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제빵

검색결과 559건 처리시간 0.024초

다시마가루를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Containing Laminaria Powder)

  • 권은아;장문정;김선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06-41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다시마의 생리 활성과 기능성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식빵의 제품화 가능성을 탐색할 목적으로 다시마 가루를 2.5%,5%, 7.5%첨가한 식빵을 제조하여 식빵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가장 적절한 다시마 가루의 첨가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다시마 가루를 첨가한 반죽의 제빵 적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온도 27$\pm$1$^{\circ}C$, 상대 습도 75%의 발효 조건에서 90분간 반죽의 발효팽창력을 측정한 결과, 다시마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팽창력 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2.5% 다시마 첨가 수준에서는 대조군과 비슷한 발효팽창력을 나타내었다. 다시마 가루 첨가 식빵의 부피는 다시 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2.5% 다시마 첨가시까지는 부피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시마첨가 식빵의 무게는 크게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7.5% 첨가시에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색도 측정 결과 식 빵 내부의 명도를 나타내는 L값, 적색도를 의미하는 a값은 다시마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다시마 가루 첨가량이 증가함께 따라 증가하였다. 즉, 다시마 가루를 첨가할수록 명도는 줄어들고, 적색이 감소하면서 황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식빵의 조직감을 보면 다시마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견고성, 부서짐성은 증가하였으나 점착성, 탄력성, 응집성은 다시마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관능검사 결과는 20대 여대생과 50대 주부의 두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두 집단간에 다시마 가루 첨가 식빵에 대한 기호가 유의적으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여대생의 경우 다시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기호도가 감소하였으나 2.5% 다시마 첨가군에 대한 평가는 전반적으로 좋게 나타났다. 반면 50대 주부들의 경우에는 2.5% 다시마 첨가한 식빵에 대한 평가점수가 대조군보다 높았다. 5% 다시마 첨가에서도 대체적으로 대조군과 비슷한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시마 가루를 2.5% 첨가한 식빵을 제품화하면 일반적인 식빵에 비해 다시마의 생리 효능을 활용하면서 소비자들의 높은 호응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탈당(脫糖)된 육계와 돼지 혈장분(血漿粉)의 상온 저장에 따른 색깔, 단백질 함량, 용해도, 기포력과 pH 변화 (Changes in Color, Protein Content, Solubility, Foaming Capacity and pH of Desugarized Brolier and Porcine Plasma Powder During Storage at Room Temperature)

  • 이재준;이영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658-664
    • /
    • 1999
  • GOD (glucose oxidase)나 제빵용 효모를 사용하여 포도당이 제거된 육계와 돼지 혈장분의 상온 저장중 색깔, biuret 단백질 함량, 용해도, 기포력과 pH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혈장분의 종류와 혈당 제거 법과는 상관없이 실험기간 동안 혈당이 제거된 혈장분은 해당 대조구보다 "L" 값이 같거나 높았으며 "a" 값과 "b"값은 낮았다(P<0.05). 축종 또는 혈당 제거 방법과는 상관없이 탈당된 모든 시료의 단백질 함량과 용해도는 상온 저장중 해당 대조구보다 항상 높았고 저장 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대체적으로 탈당된 육계와 돼지 혈장분 기포력은 해당 대조구와 비슷하거나 높았다. 그러나 돼지 혈장분의 기포력은 육계 혈장분과는 다르게 실험기간 동안 탈당된 돼지 혈장분과 상응하는 대조구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육계 대조구와 GOD로 혈장 포도당을 제거한 육계 혈장분의 pH는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였지만 효모로 포도당을 제거한 육계 혈장분과 모든 돼지 시료의 pH는 실험 기간중 증가하였다가 감소하였다. GOD로 포도당을 제거한 육계 혈장분이 해당 육계 시료 보다 낮은 pH값을 보인 반면 돼지 혈장분에서는 대조구가 상응하는 실험구보다 항상 낮은 pH 값을 나타내었다(P<0.05). 육계와 돼지 혈장의 포도당을 제거한 후 혈장을 건조시키면 혈장분의 색깔, biuret 단백질 함량, 용해도 그리고 기포력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 PDF

화학 첨가제와 밀가루의 열처리가 제빵 특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hemical additives and heat treatment on the baking properties of wheat flour dough)

