dl)을 유지하였다. L군의 혈액, 간장 및 신장의 납 합량은 각각 0.281, 0.250, 0.403ppm으로 대조군 보다 매우 높았으나 LG군은 대조군에 가깝게 그리고 LP군과는 거의 같은 수준(각각 0.182, 0.131, 0.253ppm)으로 낮아졌다. 이상의 실험 결과에서 마늘이 rat의 납중독에 미치는 효과를 N-acetyl penicillamine의 해독 효과와 비교할 때 마늘의 해독 효과라고 볼 수 있는 유의성있는 측정값들이 관찰되었다.

  • PDF

수엽(樹葉) 정유함량에 미치는 생물.화학적 (Induction Effect of Biotic and Chemical Elicitors Treatment for the Increase of Essential Oil Content from Trees)

  • 강하영;최인규;이성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8-12
    • /
    • 2002
  • 수목에 스트레스를 가하여 정유를 증수할 목적으로 화학적 스트레스 자극제 5종과 생물적 스트레스 자극제 4종을 선발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우선 정상적인 수목의 정유함량은 편백 2% 전후, 화백 1.6%, 소나무 0.4%, 잣나무 0.7%였으며, 상기 수종들은 모두 7월에 최대의 정유함량을 기록하였다. 또한 9종의 스트레스 자극제 처리 6개월 후 잎의 정유함량을 측정한 결과, 스트레스 자극제 처리에 의해 대체로 정류함량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자극제의 종류에 따라 변화가 없거나 또는 감소하는 경우도 있었다. 정유 증수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수종별 최적 스트레스 자극제로 소나무는 치마버섯(SCC), 잣나무는 과산화수소수, 편백은 치마버섯(SCC), 화백은 ${\beta}-pyridone$이 선발되었으며, 특히 과산화수소와 ${\beta}-pyridone$은 공시한 4수종에 광범위하게 효과를 나타내는 스트레스 자극제였다. 그러나 뽕나무버섯(ARM)과 소나무잔나비버섯(FOP)의 잣나무 처리군 및 치마버섯(SCC)의 화백 처리군에서는 오히려 정유함량을 감소시켰다.

한국(韓國)의 환자(患者) 및 건강인(健康人)에서 분리(分離)한 E.coli의 약제내성(藥劑耐性) 및 R Plasmids (Drug Resistance and R Plasmids of Escherichia coli in Patients and Healthy Individuals in Korea)

  • 설성용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18
    • /
    • 1977
  • 항균제(抗菌劑)로 치료(治療)한 환자(患者)와 항균제(抗菌劑)를 투여(投與)받지 않은 의사(醫師) 및 학생군(學生群)으로부터 총(總) 665주(株)의 E. coli를 분리(分離)하여 약제내성(藥劑耐性) 및 R Plasmid의 분포(分布)를 조사(調査)했다. 분리주(分離株)의 약(約) 25-41%가 chloramphenicol, tetracycline, streptomycin sulfisomidine 및 ampicillin(AP)에 내성(耐性)이었고 9.5%가 kanamycin에 내성(耐性)이었으며 nalidixic acid에 내성(耐性)인 균주(菌株)는 극히 드물었다. 내성주(耐性株)는 의사(醫師) 및 학생군(學生群)에서보다 환자군(患者群)에서 월등(越等)히 높았다. 4 또는 그 이상(以上)의 약제(藥劑)에 내성(耐性)인 다제내성주(多劑耐性株)는 의사(醫師) 및 학생군(學生群)보다 환자군(患者群) 분리주(分離株)에서 월등(越等)히 많은 반면 3제(劑) 또는 그 이상(以上)의 약제(藥劑)에 내성(耐性)인 균주(菌株)의 빈도(頻度)는 3군(群) 분리주(分離株) 사이에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4제(劑) 또는 그 이상(以上)의 약제(藥劑)에 내성(耐性)인 균주(菌株)를 보유(保有)하고 있는 사람은 의사(醫師) 및 학생군(學生群)보다 환자군(患者群)에서 그 빈도(頻度)가 높았다. 거의 대부분(大部分)의 약제(藥劑) 내성주(耐性株)는 모든 내성(耐性) 특히 AP 내성(耐性)을 접합(接合)에 의하여 약제감수성(藥劑感受性)인 E. coli에 전달(傳達)했다. 다제내성(多劑耐性)을 가지는 균주(菌株)는 그 근원(根源)에 관계(關係)없이 더 높은 빈도(頻度)로 약제내성(藥劑耐性)을 전달(傳達)하는 경향(傾向)이 있었다.

  • PDF

고양이에서 tiletamine-zolazepam과 medetomidine 마취에 대한 atipamezole의 임상적 길항 효과 (Clinical Antagonistic Effect of Atipamezole in Cats Anesthetized with Tiletamine-Zolazepam and Medetomidine)

  • 김형웅;박창식;전무형;정성목;김명철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04-108
    • /
    • 2007
  • 연구의 목적은 고양이에서 $Zoletil^{(R)}$과 medetomidine 약물 마취 시 atipamezole의 임상적 길항 효과를 보기 위함이다. 마취를 하고 다시 회복되는 동안에 체온, 심박수, 호흡수를 측정하였다. 이 연구에는 12 마리의 건강한 한국 잡종 고양이를 사용하였다. 각 6마리씩 무작위로 선별하여 대조군($Zoletil^{(R)}$ 과 medetomidine, ZM)과 실험군 ($Zoletil^{(R)}$, medetomidine 과 길항제인 atipamezole, ZMA) 두 군으로 나누었다. 모든 고양이들은 투여 전 15분, 주사후 5분, 25분, 65분, 105분에 평가하였으며, 길항제인 atipamezole은 마취 주사 후 20분에 근육 주사 하였다. 회복 시간, 심박수, 호흡수는 두 군간 유의성이 있는 결과를 보였고 체온은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두 군 모두 $Zoletil^{(R)}$과 medetomidine 마취 주사 후 4분 내에 횡와 되는 결과를 보였고 마취 시간도 3시간 가까이 지속해 고양이에 있어서 이들 약물이 좋은 마취 효과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회복 시 마취 부작용은 거의 보이지 않았다. 고양이가 마취에서 회복되어 기립 자세를 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ZM 군에서는 $210.8{\pm}45.6$ 시간으로 나타났고, ZMA 군에서는 $154.32{\pm}21.1$ 시간으로 나타났다. 길항제를 투여한 ZMA군에서 회복시간이 거의 한 시간 가까이 단축되어 ZMA 군이 ZM 군보다 회복이 빠르다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atipamezole은 medetomidine-tiletamine/zolazepam으로 병용 마취된 고양이에서 유용한 회복효과를 발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