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제왕절개분만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34초

대구지역 성인 여성의 요실금 유병률에 관한 연구 (The Prevalence of Urinary Incontinence of The Women in Daegu)

  • 박성철;고민환;이태형;윤현숙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1권1호
    • /
    • pp.60-66
    • /
    • 2004
  • 2001년 5월에서 11월까지 영남대학교 병원 산부인과 외래를 방문한 20세 이상의 환자 중 무작위로 선택한 41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고 이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구지역 여성들의 요실금 유병률 조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45.5세이었으며 유병률은 46.84%로 조사되었다. 2. 대상환자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요실금의 유병률이 높게 나타났다(p=0.00001). 3. 분만횟수가 증가할수록 요실금의 유병률이 증가하였다(p=0.007). 4. 제왕절개술에 비하여 질식분만시 요실금의 유병률이 높게 나타났다(p=0.001). 5. BMI, 유산, 폐경, 호르몬 요법, 당뇨병, 갑상선 질환, 만성 호흡기 질환은 요실금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117, p=0.145, p=0.546, p=0.256, p=0.241, p=0.343, p=0.185).

  • PDF

좌심방에 발생한 원발성 미분화 육종-1례 보고- (Primary Undifferentiated Sarcoma of Left Atrium)

  • 이석열;이승진;이만복;염욱;이길노;최두호;이동화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8호
    • /
    • pp.811-815
    • /
    • 1998
  • 원발성 심장종양은 대단히 희귀하며 원발성 심장종양가운데 25%정도가 악성종양이다. 저자들은 희귀한 원발성 좌심방 미분화 육종을 보고하는 바이다. 환자는 28세 여자로 임신32주에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심초 음파와 자기공명영상에서 좌심방의 80-90%를 차지하는 종양이 발견되어 점액종으로 진단하고 응급수술을 시행 하였다. 수술은 먼저 제왕절개술을 통하여 태아를 분만후에 체외순환하에 좌심방 절개를 하였다. 좌심방내의 심내막일부를 포함하여 종양절제후에 병리소견상 미분화 육종으로 판명되어 방사선치료후 현재 추적관찰중이다.

  • PDF

건강보험 청구명세서 자료를 이용한 제왕절개 분만율 위험도 보정의 효과 (Impact of Risk Adjustment with Insurance Claims Data on Cesarean Delivery Rates of Healthcare Organizations in Korea)

  • 이상일;서경;도영미;이광수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8권2호
    • /
    • pp.132-140
    • /
    • 2005
  • Objectives: To propose a risk-adjustment model from insurance claims data, and analyze the changes in cesarean section rates of healthcare organizations after adjusting for risk distribution. Methods: The study sample included delivery claims data from January to September, 2003. A risk-adjustment model was built using the 1st quarter data, and the 2nd and 3rd quarter data were used for a validation test. Patients' risk factors were adjusted using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c-statistic and Hosmer-Lemeshow test were us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risk-adjustment model. Crude, predicted and risk-adjusted rates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adjustment. Results: Nine risk factors (malpresentation, eclampsia, malignancy, multiple pregnancies, problems in the placenta, previous Cesarean section, older mothers, bleeding and diabetes) were included in the final risk-adjustment model, and were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mode of delivery. The c-statistic (0.78) and Hosmer-Lemeshow test ($x^2$=0.60, p=0.439) indicated a good model performance. After applying the 2nd and 3rd quarter data to the model,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c-statistic and Hosmer-Lemeshow $x^2$. Also, risk factor adjustment led to changes in the ranking of hospital Cesarean section rates, especially in tertiary and general hospitals.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a model performance, using medical record abstracted data, was comparable to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nsurance claims data can be used for identifying areas where risk factors should be adjusted. The changes in the ranking of hospital Cesarean section rates implied that crude rates can mislead people and therefore, the risk should be adjusted before the rates are released to the public. The proposed risk-adjustment model can be applied for the fair comparisons of the rates between hospitals.