  • 이지은;고봉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9-125
    • /
    • 2004
  • Mixograph를 이용하여 반죽의 물성에 미치는 화학첨가제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ammonium ferric citrate와 ferric sulfate는 0.1% 수준에서는 밀가루 반죽의 탄성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MgSO$_4$, CaCl$_2$ 및 ZnO는 반죽의 탄성을 증가시키며 최적반죽시간을 연장시켜 반죽 시간이 길어졌다. 그러나 Ca과 Mg을 각각 갖는 calcium citrate와 MgCl$_2$는 반죽 시간이나 탄성에 뚜렷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빵의 부피에 미치는 영향은 0.1% MgSO$_4$와 CaCl$_2$가 브롬산 칼륨을 전혀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보다 부피 팽창이 더 커져서 브롬산 칼륨과 같은 팽창제로서의 기능을 확인하였으며, 이들을 첨가한 빵의 속과 겉껍질의 색은 모두 대조구보다 더 밝아서 첨가한 화학첨가제들이 빵의 색을 밝게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밀가루의 내재된 효소를 불활성화 시키기 위하여 볶음처리와 UV 및 microwave 조사된 밀가루는 최적 반죽시간을 초과하여 계속 반죽하여도 최적반죽시간 후 반죽의 탄성저하현상이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하여 감소되어 반죽의 안정성이 향상되었으나, 열처리한 밀가루로 제조한 빵은 부피가 대조구에 비하여 적었으므로 열처리는 반죽의 안정성은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빵의 부피 증가에는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복령(Poria cocos) 재배기술의 변천과 실용화 (Changes of the cultivation methods of Poria cocos and its commercialization)

  • 조우식;유영복;홍인표;김동근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03-307
    • /
    • 2013
  • 한국에서의 복령연구는 형태학적 관찰 및 특징, 채집기, 재배방법, 복령균의 배양학적 특성연구 (홍과이, 1990), 1994년 농촌진흥청에서 복령의 인공재배법이 개발되면서 드링크제, 제빵제재 등의 식품화연구도 2000년대 초까지 진행되었다. 복령의 에탄올추출물은 폐암, 난소암, 피부암, 중추신경암, 직장암 세포 성장에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등 항암효과 등의 기능성이 입증되었다(권 등, 1998). 하지만 현재까지도 복령의 수요를 천연채집 및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서 재배시 고품질, 다수확을 위한 인공재배방법을 개선해야할 필요가 있다. 최근에는 경북농업기술원과 신농버섯연구소 등에서 지상에서 재배법을 시도하기도 하였다. 또한 최근의 재배사례에서는 부적절한 재배시기를 선택하는 등의 사유로 실패사례를 간혹 볼 수 있다. 최근 복령의 주요 수출국인 중국이 수출을 제한하여서 지난 4년간 복령가격이 113% 인상되는 등 복령의 국내공급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까지 개발된 복령의 지상재배법과 지하재배법의 장점만을 이용한 새로운 방법의 복령인 공재배기술의 확립이 요청된다.

파래를 이용한 빵 반죽의 이화학적 물성에 관한 연구 (Rheological Properties of Bread Dough Added with Enteromorpha intenstinalis)

  • 임은정;이유현;허채옥;권순형;김지영;한용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652-657
    • /
    • 2007
  • 파래 분말 첨가 시 제빵 적성에 요구되는 반죽의 이화학적 특성 및 빵의 품질 특성을 검토하고 파래 분말 첨가가 빵의 기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파래 분말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밀가루 양에 대한 파래 분말 첨가량을 0, 1, 2, 3, 4%로 각각 달리 하여 빵 반죽을 제조한 후 물리학적, 관능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반죽의 물리적 특성 중 farinogram의 측정 결과 파래 분말 첨가량 증가에 따라 흡수율은 증가하였고 반죽 형성 시간과 안정도는 짧아졌으며 약화도는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Extensogram에서 파래 분말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신장도는 짧아졌고 저항도는 감소하였다. Amylogram 측정 결과 파래 분말 첨가량 증가에 따른 호화개시온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고 최고 점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파래 분말 첨가량을 0, 1, 2, 3, 4%로 각각 달리하여 제조한 빵을 표피의 색, 향미, 촉촉한 정도, 부드러운 정도, 저작성 정도와 전반적인 기호도에 대한 관능적 특성에 대한 평가 결과는 색, 냄새, 부드러운 정도, 저작성과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1%와 2% 처리구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2% 첨가구가 가장 기호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빵용 우리밀과 수입밀 원맥의 이화학, 미생물, 항산화 특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Microbi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in Domestic and Imported Wheat Kernels for Bread Making)

