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제주견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9초

mtDNA D-loop의 염기서열에 의한 제주견과 우리나라 재래견 및 외국견품종과의 유연관계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Jeju Dogs to Other Domestic and Foreign Dog Breeds Determined by Using mtDNA D-loop Sequences)

  • 김미경;김남영;이성수;김규일;양영훈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4호
    • /
    • pp.303-310
    • /
    • 2011
  • mtDNA D-loop 970 bp의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제주견과 우리나라의 토종견인 진도견, 풍산견, 삽살견과의 관계와 외국 품종들과의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초가변영역인 598 bp의 D-loop 부위가 보고된 염기서열들은 추가로 GenBank에서 수집하여 전체 30개의 품종으로부터 214종의 단상형들을 이용하여 AMOVA 분석을 하였다. 염기서열 분석결과 제주견에서 5종류, 진도견 4종류, 삽사리 4종류, 풍산견 5종류, 이스트라이카와 웨스트라이카(Canis familiaris) 각 2종류, 회색늑대(Canis lupus) 2종류, 코요테(Canis latrans) 2종류의 단상형을 얻었다. 한국, 일본, 중국, 유럽의 견품종 사이에 지역의 차이로부터 오는 변이성(1.4%)은 동일 지역에 서로 다른 품종들 사이의 변이(16.2%) 보다도 매우 적은 변이를 보이고 있었다. 개의 조상으로 여기는 늑대와 오늘날 개의 집단과의 염기서열 분산성분 분석에서 개(1.63%)와 늑대(3.64%)의 집단내 변이보다는 개와 늑대 사이의 진단간 변이(4.51%)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값을 근거로 하면 개와 늑대사이에 유전적 분기시기는 약 1~2백 만년 전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염기서열의 변이성과 유연관계분석에서 제주견, 진도견, 풍산견, 삽살견 모두 독특한 계통분기를 형성하지 못했다. 즉 이러한 결과는 국내 토종견들 사이와 또는 유입된 외래품종들 사이에 오랜 세월 동안 서로 상당한 교류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제주견에서는 삽살이, 진도견, 풍산견의 염기서열과 가까운 유연관계를 보이는 단상형들이 산포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제주견 집단이 우리나라 재래종들과의 모계조상에 있어서 구분은 어려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주견이 집단으로 고정정도를 가늠하는 Fixation index인 Fst값은 진도견, 풍산견, 삽살견 가운데 가장 낮게 나타났다.

딥러닝을 이용한 반려견 개체 인식 시스템 (Dog recognition system using Deep Learning)

  • 김동욱;이지현;공지혁;김황;곽호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519-520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최근 반려동물 등록제가 확대되고 있는 바, 기존의 마이크로 칩 삽입 방법을 회피하고 반려견 이미지를 통하여 개체를 인식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반려견의 전체 이미지를 학습시켜 해당 개체를 식별하는 지능형 시스템을 ResNe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구현하고, 수집된 반려견의 개체 사진을 학습시켜 필요한 개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온주밀감 과피 추출액을 이용한 직물의 천연염색

  • 임은숙;이혜선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4년도 제29회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64-64
    • /
    • 2004
  • 온주밀감은 제주도에서 재배면적 비율이 아주 높아 매년 많은 량이 생산되며 많은 과피 들이 폐기 처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제주도의 상징이며 변색방법이 간편하고 폐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천연염재로서 온주밀감 과피에서 염료를 추출하여 염 액의 농도, 염색온도, 염색시간, 염색횟수를 변인으로하여 면, 모, 견, 나일론직물에 염색 한 후 표면색과 염색성을 검토하였다. (중략)

  • PDF

진도개, 풍산개 및 잡종견의 혈액학치 및 혈액화학치에 관한 연구 (Studies on Hematologic Values and Serum Chemistry of Jindo, Poongsan and Mixed Dogs)

  • Sin-Keun Youn;Hiroshi Fujise;Yong Soon Lee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48-252
    • /
    • 1999
  • 본 연구는 진도개, 풍산개 및 잡종견의 혈액학 및 혈액화학치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총 80두가 본 조사에 이용되었으며 경기도지방, 제주도, 서울 및 전남지방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각각 진도개 30두, 풍산개 20두 및 잡종견 30두로 구성되었으며 성비는 각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진도개: 수캐=16, 암캐=14, 풍산개 : 수캐=9, 암캐=11, 잡종견: 수캐=15, 암캐=15). 연령은 진도개, 풍산개 및 잡종견 각각 1.3$\pm$0.9(년), 1.3$\pm$1.0(년), 1.3$\pm$ 1.6(년)이었다. 체종분포는 진도개, 풍산개 및 잡종견은 각각 9.0$\pm$4.5 kg, 9.8$\pm$4.0 kg, 8.4$\pm$4.7 kg이었다. 잡종견의 백혈구와 호중구수가 다른 두품종에 비해 유의성있게 높았다 (p<0.05). 풍산개의 림프구와 호산구수는 진도개와 잡종견의 수보다 높았다(p<0.05). 하지만 풍산개의 단핵구 수는 진도개와 잡종견보다 유의성있게 낮았다(p<0.05). 진도개의 콜레스테롤과 무기인 수준은 풍산개와 잡종개의 수준보다 낮았다. 잡종견의 중성지방(triglyceride)의 수준은 진도개와 풍산개의 수준보다 낮았다. 잡종견의 나트륨 농도는 진도개와 풍산개의 수준보다 낮았으며 진도견의 칼륨농도는 풍산개와 잡종견의 농도와 비교하여 높았다. 바베시아 검사에서 모든 품종에서 음성이었으며 심장사상충 검사결과 양성율은 잡종견, 진도견과 풍산견 각각 20%, 10%, 10%이었다.