제왕절개 분만 수유부의 모유, 티아민, 리보플라빈의 분비량과 영아의 섭취량 (The Yields of Volume, Thiamin and Riboflavin from the Milk of Cesarian-Section Women, and Their Ingestion in Infants)

  • 김을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2권1호
    • /
    • pp.83-89
    • /
    • 1999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yields of volume, thiamin and riboflavin from the milk of twenty-five Cesarean-section women, and their ingestion in infants. We measured the consumed volume of human milk of infants by the test-weighing method, and thiamin riboflavin contents were determined by fluorescence spectroscopy during the first 7 days postpartum. Thiamin contents of the milk averaged 24.3, 24.0, 27.4 and 30.2ug/100g. Thiamin and riboflavin contents of the milk both increased during the lactation ps mod(p<0.05). The first secretion of breast milk occurred from the 4th to 5th day postpartum in Cesarean-section women. The consumed volume of human milk was 63, 81, 104 and 133g/day at 4, 5, 6 and 7 days postpartum and the consumed volume of formula milk was 58, 176, 292, 323, 308, 321 and 318g/day at 1, 2, 3, 4, 5, 6 and 7 days postpartum and the consumed volume of formula from the human and formula milk were 26.6, 91.0, 151.0, 172.5, 169.2, 175.9 and 172.9ug/day. Total daily riboflavin ingestion from the human and formula milk were 26.6, 91.0, 151.0, 172.5, 169.2, 175.9 and 172.9ug/day. Total daily riboflavin ingestion from the human and formula milk was 48.7, 166.8, 277.6, 318.2, 312.0, 327.0 and 335.7ug/day at 1, 2, 3, 4, 5, 6 and 7 postpartum.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ilk secretion of Cesarean-section women is delayed a few days and the yield volume of milk is less than that of normal delivery women, but thiamin and riboflavin contents of the milk a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milk of normal-delivery women.

  • PDF

제왕절개 분만율의 지역간 변이에 영향을 미치는 의료기관 특성요인 분석 -의료보험관리공단 대상자를 중심으로- (Analysis of Institutional Factors Influencing Regional Variations in the Cesarean Section Rate)

  • 안형식;권영대;이영성;김명기;김용익;신영수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7-41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cesarean section rate in Korea and analyze characteristics of health care institution which affect regional variation in the rate. We have searched vaginal and cesarean section deliveries among Diagnosis Related Group dat based upon insurance claim bills which have been submitted to Korean Insurance Corporation for two years since March, 1985.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Out of all delivery cases of 87,500, cesarean section rate was 16.3% (14,299 cases). 2. Cesarean section rate varied according to size and ownership of health care institutions. In above 6- bed sized hospitals, the rate was at about 20% higher than small sized institutions, but rather in hospitals that have more than 500 beds, it was somewhat low. Classified by the hospital ownership, the rate was low at 18.4% in hospitals of religious organization and highest at private or corporate hospitals. 3. This study shows large regional variation in cesarean section rate; there are two times differences between region with the highest and lowest rate. Strongly related factors in that variation was the ownership of health care institution and urbanization variables. Low level of cesarean section rate in a region is explained by high proportion of delivery cases at institutions of religious organization and at insitutions in county level site. This result shows that apart from medical conditions of patients, indications of cesarean section differs from health care providers, and especially ownership of institution strongly affect them. Cesarean section rate in Korea is supposed to be at high level and development of utilization review programs to keep appropriate cesarean section rate is needed.

  • PDF

허리 안정화 운동과 병행한 엉덩근육 강화 운동이 제왕절개 분만 후 만성허리통증을 가진 여성의 통증, 기능장애지수, 산후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Gluteus Muscle Exercise combined with the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on Pain, ODI, and Postpartum Depression in Women with Chronic Back Pain After C-section Delivery)

  • 손민지;이명호;김명권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1-42
    • /
    • 2023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bining the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with the gluteal muscle strength exercise on pain, the dysfunction index, and postnatal depression in women experiencing chronic low back pain after a cesarean section. Methods: The study used a randomized design with two groups: one group (n=15) performed the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along with the gluteal muscle strength exercise, while the other group (n=15) only did the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The intervention consisted of 30 minute exercise sessions, twice a week, for 6 weeks. The pain was assessed using the visual analog scale (VAS), the dysfunction index with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and postnatal depression using the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Korean version (EPDS-K). Results: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ir VAS, ODI, and EPDS-K scores within their respective groups (p<.05). Additionally, the between-group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t-test results (p<.05). Conclusion: The combination of the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and the gluteal muscle strength exercise proved to be more effective in reducing pain, improving the dysfunction index, and alleviating postnatal depression in women with chronic low back pain after a cesarean section. Therefore, incorporating these exercises could be beneficial as an intervention program for women experiencing chronic low back pain after a cesarean section.

