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제주해녀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7초

제주 해녀의 식이성 톳 섭취를 통한 혈압 및 총콜레스테롤 감소 효과 (The Effect of Dietary Hizikia Fusiforme on the Reduction of Blood Pressure and Total Cholesterol in Jeju Women Divers)

  • 이한영;김종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471-47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제주 해녀를 대상으로 식이성 톳 섭취가 혈압 및 총콜레스테롤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20명의 현직해녀지원자를 10명씩 나누어 톳 섭취 집단과 톳을 섭취하지 않을 집단으로 구분한 후, 8주 간톳 섭취 집단에게 일일 100g의 식이성 톳을 밥과 함께 섭취케 하여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첫째, 톳을 섭취한 집단의 수축기 혈압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이완기 혈압은 두 집단 모두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집단 간 차이는 없었다. 셋째, 수축기-이완기 혈압 차이는 톳을 섭취한 집단은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톳을 섭취하지 않은 집단은 증가하였다. 넷째, 총콜레스테롤은 톳을 섭취한 집단에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지만 톳을 섭취하지 않은 집단은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톳을 일일 100g씩 밥과 함께 섭식함으로써 총콜레스테롤 감소 및 수축기 혈압 감소에 효과가 있었음을 나타낸다.

공동체 기반 자연환경의 지속가능한 이용 방안 -제주해녀의 공유자원 관리 사례- (Community-based Sustainable Use of Environment : a Case of Jeju-Haenyeo's Common Resource Management)

  • 김권호;권상철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9-63
    • /
    • 2016
  • 자본주의 사회의 확립 이후 전 지구적 차원의 환경오염과 경제적 양극화 등 다양한 사회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공유자원에 대한 논의가 증가하고 있는데, 공유자원 관리의 제도적 원리를 분석한 엘리너 오스트롬과 공동체 내부의 상호관계를 강조한 마리아 미즈가 대표적이다. 같은 맥락으로 이 논문에서는 과도한 자본주의 체제 안에서 야기되는 사회문제를 공유자원 관리체계를 통해 해결할 수 있음을 증명하고자 하며, 더 나아가 성공적으로 운영되는 공유자원제도의 원리를 파악함으로써 대량소비사회가 일으킬 자원부족시대의 대비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제주해녀 공동체의 공유어장관리를 우수사례로 선정하여 원리를 분석하였으며, 질적 조사를 통한 추가적인 원리 추출 및 확대적용 방법을 모색하였다. 제주해녀 문화에 대한 본질적 이해 및 향후 보전전략에도 일부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제주도 UNESCO 및 UNFAO 세계유산에 대한 인식 비교 - 지역주민과 관광객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Residents' and Visitors' Perceptions on Six Heritages in Jeju Designated by UNESCO and UNFAO)

  • 유원희;서세진;최병길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34-143
    • /
    • 2017
  • 제주는 2002년 유네스코 생물권보존지역 지정을 시점으로 15년간 총 5개의 유네스코 등재와 하나의 UNFAO 세계농업유산(GIAHS)에 등재되었다. 제주가 보유한 5가지 유네스코 타이틀은 생물권보존지역(2002), 세계자연유산(2007년), 칠머리당굿 무형문화유산(2009년), 세계지질공원(2010년), 해녀무형문화유산(2016년) 이며, UNFAO의 등재는 세계농업유산 제주밭담(2014년)이다. 이런 세계적 수준의 등재는 고도의 인식과 환경 보호의 가치를 상징하며 더불어 제주방문 관광객을 증가시키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러한 세계적 유산의 중요성에 비해 제주도민과 방문객 대상의 인식 측정 연구는 매우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도민과 관광객을 대상으로 제주의 세계적인 유산에 대한 인식과 인식 경로, 그리고 로고의 인식 여부와 세계적인 유산 등재에 따른 영향인식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과 가장 최근에 등재된 해녀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제주도민과 관광객의 인식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밭담과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에 대한 인식 수준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유산 로고에 대한 인식 여부에서는 유네스코 로고에 대한 노출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제주가 보유하고 있는 세계적 자연과 유산의 지속적 보호와 더불어 올바른 홍보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제주 해녀문화를 기반으로 한 어패럴디자인 개발 (The Development of Apparel Design based on JEJU Haenyeo Culture)

