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Medicinal Plants Extract on Naengmyeon Broth

약용식물 추출물이 냉면육수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When the extract of the medicinal plants, Kaempferia galanga L., Zanthoxylum bungeanum, Eugenia caryophyllata, Foeniculum vulgare, was added to Naengmyeon broth with the concentration of 0.1% and 0.3% each, its effect during the preservation time of broth was investigated. pH of the extract-added broth was lower than control at the initial, but higher after 72 hours of preservation, which showed that when it added 0.1% and 0.3% of extract to the broth, pH of Kaempferia galanga L. was 4.92 and 5.08 respectively, whereas control was 4.60. Titratable acidity was lowered after 48 hours and also Kaempferia galanga L. showed the lowest acidity with 0.66 for adding 0.1% of its extract and 0.55 for 0.3% of adding, but control was 0.89 at the time of 90 hours of preservation, and then it showed to be lowered in the order of Zanthoxylum bungeanum, Eugenia caryophyllata and Foeniculum vuigare. Turbidity of each broth added the extracts of four of the medicinal plants was 7.5∼7.9 and 7.9∼8.2, respectively for 0.1% and 0.3% of concentration at the initial, but it began to lower and 90 hours later it was 8.8∼9.5 and 8.7∼9.0 respectively, whereas control was 10.8. Total viable cells(TVC) and coliform bacteria(CB) were increased with great at the 72 hours of preservation time, and Kaempferia galanga L. was the most effective, which when control was 4.8${\times}$10 CFU/ml at 72 hours, TVC was 1.7${\times}$10 CFU/ml for the addition of 0.1% of extract and 0.9${\times}$10 CFU/ml for 0.3%. CB was 3.2${\times}$10 CFU/ml for 0.1% and 1.7${\times}$10 CFU/ml for 0.3% respectively and 6.0 ${\times}$ 10 CFU/ml for control at the time of 72 hours, and it was lowered in the order of Zanthoxylum bungeanum, Eugenia caryophyllata and Foeniculum vulgare. Volatile basic nitrogen content detected that control was 2.67mg% at first, and then increased to 3.96mg% at 90 hours of preservation, but the broth added with the extract of Kaempferia galanga L. was 2.58mg% for 0.1% and 2.47mg% for 0.3% at the initial, and at 90 hours it was 3.64mg% and 3.33mg% respectively. The results of adding the extracts of four medicinal plants for the improvement of the preservation time of Naengmyeon broth, were that the most effective medicinal plant was Kaempferia galanga L. an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medicinal plant extracts for Naengmyeon broth was highly effective after 3 days of preservation time.

산내, 화초, 정향, 소회향의 약용식물을 추출하여 냉면육수에 0.1%와 0.3%의 농도로 첨가했을 때 저장기간 동안 냉면육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육수의 pH는 이들 약용식물 처리군 중 산내 첨가군이 가장 효과적으로 무첨가군이 pH 4.60일 때, 0.1%와 0.3% 첨가시 각각 pH 4.92, pH 5.08이었다. 적정산도는 저장기간 48시간 이후부터는 산도가 현저히 낮아짐을 볼 수 있었는데, 산내의 측정치가 저장기간 90시간에 무첨가군이 0.89%일 때 0.1%첨가와 0.3% 첨가시 각각 산도 0.66과 0.55로 가장 낮았고, 다음으로 화초, 정향, 소회향 순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탁도는 처음에는 약용식물 첨가군이 0.1% 첨가시 7.5∼7.9, 0.3% 첨가시 7.9∼8.2였고, 무첨가군이 7.1이었다. 90시간 경과 후에는 무첨가군인 10.8, 약용식물 첨가군은 0.1%와 0.3% 첨가군이 각각 8.8∼9.5, 8.7∼9.0으로 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총균수 및 대장균수는 저장기간 72시간째에 무첨가군에서 급격히 균이 증가하였고, 산내가 가장 효과적인 억제를 보였는데, 즉 총균수는 72시간째에 무첨가군이 4.8${\times}$10 CFU/ml 일 때, 0.1% 첨가시 1.7${\times}$10 CFU/ml, 0.3% 첨가시 0.9${\times}$10 CFU/ml 이었다. 