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향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2초

네오니코치드계 목재보존제의 방곰팡이 효력 (Anti-mold Effectiveness of Neonicochid Type Wood Preservative)

  • 이동흡;이종신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1호
    • /
    • pp.41-48
    • /
    • 2014
  • 국내산 저독성 목재보존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저독성 살충제인 디노테프란과 살균제인 IPBC 및 프로피코나졸, 그리고 인체에 유해하지 않으며 살균력을 가지고 있는 정향오일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29종의 약제를 제조하였다. PDA 배지와 목재 시험편을 사용하여 이들 약제의 방곰팡이 효력을 조사하였다. 용제와 유화제는 방곰팡이 효력을 보이지 않아 조제 약제의 방곰팡이 효력은 4종의 유효성분에 의해 발현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PDA 배지 시험에서 비교적 높은 균사 생장 억제력을 보인 것은 IPBC의 함유 비율이 높은 약제였으며, 프로피코나졸은 IPBC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방곰팡이 효력을 나타냈다. 많은 약제들이 PDA 배지 시험에서는 비교적 높은 균사 생장 저해성을 보였으나 목재 시험편 시험에서는 방곰팡이 효력을 나타내지 못했다. PDA 배지와 목재 시험편 시험에서 모두 완벽한 방곰팡이 효력을 나타낸 것은 3종에 불과하였으며 디노테프란과 IPBC로 구성된 약제와 여기에 정향 오일을 첨가한 약제뿐이었다.

급만성 위염 및 위손상에 관한 정향 추출물의 효과 (Studies on the Effect of the Extract of Eugenia Flos on Gastritis and Gastric Lesion)

  • 정기화;이은방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3-89
    • /
    • 1992
  • 정향의 mathanol 추출물로 HCI-ethanol 위손상 실험을 하여 그 방어 효과를 확인하고 이를 계통 분획한 후 각 분획에 대한 HCI-ethanol 위손상실험, 기초위액 분비실험, indomethancin 위손상실험, acetic acid 궤양 실험을 하여 추출물에 대한 급성독성과 급.만성위염 및 위손상에 대한 실험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LD_{50}$은 경구투여시 3000 mg/Kg 이사이었다. (2)HCL.ethanol 위손상실험에서 EtOAc fr. 165mg/Kg과 BuOH fr. 215mg/Kg에서 손상의 크기를 유의성있게 감소시켰다. (3) Acetic Acid 궤양 실험에서 위궤양의크기가 BuOH 분획 215mg/Kg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로서 생각은 급만성 위염 및 위손상에 대한 세포보호 작용이 있으며 그 작용기전은 위액분비의 억제작용에 인한 것이며 그 유효성분은 대부분 butanol 분획에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Candidiosis 치료제 개발을 위한 약용 및 야생 식물의 항진균 활성의 검색 (Screening of anti-candidiosis agent from medicinal and wild plants)

  • 손호용;금은주;권윤숙;권기석;진익렬;권하영;권정숙;손건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04-617
    • /
    • 2003
  • 안전성이 확보된 식용, 또는 약용식물로부터 항캔디다 활성이 우수한 항진균 후보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298종의 천연물로부터 추출부위 및 추출 용매를 달리하여 384종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추출물의 항캔디다 활성을 disc-paper를 이용한 생육 저지환의 유무 및 크기 판정과 microbroth dilution법을 이용하여 C. albicans KCTC 1940과 S. cerevisiae IFO 0233를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20종 식물로부터 조제된 25종의 추출물이 우수한 항캔디다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고, 그 중에서도 멍석딸기, 정향, 천황련, 작약, 모란, 대극잎 추출물은 강력 한 항캔디다 활성$(MIC=50 \mug/m\ell)$을 보였다. 특히, 멍석딸기(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정향(부탄올 추출물), 호장근(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작약(부탄올 추출물), 대극잎(메탄올 추출물)의 경우에는 C. albicans에 높은 선택독성을 나타내어, 안정성이 확보된 식물 추출물로부터 새로운 진균 감염증 치료제 개발이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약선식품소재의 유산균 증식 효과 (Bifidogenic Effects of Yaksun (functional herbal) Food Materials)