  • 김현미;장애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57-36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new method to develop the apparel design applied construction of traditional swimsuit wearing Jeju woman divers known as Haenyeo. Jeju Haenyeos are represented as an image of the diligent and strong woman. With such an image, they have become the symbol of Jeju women. Furthermore, Jeju Haeyeo culture will be rebranded. The Jeju woman divers wear special swimsuit (Mul-sojungii) when harvesting the various sea products. The Mul-sojungii was buttoned down the right side so that it could be easily removed. Therefore, it is to review the fashion design products for effective item applied the original or modified folding technique of Mul-sojungii. As a result, it was to develop the bolero, jump suit and dress design of Korean image using folding technique(Guljapgi) of Mul-sojungii that is one of the unique, indigenous construction of Jeju.

제주해녀 인류무형문화유산 유지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ustainability of Jeju Haenyeo, an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 류재호;정연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228-1231
    • /
    • 2017
  • The development of ICT brings the change in daily life and the digitized data are increasing in usage. The combination between GPS and internet results in extensive diffusion of space related information by way of smartphone, sensor and SNS. Jeju Island is only one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in Republic of Korea and deserves to be proud of the unique culture, having those designate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rom UNESCO such as Culture of Jeju Haenyeo or Women Divers and Jeju Chilmeoridang Yeongdeunggut or Exorcism of Praying big Catch. In this paper, I suggest how to preserve fadable tradition economically and technically and expect to develop Haenyeo fitted portable sensors and IoT platform.

제주 올레길 생태문화자원 경관생태학적 해석기법 연구 (Interpretation Method of Eco-Cultural Resources from the Perspective of Landscape Ecology in Jeju Olle Trail)

  • 허명진;한봉호;박석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28-140
    • /
    • 2021
  • 본 연구는 도보관광의 대표적 대상인 제주 올레길의 유형별 대표자원을 대상으로 Landscape Ecology 이론을 적용하여 생태문화적 특성을 파악하였고, 올레길 자원의 경관생태학적 해석 기법을 정립하였다. 제주 올레길 유형분류는 올레길 주변 대표경관, 주요 토지이용, 식생현황을 중심으로 비오톱유형을 조사하여 12개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제주 올레길 도보 관광자원 유형분류는 생태관광 자원분류 유형을 토대로 자연자원 7개 중분류 유형, 인문자원 7개 중분류 유형으로 구분하였고, 각 자원을 경관생태학 구성 체계와 동일하게 Geotope, Biotope, Anthropotope으로 특성화하여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였다. Geotope 자원은 해안 및 해변, 바위, 암반, 폭포, 지질 및 주상절리, 오름 및 분화구, 수자원, 지형경관 조망점 등이 해당되어 시각적 경관특성, Biotope 자원은 대경목 및 보호수, 곶자왈, 숲길 및 식생군락지, 생물서식지, 식생경관 조망점 등이 해당되어 생태특성, Anthropotope 자원은 해녀 및 전통문화, 포구 및 등대, 체험시설, 사찰 및 교회, 군사 및 봉수시설, 기타 역사·문화시설, 문화경관 조망점이 해당되어 지역문화 특성이 강하였다. 제주 올레길 유형별 대표자원은 제주에서만 볼 수 있는 해안, 오름, 곶자왈, 밭과 밭담, 제주가옥과 돌담이고, 제주 올레길의 생태문화를 알아보기 위해 올레길 유형을 대표하는 자원들의 구성요소와 다양한 기능들을 경관생태학적으로 해석하였다. 제주 해안의 생태문화적 특성을 살펴보면 해안은 검은 현무암 암반, 해안가 식생, 해안초지, 해안암반 식생, 겨울철새, 제주해녀 등이 있다. 오름은 독특한 화산지형으로 원형과 타원형의 산체, 오름 식생, 분화구 습지, 오름 지명 유래 및 전설, 설문대할망 설화, 말 방목 문화, 군사 목적의 사용, 민간신앙의 대상, 정상에서 조망경관 등이 있다. 곶자왈은 바위 요철 지형, 독특한 미기후 형성, 곶자왈 식생, 지명 유래, 과거 숯을 구웠던 문화, 기이한 형상의 나무와 덩굴식생이 특징이다. 밭담은 밭담구조 및 형태, 밭 재배 농작물, 밭담 서식생물, 제주 농업문화, 밭담경관 등이 있다. 마을은 현무암으로 쌓은 돌담과 지붕구조, 마을 어귀 정자목, 가옥내부 마당과 텃밭, 지역민들의 삶의 모습, 골목길 경관 등이 있다. 이런 자원들은 인간의 오랜 삶과 함께 서서히 변해왔고, 지금은 제주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독특한 경관이 되었다. 자원을 통합적으로 해석하여 특화된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올레를 걷는 도보 관광객들은 자원들의 스토리를 알아가면서 깊이 있게 체험할 수 있고, 올레길의 지속가능한 이용 및 이용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제주지역 해녀의 녹차분말 섭취가 혈중 지질, 혈소판 응집성 및 항산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een tea intake on blood lipids, platelet aggregation, antioxidant and liver parameters in Jeju volunteer diving woman)