대장균수는 72시간째에서는 무첨가군이 6.0 ${\times}$ 10 CFU/ml 일때, 0.1% 첨가시 3.2${\times}$10 CFU/ml, 0.3% 첨가시 1.7${\times}$10CFU/ml 이었고, 저장기간 90시간째에는 무첨가군이 6.0 ${\times}$ 10 CFU/ml 일 때 0.1% 첨가시 3.1${\times}$10 CFU/ml, 0.3% 첨가시 1.7${\times}$10 CFU/ml 로 측정되었고, 산내에 이어 화초, 정향, 소회향 순으로 효과를 나타내었다. 휘발성 염기질소량은 가장 낮은 측정치를 보인 산내의 경우 처음에 무첨가군이 2.67mg%일 때, 0.1%와 0.3% 첨가시 각각 2.58mg%, 2.47mg%이었고, 90시간 후에는 무첨가군이 3.96mg% 일 때, 0.1%와 0.3% 첨가시 각각 3.64mg%, 3.33mg%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냉면육수의 저장성 향상을 위한 산내, 화초, 정향, 소회향의 4가지 약용식물을 첨가하여 저장기간 중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산내추출물을 첨가했을 때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저장기간 3일 이후에 항균효과가 뚜렷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한복진 : 팔도음식, 고려서적, p.121(1993)
  2. 통계청 : 2001 광공업통계조사보고서, 통계청(2001)
  3. 소명환, 김미영, 이진영 : 냉면육수에서 분리한 대장균군의 동정 및 저온 증식성, 한국식품영양학횢, 7(3), 203-212(1994)
  4. 소명환 : 대중음식점 냉면육수의 미생물 오염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지, 3(1), 13-21(1990)
  5. 문광덕, 변정아, 김석중, 한대석 : 김치 선도 유지를 위한 천연보존제의 탐색, 한국식품과학회지, 27(2), 257-263(1995)
  6. 김미경, 김옥미, 김일두, 김미향, 박인경, 강명수, 이난희, 김순동 : Thyme(Thymus vulgaris L.)과 Tarragon(Artemisia dracunculus L.) 추출물 첨가가 김치의 품질과 보존에 미치는 영향, 농산물저장유통학회지, 5(1), 49-56(1998)
  7. 김선재, 박근형 : 부추의 항미생물 활성물질, 한국식품과 학회지, 28(3), 604-608(1996)
  8. 손유미, 김광옥, 전동원, 경규항 : Chitosan과 다른 보존제 첨가에 따른 김치의 저장성 향상, 한국식품과학회지, 28(5), 888-896(1996)
  9. 신동화, 김문숙, 한지숙 : 국내산 약용식물 추출물에 대한 항균성 검색과 농도별 및 분획별 항균독성, 한국식품 과학회지, 29(4), 808-816(1997)
  10. 최웅, 신동화, 장영상, 신재익 : 식물성 천연 항산화물질의 검색과 그 항산화력 비교, 한국식품과학회지, 24(2), 142-148(1992)
  11. 오덕환, 함승시, 박부길, 안철, 유진영 : 식품 부패 및 병원성미생물에 대한 천연약용 식물 추출물의 항균효과, 한국식품과학회지, 30(4), 957-963(1998)
  12. 김연순, 박경숙, 경규항, 심선택, 김현구 : 마늘즙액의 대장균 새육 저해 작용, 한국식품과학회지, 28(4), 730-735(1996)
  13. Shelef, L.A., Naglik, O.A. and Bogen, D.W. : Sensitivity of Some Common Food Borne Bacteria to the Spices Sage, Rosemary and Allspice. J. Food Sci., 45. 1042-1044(1980) https://doi.org/10.1111/j.1365-2621.1980.tb07508.x
  14. 유영선, 박기문, 김영배 : 생약재 향신료의 Streptococcus mutants 증식억제효과,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1, 187-192(1993)
  15. 장명숙, 문성원 : 감초 첨가가 동치미의 발효숙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4(5), 744-751(1995)
  16. 황재희, 장명숙 : 자소자 첨가 동치미의 이화학적인 특성, 한국조리과학회지, 17(6), 55, 5-564(2001)
  17. 유인실 : 냉면과 쫄면의 저장수명 예측,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1994)
  18. 서권일, 강갑석, 심기환 : 냉면육수의 보존 중 겨자의 첨가효과, 한국식품과학회지, 29(1), 51-56(1997)
  19. 김업식, 최일숙, 구성자 : 냉면육수 조리법의 표준화 연구, 한국조리과학회지, 17(6), 589-597(2001)
  20. 오혁수, 안승근 : 유기산의 첨가가 냉면육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리학회지, 4, 413-436(1998)
  21. 이병완, 신동화 : 식품 부패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천연항균성 물질의 검색, 한국식품과학회지, 23, 200-204(1991)
  22. Pruthi, J.S. : Spices and condiments : chemistry, microbiology, technology. Academic Press, p.40(1980)
  23. 박권우 : 향신채의 재배 및 이용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p.180-224(1936)
  24. 山形誠 : 水産生物化學 食品學寶驗書, 恒生社厚生閣版 東京都, p.186(1974)
  25. Kim, M.J., Kim, B.K. and Jang, M.S. : Effect of bamboo leave on the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ongchimi. J Food Sci. Nutr., 1(2), 159-165(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