  • 배은아;한명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11-217
    • /
    • 2001
  • 1. 약선식품소재의 물추출물 중 pH 저하효과가 가장 큰 것은 B. breve를 배양하였을 경우 Citrus aurantium (진피), Liriipe platyphylla (맥문동), Platycodon grandiflorum (길경), Schizandra chinensis (오미자)였고, 사람의 장내균총을 배양했을 경우는 Angelica gigas (당귀), Hordeum vulgare (맥아), Liriipe platyphylla (맥문동), Platycodon grandiflorum (길경), schizandra chinensis (오미자) 등이었다. 2. 약선식품소재의 $\beta$-glucosidase 효소활성억제효과는 B. breve를 배양했을 경우 Citrus aurantium(진피), Eugenia caryophyllata (정향), Liriipe platyphylla (맥문동), Platycodon grandiflorum (길경), Schizandra chinensis (오미자)가 90%. 이상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사람의 장내균총에 대해서는 Eugenia caryophyllata (정향), Liriipe platyphylla (맥문동)가 40% 이상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3. $\beta$-Glucuronidase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난 약선식품소재는 사람의 장내균총에 대해서는 Cinnamomum cassia(계지), Gardenia jasminoides(치자), Platycodon grandiflorum (길경) 등이였다. 4. 길경으로부터 in vitro에서 유산균증식효과를 나타내는 compound B를 분리하였으며 이 화합물은 기기분석을 한 결과 sucrose임을 밝혀졌으며, 사람의 장내균총에 대한 효과를 측정한 결과 $\beta$-glucosidase활성은 크게 억제하지 못했지만 $\beta$-glucuronidase 및 tryptophnase활성은 각각 49%, 67%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사람의 장내우세균인 B. breve를 증식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 PDF

일부 식품부패성 미생물에 대한 관중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Dryopteris rhizoma against Some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 곽이성;김미주;안대진;이종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6-40
    • /
    • 2000
  • 관중의 추출분획물별과 Bacillus subtilis에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던 가자, 정향, 단삼, 관중의 추출 용매별 (ethanol과 물)로 식품 부패성 미생물인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Bacillus subtilis, Pseudomonase fluorescence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가자는 물추출물이, 정향, 단삼 및 관중은 ethanol 추출물이 각각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 중 관중의 ethanol 추출물이 가장 강한 활성을 보였고 그 활성정 도는 인공합성보존류인 안식향산나트륨 (sodium benzoate)보다 실험한 모든 미생물에 대하여 강했다. 2. 관중의 ethanol 추출물의 각분획물에 대한 항균활성은 CHCI$_3$분획물>EtOAc 분획물>BuOH 분획물>물 분획물 순이었다. 3. 관중의 각분획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미생물의 성장 억제효과가 있었으며, 그 억제효과에 대한 기작은 살균작용에 의한 것이라기보다는 정균작용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향신료의 휘발성 향미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Spices in Curry)

  • 김현위;허경택;최춘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27-135
    • /
    • 1989
  • 카레가루 원료로 쓰이면서 독특한 풍미를 내는 육두구(nutmeg), 쿠민(cumin), 카다몬(cardamon), 심황뿌리가루(turmeric), 고수(coriander), 정향(clove), 올스파이스(allspice), 카시아(cassia), 회향(fennel), 셀러리시드(celery seed), 검정후추(black pepper)등 향신료 11종을 상압 수증기 증류하여 얻은 유출액으로부터 Diethyl ether: n-Pentane(2 : 1, v/v)으로 향미성분을 추출한 후, capillary GC와 GC/MS를 이용하여 그 주요 성분들을 동정하였다. 육두구는 ${\alpha}-pinene(11.06%)$, ${\beta}-pinene(11.17%)$, myristicin(19.98%), 쿠민은 cuminaldehyde(37.68%), 카다몬은 ${\alpha)-terpineol(47.33%)$, 1, 8-cineol(20.56%), 고수는 linalool(61.72%), 정향은 eugenol(63.63%), eugenol acetate(20.59%), 올스파이스는 eugenol(80.12%), methyl eugenol(10.85%), 카시아는 cinnamaldehyde(82.29%), 회향은 anethole(79.92%) 등이 주성분이었다.