  • PDF

흉선의 크기와 주산기 질환들과의 관계 (Thymus Size and Its Relationship to Perinatal Disease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nd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 정선미;김우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7호
    • /
    • pp.855-861
    • /
    • 2002
  • 목 적: 흉선의 크기는 여러 가지 요인과 관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주산기 환아의 상태를 짐작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흉부 방사선 사진의 심흉선/흉곽 비율을 통해 흉선의 크기를 간접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통한 흉선의 크기와 호흡곤란증후군과 자궁내 발육지연과 같은 주산기 사건(perinatal event)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0년 6월부터 2001년 10월까지 1년 5개월간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호흡곤란증후군 환아 51명, 감염 등 다른 질환이 동반되지 않았던 자궁내 발육지연 환아 27명 및 대조군으로 패혈증 소견이 없었던 조기양막파수 환아 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흉선의 크기는 생후 6시간 이내 촬영한 흉부 방사선 사진에서 심흉선/흉곽 비율로 측정하였으며, 호흡곤란증후군 환아는 생후 2-3일째, 생후 5-7일째에도 심흉선/흉곽 비율을 측정하였다. 결 과 : 1) 호흡곤란증후군군, 자궁내 발육지연군, 조기양막 파수군의 심흉선/흉곽 비율이 각각 $0.46{\pm}0.07$, $0.32{\pm}0.04$. $0.36{\pm}0.06$으로 세군 간의 심흉선/흉곽 비율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P<0.01). 2) 호흡곤란증후군군에서 생후 6시간 이내, 생후 2-3일째, 생후 5-7일째의 심흉선/흉곽 비율이 각각 $0.43{\pm}0.07$, $0.34{\pm}0.06$, $0.25{\pm}0.04$으로 호흡곤란 소견이 호전됨에 따라 심흉선/흉곽 비율의 감소가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P<0.01). 3) 출생시 재태연령에 따른 세 군 간의 회귀분석 상에서 심흉선/흉곽 비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P>0.05). 4) 출생시 전체 환아의 재태연령과 심흉선/흉곽 비율간의 상관분석은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P<0.01). 5) 출생시 정상질식분만과 제왕절개분만 방법에 따른 호흡곤란증후군군, 자궁내 발육지연군, 조기양막파수군 및 전체에서의 심흉선/흉곽 비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P>0.05). 6) 출생 전 dexamethasone을 사용한 군(n=33)과 사용하지 않은 군(n=17) 간의 심흉선/흉곽비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P>0.05). 결 론: 흉부 방사선 사진에서 흉선의 크기를 평가하여 주산기 질환 중 신생아 호흡곤란증군, 자궁내 발육지연과 같은 주산기 질환들의 진행 여부 및 변화를 예측하고 조기 진단에 이용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우리나라의 모자보건사업 (여성과 어린이 건강문제와 증진방안)

