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적효과

검색결과 1,611건 처리시간 0.031초

내진 설계를 위한 에너지 소산량 산정법의 활용 (Application of Energy Dissipation Capacity to Earthquake Design)

  • 임혜정;박홍근;엄태성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7권6호
    • /
    • pp.109-117
    • /
    • 2003
  • 기존의 비선형 정적 및 동적 해석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에너지 소산능력을 정확히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 연구에서는 휨지배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에너지 소산능력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는 식이 개발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 평가방법을 이용하여 에너지 소산능력을 정확히 고려할 수 있는 비선형 정적 및 동적 해석 방법을 개발하였다. 비선형 정적 해석을 위하여 에너지 스펙트럼 곡선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능력스펙트럼법을 개선하였으며, 또한 비선형 동적 해석을 위하여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단순화된 에너지 기초 주기거동모델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모델은 부재의 강성에 기초한 기존의 주기거동모델과는 달리 완전한 주기거동 발생시 소산되는 에너지를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된 방법에 따라 비선형 정적 및 동적 해석법의 절차를 정립하였으며 이를 적용한 컴퓨터 해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해석 방법은 부재의 단면형태, 철근비, 배근형태 등 설계 변수에 따른 에너지 소산능력을 정확하게 고려하고 지진발생시 에너지 소산능력이 구조물의 성능에 미치는 효과를 반영할 수 있다.

복합재료 동력전달축의 접착조인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dhesive Joints for Composite Driveshafts)

  • 김진국;이대길;최진경;김일영
    • Composites Research
    • /
    • 제14권2호
    • /
    • pp.13-21
    • /
    • 2001
  • 비강성, 비강도가 우수한 복합재료의 특성상, 기존의 금속 구조물을 복합재료 구조물로 대체 하는 것은 많은 이득을 가져온다. 이 논문에서는 탄소섬유/에폭시 복합재료와 유리섬유/에폭시 복합재료를 이용하여 정적 토크전달 능력, 비틀림 좌굴 하중. 굽힘 1차 고유진동수의 설계 기준을 만족하는 후륜구동 자동차용 일체형 동력전달축이 설계 및 제조되었다. 복합재료 중공축과 알루미늄 요크와의 결합을 위하여 단일 겹치기 접착조인트가 사용되었으며, 접착조인트의 정적 토크전달 능력은 접착길이와 요크두게에 따라 유한요소 해석을 이용하여 계산되었고, 실제 실험결과와 비교되었다. 복합재료 중공축의 정적 토크전달 능력은 Tasi-Wu 파괴지수와 아루미늄 요크와 에폭시 접착제의 비선형 물성을 적용하여 계산되었다. 실험과 해석결과로부터 복합재료 동력전달축의 정적 토크전달 능력은 임계 요크 두께에서 가장 높았으며, 임계 접착길이 이상에서는 포화되었다. 또한 일체형 복합재료 동력전달축은 기존의 2단 분리형 강철 동력전달축과 비교하여 40%의 무게 감소효과를 가져왔다.

  • PDF

실내골프연습장의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 고객충성도 및 재등록의사에 미치는 영향 :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의 매개효과 검증 (Effects of Service Quality of the Indoor Golf Practice Faci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Customer Loyalty and Intention to Repurchase : Verification of Mediating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 이승은;박경실;총루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497-510
    • /
    • 2018
  • 본 연구는 실내골프연습장의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 고객충성도가 재등록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대상은 실내골프연습장을 이용하고 있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하여 수집된 설문지 중 238부를 실제 자료처리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품질의 모든 하위요인이 고객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서비스품질 하위요인 중 시설과 지도자만 고객충성도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서비스품질의 모든 하위요인이 재등록의사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고객만족은 재등록의사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고객충성도는 재등록의사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고객만족은 서비스품질과 재등록의사 관계에 있어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고객충성도는 서비스품질과 재등록의사의 관계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적 플랭크 운동의 동작 별 효과성 차이 검증 -근전도 분석을 중심으로- (Verification of the Difference in Effectiveness of Static Plank Exercise by Motion -Focusing on EMG Analysis-)