  • PDF

정향 추출물을 이용한 염색직물의 염색성 및 기능성 (A Study on the Dye Properties and Functionality of Clove Extract)

  • 박영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17권2호
    • /
    • pp.216-224
    • /
    • 2009
  • This study was accomplished to examine the dyeing property and functionality of both cotton and silk fabrics dyed with clove ex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yeing property, antibiosis, and sun protection effectiveness for a clove. The study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the experimental research to extract dyestuffs from a clove, to treat dyestuffs with a mordant, and then to measure dyeing colorfastness, antibiosis, and sun protection for dyed fabrics. As a result of the test for dyeing colorfastness, in the case of colorfastness to laundry, the degree of discoloration showed grade $1\sim4$ and the degree of pollution showed grade $4\sim5$. Colorfastness to perspiration for both cotton and silk fabrics dyed showed grade $1\sim2$ to $4\sim5$. Colorfastness to sunlight showed grade 2 to $4\sim5$. Colorfastness to rubbing showed grade $3\sim4$ to $4\sim5$. In the colorfastness to dry cleaning, the degree of discoloration showed grade $3\sim4$ and the degree of pollution showed grade $4\sim5$. As a result of the antibiosis test, for the Staphylococcus aureus, both cotton and silk showed the bacteria reduction rate of 99.9% even after five times laundry, and for the Escherichia coli, cotton fabrics showed the bacteria reduction rate of 99.9% only after one time laundry, but silk fabrics showed the bacteria reduction rate of 99.9% even after five times laundry. As a result of the test for sun protection effectiveness, dyed silk fabrics showed the result more excellent than dyed cotton fabrics.

  • PDF

약용식물 추출물에 대한 항미생물 활성 검색과 폴리페놀 함량 (Antimicrobial Effect of Methanol Extracts from Some Medicinal Herbs and the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 문지숙;김선재;박윤미;황인식;김의형;박정욱;박인배;김상욱;강성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07-213
    • /
    • 2004
  •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생약재 32종을 대상으로 천연보존료 개발의 일환으로 메탄올로 추출한 항균활성 물질을 몇 종의 병원균과 식중독균, 식품과 관련이 있는 세균, 젖산균 및 효모 등 12종의 균주 B. subtilis, M. luteus, Sta aureus, Sta. epidermidis, Strep. mutans, E. coli, Pse. aeruginosa, Sal. typhimurium, V. vulnificus, Lac. brevis, Leu. mesenteroides, Sacch. cerevisiae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검색하였으며, 항균력이 강한 생약재 추출물은 최소저해농도(MIC)를 측정하였다. 검색한 결과 계피, 목단, 적양, 정향, 팔각향 등의 메탄올 추출물은 12균주 중 세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강하였으나, 젖산균 및 효모에 대해서는 낮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최소저해농도는 B. subtilis에 대해 강한 증식억제효과를 보였고, Sta. epidermidis나 Pse. aeruginosa에 대해서도 거의 모든 추출물이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항균활성 측정시 거의 저해가 없었던 Lue. mesenteroides도 대부분의 추출물에서 억제 효과를 나타내 항균성과는 약간 다른 결과를 보였다. 생약재 중 강한 항균력을 보인 녹차, 정향, 적양, 인진호 등은 폴리페놀 함량이 약 7 mg/g 이상으로 높아 이들 페놀성 물질들이 항균활성에 많은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여러 미생물에 의해 변패될 수 있는 식품에서 천연보존료로의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항산화성(抗酸化性) 생약(生藥)의 선발(選拔) (Screening for Antioxidative Activity of Crude Drugs)