  • 곽한섭;김미정;허정애;김민정;심재원;김의웅;김훈;김상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7-23
    • /
    • 201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hysicochemical, microbi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domestic and imported wheat kernels for bread making. Two domestic (JK1, 2) and three imported (ND, DNS, and CWRS) kernels were compared. Domestic kernels had higher moisture contents, and lower ash and protein contents (p<0.05). In grain characteristics, JK1 had 13.62% of damaged kernels, which was the highest among the samples (p<0.05). JK2 was similar to imported kernels in the ratio of sound kernels, foreign materials, and damaged kernels. Kernel size of JK1, 2 was larger than the imported kernels; therefore, kernels area and perimeter were higher by the image analyzer. Domestic kernels hid lower total aerobic counts the imported kernels (p<0.05). Domestic kernels and DNS had no yeast, while NS and CWRS had yeast in kernels. DNS (3.08 mg gallic acid equivalent (GAE)/g) had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 (TPC), followed by JK1 (2.81 mg GAE/g). JK2 had the lowest amount of TPC as 2.26 mg GAE/g. Total flavonoid content (TFC) was the highest in DNS as 0.44 mg catechin equivalent (CE)/g and JK2 was the lowest as 0.12 mg CE/g. Domestic wheat kernels had lower protein content and lightness than the imported wheat kernels so that flour from domestic wheat kernels may have lower quality for baking.

쟈스민차가루를 이용한 식빵의 특성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Jasmin Tea Powder)

  • 황윤경;현영희;이윤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1-46
    • /
    • 2004
  • 쟈스민차의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쟈스민차 식빵의 무게, 부피, 색도를 비교하고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효과적인 배합비를 찾고자 하였으며, 식빵에 식이섬유가 다량 함유된 부재료를 첨가하는 경우 부피가 감소하여 제빵적성이 감소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쟈스민차가루를 첨가하여 색과 향을 살리면서도 부피의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활성 글루텐을 첨가하여 비교 실험하였다. 쟈스민차가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식빵의 무게는 점차 증가하였으며(p<0.05), 쟈스민차가루를 첨가한 식빵의 부피는 첨가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활성 글루텐 첨가에 의해서는 유의적인 부피의 보정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쟈스민차가루를 첨가한 식빵 내부의 색도는 쟈스민차가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명도(L)는 현저하게 낮아졌으며, 적색도(a)는 쟈스민차가루를 첨가함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황색도(b)도 쟈스민차가루 첨가에 따라 점차 높은 값을 나타내어 쟈스민차 첨가 시 내부 색은 어두워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능검사 결과 맛과 풍미, 색, 조직감 모두 대조군을 제외하고는 2%, 3%군이 유사하게 높아, 전체적인 선호도는 쟈스민차 가루 2%, 3%, 3%+군이 유의한 차이 없이 대조군에 이어 높게 나왔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쟈스민차가루의 첨가량은 3%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식빵 제조시 쟈스민차가루를 이용함으로써 쟈스민차가루의 기능성과 영양성분, 맛, 색, 향을 이용하여 제품의 다양성을 살릴 수 있다고 사료되며, 이 결과는 우수한 품질의 쟈스민차빵 개발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e correlation between self efficacy and controllability. Particularly,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self efficacy and external controllability. Based upon these results, it is recommended that the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s to change causal attribution and self-efficacy is necessary. A number of theoretical relationships and empirical finding are confirmed by this data, and future proposals in research is suggested. 따라서 교사들의 관심유형과 실행수준에 따라 수행평가에 대한 지원을 달리함으로써 교사들의 관심도와 실행수준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며 보다 효과적인 수행평가가 실시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갈색 정도의 차이 문제이지 갈색란을 좋아함을 알 수 있었고, 교육에 의해 조금씩은 고정 관념을 바꿀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ique impact at 0.70 km/s and 0.91 km/s were compared with experimental results and Eulerian hydrocode CTH simulation results. The Lagrangian code NET3D is superior

쌀겨를 첨가한 머핀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 Added with Rice Bran)

  • 강호진;박종대;이현유;금준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81-687
    • /
    • 2012
  • 영양적, 기능적으로 우수한 쌀겨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유용자원의 재활용을 통해 쌀 가공 산업의 확대를 목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쌀겨를 첨가한 머핀의 높이 측정결과 쌀겨의 농도와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머핀의 무게는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머핀의 색도는 쌀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은 감소하였고 a 및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머핀의 수분함량은 0일차에 수분함량 범위가 30.47~34.07%였으나 저장 1일차에는 33% 전후의 수분함량으로 전처리군의 수분함량이 유사한 값을 보였다. 머핀의 경도는 0일차에 부산물의 첨가량이 0, 3, 5% 일때 각각 760.90, 645.95, 626.87로 부산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저장 1일째에 경도는 모든 처리군에서 초기 경도보다 2배 이상의 값을 나타내어 0, 3, 5, 10%에서 각각 1644.49, 1522.61, 1464.79, 1613.90을 보였다. 그러나 저장 2일째에서는 머핀경도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고 처리군간에 경도차이도 보이지 않았다. 부착성은 저장기간별, 부산물 첨가량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탄력성은 저장기간에 따라 전 처리군에서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검성은 저장 0, 1일째에는 부산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다가 부산물의 농도 10%에서는 다시 증가하여 대조군과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대조군이 머핀의 색과 향에서 높은 점수를 획득한 반면, 쌀겨 첨가 머핀이 맛, 촉촉함, 씹힘성 및 전반적인 기호도는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쌀겨에 들어있는 식이섬유의 수분흡착 작용으로 수분 보유력이 증대되어 머핀의 촉촉함을 유지시켜 주고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쌀겨의 머핀을 비롯한 제빵 이용시 식미를 증진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기능성 소재를 첨가한 우리밀 제빵 제품의 항산화 활성과 단백질 소화도 (Antioxidant Activity and In Vitro Protein Digestibility of Bakery Products prepared from Korean Wheat with Functional Ingredients)