  • 김미숙;강민숙;류성희;문영인;강정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6권4호
    • /
    • pp.324-331
    • /
    • 2013
  • We investigated dietary effects of green tea powder (GTP) on plasma lipids, platelet aggregation, hemolysis, plasma TBARS, and liver enzymes. Thirty one volunteer diving women living on Jeju island consumed 4 g green tea powder daily for a period of four weeks and data for the study subject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diagnostic criteria for blood pressure (BP)(${\geq}$ 140/90 mmHg), plasma total cholesterol (TC)(${\geq}$ 200 mg/dL), and triglyceride (TG)(${\geq}$ 150mg/dL). Subjects with high BP had significantly higher TC and TG than those with normal BP. Subjects with higher TC had higher TG, and those with higher TG had lower HDL cholesterol. Platelet aggregation in the initial slop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ubjects with normal BP, normal TC, or normal TG than their counterparts in high BP, TC, and TG. HDL cholesterol after GTP intake increased only in subject groups with normal BP, normal TC, or normal TG, and plasma TG after GTP intake decreased only in groups with higher BP, higher TG, or higher TC. Plasma TC and TG in subjects with normal BP increased after GTP intake. GTP intake caused a decrease in the initial slope of platelet aggregation in all subject groups with little effect on maximum aggregation. Total bilirubin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and GOT increased in all subject groups after GTP intake. Beneficial effects of short term intake of green tea powder might differ depending on the subject conditions in terms of blood pressure, plasma lipids, and other cardiovascular conditions. However, with the hypolipidemic, antithrombotic, and antioxidant actions of its bioactive flavonoids, long term usage of GTP or brewed green tea may provide preventive effects against cardiovascular disease.

제주도 동귀 어촌계의 잠수노력량 및 어획량분석 (Analysis of Catch and Effort by Diving women in Tonggui-ri, Cheju-do)