  • 박정한
    • 대한예방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예방의학회 2002년도 전공의 연수교육 강의집
    • /
    • pp.3-17
    • /
    • 2002
  • 국민건강은 국가발전의 기본조건이다. 국민건강은 건강한 어린이의 출산에서 비롯되고, 건강한 어린이의 출산을 위하여 여성이 건강해야 한다 따라서 여성과 어린이 건강보호와 증진을 위한 모자보건사업은 국가보건사업 중 최우선 사업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모자보건사업은 1960대부터 보건소를 통하여 가족계획, 산전관리, 안전분만유도, 예방접종을 중심으로 하였다. 1980년대에 들어와 전국민의료보험의 실현과 국민생활수준의 향상 등으로 산전관리 수진율과 시설분만율이 급격히 증가하여 1990년대 후반에는 거의 100%에 도달하였고, 가족계획실천율도 1991년에 79.4%까지 증가하여 합계출산율이 1.6으로 감소하였고, 어린이 기본예방접종률도 90%이상이 되어 전염병 발생률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전통적인 모자보건사업 관련 지표들이 이렇게 향상되자 일선 보건요원에서부터 중앙정부의 정책결정권자에 이러기까지 모자보건사업에 대한 관심도가 떨어져 중앙부처의 모자보건업무 담당 부서도 축소되고, 모자보건 사업도 쇠퇴하였다. 그러나 어린이와 여성의 건강실태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심각한 문제들이 대두되고 있다. 시설 분만율의 증가에 따라 제왕절개분만율이 40%대까지 급증하였고, 모유수유률은 10%대로 떨어졌다. 어린이의 체격은 커지고 있으나 체력은 떨어지고, 비만한 어린이가 급증하여 당뇨병과 같은 성인병 유병률이 어린이들에게 증가하고, 사고에 의한 어린이 사망과 장애가 늘고 있다. 또한 청소년들의 흡연율과 음주률이 증가하고, 성적 성숙이 빨라지고 사회의 개방풍조로 성(性)활동 연령이 낮아지고 성활동이 증가하여 혼전임신과 성폭력이 증가하고 있다. 여성들은 일찍 단산하고, 폐경 연령은 높아지고, 평균수명은 길어져 중년기와 장년기 그리고 노년기가 길어져 각종 만성질환에 이환될 기회가 늘어났다. 이러한 시기의 중요 건강문제들은 뇌혈관질환, 폐암, 유방암, 골다공증, 뇨실금 등과 같이 해결하기 어려운 것들이다. 이렇게 어린이와 여성들에게 새로운 건강문제들이 대두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대응정책이 없었고, 따라서 새로운 모자보건사업이 개발되지 않았으며 일선 보건요원의 훈련도 없었다. 그리고 이러한 건강실태를 파악하여 대책을 마련하고, 보건사업을 평가할 수 있는 보건정보체계가 없는 실정이다. 1990년대 중반에 소수의 학자들이 어린이와 여성건강문제의 심각성을 제기하고, 모자보건사업 활성화의 필요성을 주장하여 보건복지부가 '모자보건선도보건사업'이라는 이름으로 1999년부터 2001년까지 3년간 23개 보건소에서 시범사업을 시행하였다. 이 시범사업에서는 한정된 자원으로 여성과 어린이 보건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보건사업의 개발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의 개발에 역점을 두어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시범사업의 경험을 바탕으로 2002년에는 전국의 45개 보건소로 확대해나가고 있다. 모자보건선도보건사업에서는 임산부가 대상이었던 기존의 모자보건사업과는 달리 신생아, 영유아, 학동기 어린이, 청소년, 그리고 신혼부부에서부터 장년기 여성에 이르기까지 사업대상을 확대하고 생애주기에 따라 지역사회 건강문제해결을 목표로 한 보건사업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사업수행 과정에서 보건소는 지역내 대학과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기술적 지원을 받고, 보건요원의 교육 훈련을 통해 사업기획 능력과 전문지식과 기술을 향상시켰고, 보건교육에 필요한 시설과 장비를 구입하였고, 민간의료기관과 연계하여 보건서비스의 질을 향상시켰다. 모자보건 선도보건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취약계층 중심의 보건교육, 상담 및 지도, 고위험대상자 조기발견 및 민간기관 의뢰 및 주구관리, 질병 조기발견을 위한 검진 의뢰, 지역 보건통계 생산과 관리, 그리고 지역내 가용자원 안내 등이며, 저소득층에 대해서는 민간의료기관에 의뢰 또는 검진비용을 지원하였다. 이와 같이 지역사회 민간기관과 협력체계를 구축함에 따라 대상자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정보를 공유하게 되었고,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치료, 사후관리를 포함한 지속적이고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고위험 및 건강의심 대상, 임부와 장년기 여성에 대해서는 건강검진서비스를 과감히 민간기관에 의뢰, 위탁하친 보건소는 상담자, 정보관리자로서의 역할로 전환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사업관리자의 양적 평가에 대한 고정관념과 질적 평가에 대한 인식부족, 기본 생정통계와 정보체계의 미비로 인한 부정확한 통계생산, 사업요원의 전문지식과 기술 부족, 그리고 인력부족 등이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 효율적인 사업확산과 조기 정착을 위해 중앙정부의 일관성 있는 정책과 재정적 지원이 필수적이며, 보건정보체계확립, 그리고 공공보건기관과 민간의료기관간의 공식적인 협력체계확립이 필요하다. 사업추진 모니터링 및 평가, 조정을 위하여 중앙에 '모자보건 선도사업 기술지원단'을 구성하여 운영하고, 프로그램 운영이 잘되는 보건소를 특성화 보건소로 지원 육성하고, 사업요원의 업무 적정화를 위한 보건소 조직과 기존 보건사업체계의 평가와 재편이 필요하다. 보건사업요원의 자질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 훈련 시스템과 보건통계생산 관리를 위한 정보체계의 구축이 요구된다. 모자보건사업관련 보건교육자료를 수집하고 개발하여 전국 보건소에 공급하는 중앙 보건교육자료 및 정보센터가 필요하다.