  • 김유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335-339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적 플랭크 운동의 동작 차이에 따른 코어근육의 근활성도를 비교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J"대학교 20대 남성 1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고(연령, 23.20±0.65 세; 신장, 174.54±1.51 cm; 체중, 70.00±2.24 kg; 신체질량지수, 22.94±0.51 kg/m2), 4가지의 풀, 엘보우, 사이드 및 리버스 정적 플랭크 동작을 수행하였으며, 근전도 분석을 위한 표면전극 부착 부위는 신체 근육의 우측복직근, 외복사근, 광배근 및 척추기립근으로 설정하였다. 본 실험 결과, 광배근과 척추기립근의 근활성도는 리버스 플랭크 동작 시 가장 높게 나타났고(p<.001), 복직근과 외복사근의 근활성도는 엘보우 플랭크 동작 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1).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정적 플랭크 동작 시 효과적인 운동 프로그램의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여성결혼이민자의 두문화정체성과 결혼의 안녕 -관점의 다각화에 기반 한 자기긍정성의 매개효과- (Bicultural Identity and Marital Well-Being among Marriage Immigrant Women -Self-Positivity Derived from Taking Multiple Perspectives as a Mediator-)

  • 현경자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2호
    • /
    • pp.241-271
    • /
    • 2012
  • 이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강점이 될 수 있는 두문화정체성이 관점의 다각화에 기반한 자기긍정성을 도와 결혼만족과 결혼안정으로 대변되는 결혼의 안녕에 기여하는지를 조사하였다. 편의표집에 의해 서울과 수도권 및 광역시에 거주하는 중국과 베트남 출신 결혼이민여성 총 281명을 대상으로 구조 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문화정체성과 모국문화정체성으로 구성된 두문화정체성은 예측대로 관점의 다각화, 자기수용, 자기조절로 구성된 자기긍정성을 도우며 이를 통한 경로와 직접 경로로 결혼의 안녕에 기여하였다. 측정변수들을 이용한 탐색적인 경로분석에서 각각의 문화정체성은 관점다각화를 통해 자기수용 및 자기조절과 연관되었고, 자기수용은 예측대로 결혼만족을 도와 결혼안정에 간접적으로 기여하였지만 결혼안정에 대한 자기조절의 예측된 정적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관점의 다각화는 결혼만족과 결혼안정을 직접 돕기 보다는 응답자들의 자기수용과 배우자와의 의견일치를 돕는 경로로 그러한 측면을 강화하였다. 한국문화정체성이 결혼의 안녕에 미치는 정적효과는 관점다각화에 따른 자기수용과 배우자와의 의견일치에 의해 매개되었고, 모국문화정체성은 그러한 매개경로와 함께 직접 결혼만족을 돕는 한편 결혼안정을 낮추어 결혼의 안녕에 미치는 효과가 단순하지 않음을 시사하였으나 효과분해에서 각 문화정체성이 결혼의 안녕을 돕는 총효과는 정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두문화정체성이 결혼이민여성들의 긍정적 태도와 결혼의 안녕을 도울 수 있는 심리적 자원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여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함의가 논의되었다.

  • PDF

개인기부자들의 정서적, 가시적 효용감이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 자기수용의 매개효과와 삶에 대한 감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Private Donors' Emotional or Demonstrable Utility on their Mental Health: Focusing on Mediation Effect of Self-Acceptance and Moderation Effect of the Gratitude for their lives)