  • 정상철;홍영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1-48
    • /
    • 1993
  • 1984년부터 1992년까지 8년간의 제주도 동귀 어촌계의 작업일지 및 애월법인 어촌계 위판장의 계통판매자료를 분석하여 추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소라의 어획량은 9월에서 12월사이에 연간어획량이 $58.2\%$를 차지하며, 최대지속생산량은 2.5톤으로, 최근의 생산량은 최대지속생산량의 $10\%$에 지나지 않는다. 2. 전복과 오분자기의 최대지속생산량은 각각800kg, 750kg이지만, 최근 종묘생산 치패 방류로 생산량은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3. 해삼과 문어의 최대지속생산량은 각각 500kg, 2,500kg으로, 해삼은 다소 안정된 상태에 있지만, 문어는 현저한 감소상태에 있다. 4. 톳의 생산량은 다소 감소되고 있지만, 우뭇가사리는 매년 급증하는 추세로 1990년의 생산량은 1984년보다 약 5배에 이른다. 5. 1984년 기준의 해녀연령구조는 40대가 가장 많고, 1일 어획효율은 30대가 가장 높으며, 1인당 연간작업일수는 평균 101일이다. 6. 수협을 통한 판매율은 각각 소라, 톳, 우뭇가사리가 $100%$, 전복과 해삼은 각각 $25.5\%,\;61.1\%$, 오분자기, 문어는 각각 $0\%$이다.

  • PDF

한반도 해안염습지와 사구 염생식물 분포 (Distribution of halophytes in coastal salt marsh and on sand dunes in Korea)

  • 심현보;조원범;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64-276
    • /
    • 2009
  • 본 연구는 한반도산 염생식물 분포를 밝히기 위해 해안 염습지와 사구 95지역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남한의 해안과 섬지역 등에서 21과 44속 57종 4변종 1품종 등 62 염생식물이 기록되었다. 이 중 33분류군은 사구에 자라며, 나머지 29분류군은 염습지에 자라는 식물이다. 61지역이 조사된 서해안에는 58분류군이 분포하였으며, 이들 중 염습지에서는 나문재, 칠면초, 갈대, 갯잔디, 천일사초가, 사구에서는 수송나물, 갯완두, 갯길경, 갯메꽃이 많이 발견되었다. 한편 15지역이 조사된 남해안에는 서해안 보다 적은 45분류군이 분포하였다. 13지역이 조사된 동해안에는 44분류군이 분포하였으며, 흔히 발견된 식물은 수송나물, 갯완두, 갯메꽃으로 모두 사구식물이다. 해란초는 한반도에서는 동해안에서만 조사되었다. 6 지역이 조사된 제주도에는 30분류군이 분포하였다. 해녀콩은 국내에서는 제주도에서만 발견되었다. 한국산 염생식물 중 약 절반은 12종의 명아주과, 12종의 벼과, 7종의 국화과 등 3과에 속하였다.

제주 해녀의 한증과 인체측량, 생체전기임피던스 지표 및 삶의 질과의 연관성 분석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d pattern and Anthropometry, Bio Impedance Analysis (BIA) and Quality of Life in Jeju Haenyeo)

  • 이은영;김수정;이시우;차성원;이영섭;문수정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67-74
    • /
    • 2016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d-pattern and the quantitative index through the results of an anthropometric method and Bio Impedance Analysis (BIA) of the Haenyeo living in Jeju island. Furthermore, we will examine the effect of Cold-pattern on the quality of life. Methods : BIA indices were acquired directly from Inbody770 an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by Gallup Korea professional surveyor through face to face interviews. Binary regression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collected data. Results : Total of 175 of people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First, we examined the difference of the indicators in the Cold-pattern group and the non-Cold pattern group by the average comparison of the anthropometry and BIA indices. Most of the non-Cold pattern group showed high quality of life, BIA and anthropometr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d-pattern and anthropometry and BIA indices, BMI and PA indices were found to affect the Cold-pattern on a group basis. As the BMI increased by $1kg/m^2$, probability of not being non-Cold pattern was 1.13 times. and as the PA increased by $1^{\circ}$, probability of not being non-Cold pattern was 2.4 times. In the case of EQ5D value, the quality of life of ${\beta}$ was increased by 0.08 in non-Cold pattern (p <.05), EQ5D VAS of ${\beta}$ was also increased by 10.05 (p <.05). Conclusions : This study showed that BMI and PA could be used as a clinical index to evaluate the Cold-pattern as a clinical indicator, and there is a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Cold-patte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