  • PDF

단일기관에서 도출된 출생 후의 경피적 빌리루빈의 노모그램 (Nomogram of Transcutaneous Bilirubin Level after Birth Driven from a Single Center)

  • 한영지;김은령;이명숙;이원욱;박수화;이정주
    • Neonatal Medicine
    • /
    • 제17권1호
    • /
    • pp.102-108
    • /
    • 2010
  • 목 적 : 신생아 황달은 신생아기에 가장 흔한 질환 중 하나로 핵황달과 같은 심각한 후유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기발견과 치료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경피적 황달 측정을 이용하여 황달 수치(TcB)를 측정하고 황달 수치의 변화를 노모그램으로 산출해 건강한 신생아황달의 자연경과를 살펴보고 추적 관찰과 치료가 필요한경우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7년 10월 1일부터 2009년 4월 30일까지 성애병원에서 출생한 재태연령 35주 이상의 건강한 만삭아와 준만삭아 중 부모가 모두 한국인인 98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출생 6시간 후부터 6시간 간격으로 퇴원시까지 경피적 황달 측정기(Minolta, JM-103)을 이용하여 이마에서 측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얻어진 데이터로 노모그램을 산출하였다. 분만방법, 재태연령, 수유방법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 과 : 통계 데이터를 통해 시간에 따른 백분위수 그래프가 그려졌으며, 재태기간 35주에서 37주 6일의 신생아에서는 90 백분위수 이상, 38주 이상은 95 백분위수 이상에서 광선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생후 24시간, 48시간, 72시간, 96시간에 TcB 수치의 평균을 분만방법, 재태연령, 수유방법에 따라 비교하였을 때 생후 48시간에서 제왕절개로 출생한 신생아가 자연분만으로 출생한 신생아에 비해 TcB 수치가 의미 있게 높았으며, 나머지 시간에서는 통계학적 의미가 없었다. 이외 수유방법에 따른 두 군의 비교에서는 모든 시간에서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 결 론 : 편리하고 비침습적인 경피적 황달 측정기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TcB 수치의 변화를 노모그램을 산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심각한 황달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분당 차병원에서 출생한 신생아 혈압치 비교 (Blood Pressure of Healthy Newborns in the First Week of Life)

  • 이정선;박신이;박혜원;김세현;하태선;이준호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9권1호
    • /
    • pp.8-14
    • /
    • 2005
  • 목 적 : 정상 만삭아의 혈압을 측정하여 우리나라 신생아의 평균혈압을 알고 기존의 참고치로 사용되고 있는 외국 자료와 비교하고 신생아 고혈압 선별에 도움이 되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3년 5월부터 2004년 1월까지 포천 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에서 출생한 건강한 신생아 중 남아(194명), 여아(189명) 총 383명을 대상으로 진동식 자동 혈압계로 1-3회 측정하여 총 773회를 혈압치를 수집하였다. 전체 대상아의 평균 혈압과 성별 간, 분만 방법 간, 이상 병력의 유무(산모 질환, 주산기 과거력이나 단일제대 동맥 중 하나라도 있는 경우)에 따른 혈압의 차이를 구하고 출생체중과 재태기간에 따른 수축기 혈압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결 과 : 전체 대상아 383명의 수축기 혈압은 70.8$\pm$10.9 mmHg, 이완기 혈압은 43.4$\pm$8.0mmHg 이었다. 성별 간 비교에서는 남아의 수축기 혈압은 71.1$\pm$11.4 mmHg, 이완기 혈압은 43.6$\pm$8.2 mmHg, 여아의 수축기 혈압은 70.5$\pm$10.3 mmHg, 이완기 혈압은 43.2$\pm$7.7 mmHg로 성별 간 혈압의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분만 방법의 차이에 따른 혈압의 비교에서는 혈압 측정한 날을 수정하여 비교한 결과 제왕절개를 한 군과 질식분만을 한 군 간의 혈압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이상 병력의 유무에 따른 혈압의 비교로는 이상 병력이 있는 군은 72명으로 수축기 혈압이 71.5$\pm$12.3 mmHg, 이완기 혈압이 43.4$\pm$8.5 mmHg이었으며, 이상 병력이 없는 311명의 신생아는 수축기 혈압이 70.6$\pm$10.5 mmHg, 이완기 혈압이 43.4$\pm$7.9 mmHg로 두 군 간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또한 출생체중과 재태기간이 증가할수록 수축기 혈압은 상승하였다.(r=0.1420, 0.0360)결 론 : 본 연구에서 건강한 신생아 383명을 대상으로 혈압을 측정한 결과 기존의 외국 데이터와 유사하였고, 이를 토대로 신생아 고혈압의 조기선별하고 치료를 시작하여 그 주요 원인이 되는 신질환 합병증의 예방과 신기능의 유지에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