  • 이원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166-17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토대로, 사회복지기관을 후원하는 개인기부자들이 기부행위를 통해서 경험하는 정서적 효용감 및 가시적 효용감이 이들의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직접효과,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그리고 후원 후 삶에 대한 감사함이 미치는 조절효과를 밝혔다. 주요 발견점을 요약하면, 첫째, 후원활동을 하면서 삶에 대한 감사함이 증가한 개인기부자 집단의 경우, 기부활동을 통한 정서적 효용감이 정신적 웰빙에 정적 직접효과를 미쳤지만, 가시적 효용감은 정신적 웰빙에 유의미한 직접효과가 발견되지 않았다. 자기수용은 정서적 효용이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 부분매개효과가 있었고, 가시적 효용감이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는 자기수용이 완전매개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둘째, 후원 후 자신의 삶에 대한 감사함이 증가하지 않은 집단에서도, 정신적 웰빙에 정서적 효용감은 정적 직접효과가 있었지만, 가시적 효용감은 유의미한 영향이 없었다. 그리고 자기수용은 가시적 효용감이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 완전매개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정서적 효용감이 자기수용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고, 자기수용의 매개효과가 존재하지 않았다. 후원 후 삶에 대한 감사 증가여부에 의한 조절효과가 실증적으로 규명되었고, 기부 후 삶에 대한 감사가 증가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정신적 웰빙은 물론, 자기수용, 정서적, 가시적 효용감 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져, 기부활동을 통한 정신적 웰빙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 감사성향을 강화시키는 것이 중요한 실천과제임을 제시하면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노인의 신체이미지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과 희망의 이중 매개효과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Growth mindset and Hop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 황연경;이창식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1호
    • /
    • pp.87-96
    • /
    • 2020
  • 본 연구는 노인의 신체이미지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장 마인드셋과 희망의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 D시, S시 및 D광역시의 노인 4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SPSS 25.0과 PROCESS macro 3.4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 분석 및 부트스트랩을 통한 이중 매개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각 변인들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경로분석 결과 신체이미지는 성장 마인드셋과 희망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성장 마인드셋은 희망과 성공적 노화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희망 또한 성공적 노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이중 매개효과 분석 결과 신체이미지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과 희망은 이중 매개하였다. 본 연구는 노인들의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신체이미지, 성장 마인드셋 및 희망을 활용한 새로운 모델과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보육시설장의 다문화역량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Influence of Multicultural Compet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김산용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1-1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시설장의 다문화역량과 조직효과성의 관계와 다문화 역량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C대학교에 재학 중인 보육시설장 359명을 무작위 표집하여 연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역량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다문화역량의 하위영역인 다문화기술은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다문화지식은 부적 영향을, 다문화 인식 및 태도는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역량이 조직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다문화인식 및 태도, 다문화기술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다문화지식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역량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다문화인식 및 태도, 다문화기술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다문화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보육시설장을 대상으로 한 교육 및 연수 프로그램 개발 시, 다문화 지식을 전달하는 데 국한된 프로그램보다는 다문화 인식과 태도를 함양하고 이를 실제적으로 실천에 옮길 수 있는 다문화 기술에 대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행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슈퍼스칼라 프로세서에서 정적 및 동적 분류를 사용한 혼합형 결과 값 예측기 (A Hybrid Value Predictor using Static and Dynamic Classification in Superscalar Processors)

  • 김주익;박홍준;조영일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0권10호
    • /
    • pp.569-578
    • /
    • 2003
  • 데이타 종속성은 명령어 수준 병렬성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장애요소가 되고 있으며, 최근 여러 논문에서 데이타 종속을 제거하기 위하여 결과 값을 예상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혼합형 결과 값 예측기는 여러 예측기의 장점을 이용하여 높은 예상 정확도를 얻을 수 있지만, 동일한 명령어가 여러 개의 예측기 테이블에 중복 엔트리를 갖게되어 높은 하드웨어의 비용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적 및 동적 분류 정보를 이용하여 높은 성능을 얻을 수 있는 새로운 혼합형 결과 값 예측기를 제안한다. 제안된 예측기는 반입 단계 동안 정적 분류 정보를 사용하여 적절한 예측기에 할당함으로써 테이블 크기를 효과적으로 감소시켰고 예상정확도를 향상시켰다. 또한 제안된 예측기는 동적 분류를 사용하여“Unknown”유형의 명령어에 가장 적절한 예측방법을 선택하도록 하여 예상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켰다. SimpleScaiar/PISA 툴셋과 SPECint95 벤치마크 프로그램에서 시뮬레이션 한 결과, 정적 분류 정보를 사용하였을 경우 평균 예상 정확도가 85.1%, 정적 및 동적 분류 정보를 모두 사용하였을 경우 87.6%의 평균 예상 정확도를 얻을 수 있었다.

대면, 비대면, 자가운동에 따른 체간안정화 운동이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according to face-to-face, non-face-to-face, and self-exercise on balance ability)

  • 이경은;김소은;김현정;전정우;홍지헌;유재호;김진섭;김성길;남연교;이동엽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65-72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체간 안정화 운동으로 대면, 비대면, 자가로 실시하였을 때 정적균형과 동적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신체적으로 질병이 없는 건강한 20대 36명을 모집하였다. 대상자들은 무작위로 세 그룹으로 나뉘어져 체간 안정화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중재 전후 정적균형과 동적균형을 각각 측정하였다. 대면 및 비대면 그룹에서 중재 전, 후 동적 균형 및 정적 균형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자가운동군은 동적균형 3방향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정적균형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대면 및 비대면 운동이 체간 안정화 운동이 정적균형과 동적균형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균형 능력 향상을 위한 비대면 운동의 사용 가능성을 지지하며, 균형 능력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신체 능력에 대한 비대면 운동의 효과에 대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