  • PDF

제주도에서 채집된 청베도라치과(Blenniidae) 갈기베도라치 Scartella emarginata (First Reliable Record of the Maned Blenny Scartella emarginata (Perciformes: Blenniidae) from Jeju Island, Korea)

  • 김병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5-128
    • /
    • 2009
  •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자치어만 기록된 청베도라치과 갈기베도라치(Scartella emarginata)의 성체 1개체와 유어 2개체가 제주도에서 처음으로 채집되었기에 이들을 근거로 본 종의 형태적 특징을 상세하게 기재하였다. 갈기베도라치는 두부 정중선을 따라 부채살 모양의 피변이 있고, 눈의 상부와 비공에 분지된 1개의 피변이 있으며, 양턱에 견치가 없는 특징이 있다.

제주개의 microsatellite 마커를 이용한 유전적 다양성 분석 (Genomic Polymorphism Analysis Using Microsatellites in the Jeju Dogs)

  • 고민정;권슬기;김혜란;변재현;김대철;최봉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37-64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토종견인 제주개의 보존 보호를 위해 그에 대한 유전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개 7품종(제주개, 동경개, 독일 세퍼트, 진도개, 라브라도 레트리버, 풍산개, 삽살개)에 대해 총 139두와 microsatellite 마커 16종을 이용하여 대립유전자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16종의 marker에서 131개의 대립유전자 좌위를 확인하였고, 이 중 FH3381에서 18개의 가장 많은 대립유전자형이 확인되었으며 FH2834는 대립유전자형이 2개로 가장 적게 확인되었다. 또한, 마커별 기대되는 이형접합도의 전체적 평균치를 보았을 때 기대이형접합도와 관측이형접합도가 외래견보다 토종개가 높게 나타났고 PIC값은 0.000부터 0.862로 확인되었다. 제주개와 다른 품종 간의 계통수를 분석한 결과 삽살개와 94%로 가장 가까운 것으로 확인 되었다. 제주개와 다른 품종들 간의 유전적 거리를 확인한 결과 삽살개가 0.393으로 가장 가깝게 나타났고 토종개 중에서는 동경개와의 거리가 0.507로 가장 먼 것으로 나타났다. 개체별의 분포도를 살펴보면 제주개는 레트리버, 삽살개와 같은 그룹 내에 존재하였고 풍산개, 동경개, 진도개, 셰퍼트가 같은 그룹 내에 존재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확인된 유전적 특성 정보들은 제주개의 유전적 특성 연구에 이용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로 활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공학 및 사회 계열 대학생들의 STS 소양에 대한 견해 분석 (Analyzing Opinions Which University Students from Engineering and Social Science Department have about Science-Technology-Society Literacy)

  • 이용길;강경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4호
    • /
    • pp.43-50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STS(science-technology-society) 소양에 대한 대학생들의 관점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STS 소양에 대한 견해는 과학과 기술의 정의, 과학 기술 사회의 상호 영향으로 범주를 나누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제주 소재 3개 대학 공학계열 대학생(119명)과 사회계열 대학생(117명)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과 기술의 정의에 대해 공학계열 대학생들은 생활의 편리성을 중시했고, 사회계열 대학생들은 현상을 설명하고 실험하는 것이라고 응답했다. 둘째, 두 집단은 과학-기술-사회의 상호관련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두 집단은 과학기술자의 책임과 윤리, 기술의 이용 등에 대해 견해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대학생들은 STS 소양과 관련해 높은 인식 수준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대학 교육과정에서 STS 소양과 관련된 교과목을 개설하고 운영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제주견의 체형특성 및 행동패턴 조사연구 (Research of body characteristics and behavioral patterns in Jeju Dogs)

  • 오명운;박석재;배재호;권태준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69-74
    • /
    • 2016
  • Jeju Dogs have high academic value due to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s, but they have received little attention in the research field. This paper attempts to secure fundamental data to clar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Jeju Dogs. For this purpose, an inspection of the basic body shape was performed to establish the shape and breed standards. Jeju Dogs were also exposed to 12 behavior tests to check their distinct character categories and an objective ethogram was built on each of the character categories to conduct a behavior analysis. The body shape of 34 clinically healthy Jeju Dogs aged 18 months or older was inspected using ten divided parts. For the behavior analysis, 10 Jeju Dogs were examined. A variety of behavioral variables were recorded based on 12 behavior tests that were categorized into four characters: sociality, aggressiveness, anxiety and submissiveness. The results of the body shape inspection indicated that most of the male dogs' parts had larger measured values than the female dogs' parts. The behavior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the Jeju Dog displays excellent qualities such as submissiveness, reliability and fidelity and, hence, it is believed that this breed of dog is very appropriate for most duties and has the potential to be a household dog or working dog.