  • 한인화;박병건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53-861
    • /
    • 2014
  • 우리밀과 수입밀로 쿠키, 머핀, 바게트를 제조하여 총 페놀 함량, 항산화 효과, 단백질 소화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쿠키와 머핀 제품에 천년초와 홍화씨를 첨가하여 총 페놀 함량, 항산화 효과 및 단백질 소화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천년초의 첨가는 우리밀 쿠키 및 머핀의 80% methanol 추출물에서 총 페놀 함량 및 항산화 효과를 증가시켰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홍화씨 첨가는 우리밀 쿠키의 80% ethanol과 80% methanol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켜 기능성 소재의 첨가가 쿠키의 품질 특성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우리밀과 수입밀로 만든 쿠키, 머핀, 바게트의 80% ethanol 추출물에서 우리밀로 만든 머핀의 총 페놀 함량이 4.53 mg QE/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수입밀로 만든 머핀보다 약 1.5배 높게 나타났다. 80% methanol 추출물은 수입밀 바게트가 우리밀 바게트보다 약 1.2배 높게 나타나 용매에 따라 다른 경향을 나타냈다. 80% ethanol 추출물과 80% methanol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을 비교하면 ethanol 추출물이 모든 시료에서 높은 총 페놀 함량을 보여, 우리밀에서 더 높은 총 페놀 함량을 나타냈다. 우리밀과 수입밀의 ethyl acetate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머핀의 80% methanol 추출물은 우리밀이 수입밀보다 2.4배 가량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그 결과, 추출 용매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우리밀 제품이 수입밀 제품보다 높은 항산화 효과를 가진다고 추정된다. 단백질 소화도에서 우리밀과 수입밀을 비교해 보면 모든 제품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단백질 소화도와 같은 품질 특성은 우리밀이 수입밀의 품질과 유사하며, 항산화 효과와 총 페놀 함량은 우리밀 제품이 우수한 결과를 보여 기능성 면에서 우수한 밀 품종이라고 사료된다.

제빵용 지방 대체제 개발 (Development of a Carbohydrate-based Fat Replacement for Use in Bread Making)

  • 윤성준;조남지;정윤화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032-1038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e carbohydrate-based fat replacement for use in the preparation of non-(trans) fatty acid and low-caloric bread. Characteristics such as leavening height of batter, pH, titratable acidity, specific volume, sensory evaluation, shelf life and texture change of bread made using 11 types of carbohydrate-based fat replacements were measured. The 11 carbohydrate-based fat replacers (No. $1{\sim}11$) were prepared using maltodextrin as a base, and different ratios of calcium sulfate, ascorbic acid, sodium stearoyl lactylate and methyl cellulose. The pH was lowered and the total titratable acidity was increased after four hours of fermentation in the control and the samples of dough that contained the fat replacement. In addition, the leavening height of the control was 5.0cm (maximum) after two hours of fermentation and 4.6 cm after four hours of fermentation, which was similar to the heights observed when No.$9{\sim}11$ were evaluated. When the specific volume of the bread was evaluated, the 3% of fat replacement No. 10 produced the best results. When taste was evaluat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the bread produced using 1% No. 10,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all samples that contained 2% or more of the fat replacement. Furthermore, the addition of a greater concentration of the fat replacer resulted in a greater moistur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lor of the control and any of the samples. Additionally, measurement of the firmness of the bread during four days of storage at $25^{\circ}C$ revealed that it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fat replacer increased. In addition, the sample that contained 3% of sample No. 10 showed a firmness of 18kgf after three days of storage, while the control showed a firmness of 18kg after two days, which indicates that the degradation of the bread that contained the fat replacer was delayed by one day. The bread made using fat replacers was found to have a better taste, flavor, color, texture and firmness than the control, and the best results were observed in response to the addition of 3% of replacement No. 10.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in the production of non-(trans) fatty acid, low caloric brea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