  • 김성열;김진환;김승겸
    • 농업과학연구
    • /
    • 제19권1호
    • /
    • pp.103-114
    • /
    • 1992
  • 항산화성 생약을 선발하기 위하여 180종의 생약을 10배량의 methanol 로 추출한 액 $50{\mu}l$와 0.1M-linoleic acid ethanol 용액 $100{\mu}l$를 넣은 시험관을 $50^{\circ}C$에서 20시간 두었다가 POV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항산화성을 측정하였을 때 45% 이상의 생약 추출물이 항산화성을 나타내었고 그 중 44종 의 생약추출물의 항산화성은 비교적 강력하였다. 단기 항산화시험에 의해서 항산화성이 비교적 강한 것으로 나타난 44종의 생약을 10배량의 methanol로 추출한액 3ml, 0.1M-methyl linoleate ethanol 용액 10ml 및 0.1M-sodium phosphate buffer(pH 7.0) 37ml를 혼합하여 $40^{\circ}C$에서 35일간 저장하면서 POV의 변화를 측정하였던 바 삼백초, 세신, 진범, 음양곽, 백굴체, 소회향, 고삼, 정향, 황금, 감초 및 파고지 동 11종의 생약추출물의 항산화성이 특히 강하였다. Methan이 추출액의 항산화성이 특히 강하였던 11종의 생약을 ethyl acetate 및 petroleum ether로 추출하여 항산화성을 비교하였을 때 음양곽, 소회향, 정향 및 파고지는 추출용매의 종류에 관계없이 강한 항산화성을 나타내었으나 황금 및 감초 등은 methanol 추출액에서만 강한 항산화능이 나타났다.

  • PDF

약용식물 추출물이 냉면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dicinal Plants Extract on Naengmyeon Broth)

  • 김명숙;최윤희;홍선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28-333
    • /
    • 2003
  • 산내, 화초, 정향, 소회향의 약용식물을 추출하여 냉면육수에 0.1%와 0.3%의 농도로 첨가했을 때 저장기간 동안 냉면육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육수의 pH는 이들 약용식물 처리군 중 산내 첨가군이 가장 효과적으로 무첨가군이 pH 4.60일 때, 0.1%와 0.3% 첨가시 각각 pH 4.92, pH 5.08이었다. 적정산도는 저장기간 48시간 이후부터는 산도가 현저히 낮아짐을 볼 수 있었는데, 산내의 측정치가 저장기간 90시간에 무첨가군이 0.89%일 때 0.1%첨가와 0.3% 첨가시 각각 산도 0.66과 0.55로 가장 낮았고, 다음으로 화초, 정향, 소회향 순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탁도는 처음에는 약용식물 첨가군이 0.1% 첨가시 7.5∼7.9, 0.3% 첨가시 7.9∼8.2였고, 무첨가군이 7.1이었다. 90시간 경과 후에는 무첨가군인 10.8, 약용식물 첨가군은 0.1%와 0.3% 첨가군이 각각 8.8∼9.5, 8.7∼9.0으로 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총균수 및 대장균수는 저장기간 72시간째에 무첨가군에서 급격히 균이 증가하였고, 산내가 가장 효과적인 억제를 보였는데, 즉 총균수는 72시간째에 무첨가군이 4.8${\times}$10 CFU/ml 일 때, 0.1% 첨가시 1.7${\times}$10 CFU/ml, 0.3% 첨가시 0.9${\times}$10 CFU/ml 이었다. 대장균수는 72시간째에서는 무첨가군이 6.0 ${\times}$ 10 CFU/ml 일때, 0.1% 첨가시 3.2${\times}$10 CFU/ml, 0.3% 첨가시 1.7${\times}$10CFU/ml 이었고, 저장기간 90시간째에는 무첨가군이 6.0 ${\times}$ 10 CFU/ml 일 때 0.1% 첨가시 3.1${\times}$10 CFU/ml, 0.3% 첨가시 1.7${\times}$10 CFU/ml 로 측정되었고, 산내에 이어 화초, 정향, 소회향 순으로 효과를 나타내었다. 휘발성 염기질소량은 가장 낮은 측정치를 보인 산내의 경우 처음에 무첨가군이 2.67mg%일 때, 0.1%와 0.3% 첨가시 각각 2.58mg%, 2.47mg%이었고, 90시간 후에는 무첨가군이 3.96mg% 일 때, 0.1%와 0.3% 첨가시 각각 3.64mg%, 3.33mg%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냉면육수의 저장성 향상을 위한 산내, 화초, 정향, 소회향의 4가지 약용식물을 첨가하여 저장기간 중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산내추출물을 첨가했을 때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저장기간 3일 이후에 항균효과가 뚜렷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