해조류를 이용한 천연염료 개발[1] (Development of Natural Colorants Using Algae)

  • 최민;신윤숙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1년도 제44차 학술발표회
    • /
    • pp.66-66
    • /
    • 2011
  • 우리나라 근해의 풍부한 해양자원인 해조류를 염재로 한 천연염료의 제조는 자원의 부가가치를 높일 뿐만 아니라 새로운 색소성분의 발굴과 함께 천연염색의 색상 다양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자생 해조류로부터 다양한 색상을 얻기 위해 여러 가지 추출공정을 사용하여 색소를 추출하고 염색성을 조사하여 새로운 염재로서의 유효성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한 해조류는 제주에서 자생하는 구멍갈파래, 청각이다. 해조류 색소를 추출하여 분말화 형태로 만들어 염색하였고 추출공정에 따른 다양한 색상 구현을 할 수 있게 되었다. 해조류 색소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UV-Vis, FT-IR 분석에 의해 그 성분을 확인하였다. 염색은 면섬유, 견섬유, 모섬유, 나일론섬유를 사용하여 염색하였다. 추출공정의 다양화를 통해 해조류 색소를 직물에 염색했을 때 직물의 색상과 염착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고, 세탁, 마찰 그리고 일광에 대한 견뢰도를 측정하였다. 색소의 기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해조류 색소분말의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추출공정을 달리하여 제조한 해조류 색소는 다양한 색상구현에 적합하였고, 견직물과 모직물에 염착이 잘 되었다. 또한 해조류 색소는 항균성을 지녀 향후 기능성 천연염료로서 응용가능성이 매우 클 것으로 전망된다.

  • PDF

국가지정 목조건축문화재의 흰개미(R. speratus kyushuensis) 피해 현황 분석 (An Analysis of Termite(R. speratus kyushuensis) Damage to Nationally Designated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 in Korea)

  • 김시현;정용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5권2호
    • /
    • pp.102-111
    • /
    • 2022
  • 흰개미는 사회성 곤충의 일종으로 목조건축문화재의 주요 손상 원인 중 하나이다. 흰개미 피해는 문화재의 원형 가치와 구조적 안정성을 저해하므로 흰개미 피해가 발생하기 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목조건축문화재 흰개미 피해 예방을 위한 기초 연구로, 전국에 분포한 국가지정 목조건축문화재의 흰개미 피해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국가지정 목조건축문화재 362건(국보 25건, 보물 157건, 국가민속문화재 180건), 1,104동을 대상으로 국립문화재연구원이 2016~2019년 실시한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종 조사' 결과를 통해 각 문화재별 흰개미 피해 현황을 정성적·정량적으로 확인하고 지역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362건 중 317건(87.6%)의 문화재에서 흰개미 탐지견의 반응이 확인되었으며, 185건(51.1%)에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흰개미 피해가 나타났고 두 방법(탐지견, 육안 조사) 중 하나라도 피해가 확인된 대상은 324건(89.5%)에 달했다. 1,104동의 건물 중 668동(60.5%)에서 흰개미 탐지견의 반응이 확인되었으며, 339동(30.7%)에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흰개미 피해가 나타났고 두 방법 중 하나라도 피해가 확인된 대상은 702동(63.6%)에 달했다. 전국을 9개 지역(수도권·강원·충북·충남권·전북·전남·경북권·경남권·제주)으로 구분하여 흰개미 피해율과 각 문화재의 피해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모든 지역에서 70% 이상의 문화재들이 흰개미 탐지견 반응이 나타났으며 육안 피해는 수도권(32.1%)과 강원(21.4%)이 적고 충남권(65.6%), 전남(67.3%), 경남권(68.2%)이 높은 피해율을 보였다. 총 부재 중 흰개미 피해가 발생한 부재의 비율로 각 문화재의 흰개미 피해 정도를 정량화한 결과 전국 문화재의 평균 흰개미 피해 정도는 9.2%로 나타났으며, 각 지역별 분산분석 결과 전북.전남의 문화재들은 수도권·충북·경북권의 문화재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흰개미 피해 정도가 나타났다. 본 논문을 통해 전국의 국가지정 목조건축문화재 흰개미 피해 현황을 세부적으로 파악하였으며, 이 결과는 향후 문화재 보존관리 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