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액법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31초

칡소 동결 정액 생산을 위한 스티로폼상자와 액체질소 이용 방법 (The Use of Styrofoam Box for Chikso (Korean Brindled Cattle) Semen Cryopreservation with Liquid Nitrogen)

  • 김성우;고응규;이재영;김찬란;황인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490-496
    • /
    • 2020
  • 가축유전자원으로서 동결정액을 생산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스티로폼박스를 이용한 간이동결법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티로폼 동결박스를 제작하여 가축의 동결정액 생산에 활용하는 방법을 검토하였으며 칡소 동결정액 생산을 최적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박스의 크기, 액체질소와 노출된 정액 스트로와 거리, 노출시간 및 생산량을 검토하였다. 2가지 동결박스를 비교하여 자료를 확보하였으며 내부 크기는 세로×가로×높이가 23.5×30.5×22.5 cm와 25.5×46.5×26.5 cm로 측정되었다. 액체질소를 5cm 높이로 채우고 액체질소 위 2, 5 및 8cm 높이에서 동결하여 융해 후 생존성을 조사하였다. 칡소 정액을 동결할 경우, 액체질소와의 노출시간은 모두 10분이 적절하였으며 25.5×46.5×26.5 cm 크기의 상자가 높은 생존율을 보여주었다(60.4±5.3% 대 67.2±3.1%). 동결 상자의 최적화 공간은 정자 동결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판단되며 1회 동결 시 최대 생산 가능한 칡소 동결정액은 60개 이상으로 증가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정보를 활용하면, 축종에 따라 동결 정액 생산량 결정하고 목적에 맞는 용기를 활용하여 효율적인 동결정액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시장접근법 기반의 기술가치평가를 위한 개념적 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Conceptual Model for Technology Valuation Based on Market Approach)

  • 임성묵;김상국;박현우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04-23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시장접근법 기반의 기술가치평가를 위한 원리적인 개념 모형을 제안한다. 하나의 기술이 기술성과 사업성을 기초로 기술가치를 부여받고, 다시 그 기술가치가 시장가치로 전이되는 개념모형을 제시하고 그 논리적인 타당성을 논의한다. 기술대가 지불방식의 두 가지 형태인 정액기술료 및 경상기술료 방식 각각에 대해, 기술-기술가치-시장가치 전이모형을 구성하는 구체적인 요인들을 식별하고 측정방식을 분석함으로써 구체화된 시장접근법 기반 기술가치평가 개념 모형을 개발한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개념 모형을 이용하여 기술가치평가의 세 가지 접근법인 비용-소득-시장접근법간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음을 보인다.

진료수가제도의 헌법적 한계와 정액수가제의 위헌성 -헌법재판소 2020. 4. 23. 선고 2017헌마103 결정을 중심으로- (Constitutional Limits of the Medical Fee Payment System and the Unconstitutionality of Fixed Payment System)

  • 현두륜
    • 의료법학
    • /
    • 제21권1호
    • /
    • pp.69-105
    • /
    • 2020
  • 의료보장제도에서 진료수가는 의료보장체계의 근간을 이루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국민건강보험법은 진료수가의 결정방식에 관하여 계약제를 채택하였고, 그 계약의 내용은 상대가치점수에 대한 점수당 단가를 정하는 것이다. 그에 따라 건강보험 요양급여비용은 매년마다 물가상승이나 경제 상황의 변화에 따라 조정된다. 반면, 의료급여의 경우, 의료급여법에서는 진료수가의 결정방식에 관한 내용을 규정하지 않고, 모든 사항을 보건복지부 장관에게 위임하고 있다. 그에 따라 보건복지부 장관은 2001년부터 혈액투석 치료에 관하여 정액수가제를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혈액투석 정액수가제에 대해서 2017년 헌법소원이 제기되었고, 헌법재판소는 2020년 헌법소원 심판 청구를 모두 기각하였다. 이 글에서는, 위 헌법소원 사건을 중심으로 진료수가제도의 의미와 내용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헌법적 한계로 3가지 원칙을 제시한다. 그 원칙의 첫째는 법률유보의 원칙, 둘째는 포괄위임금지의 원칙, 셋째는 비례의 원칙이다. 그러한 관점에서 검토해 보면, 혈액투석 정액수가제는 상당히 위헌적인 제도로 판단된다.

무력정자증 환자에서 인간 난포액과 SpermGrad를 이용한 정자처리법의 비교 (Comparison between Human Follicular Fluid and SpermGrad for Sperm Preparation in Asthenozoospermia)

  • 정연경;이정렬;문정희;김현준;한상훈;지병철;구승엽;서창석;김석현;최영민;김정구;문신용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3권1호
    • /
    • pp.53-60
    • /
    • 2006
  • 목 적: 보조생식술에서의 정자처리법으로서 인간 난포액을 이용한 swim-down 방법의 유용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불임평가 목적으로 정액검사를 시행할 때 정자무력증 (asthenozoospermia, sperm motility < 50%)을 보이는 12명의 남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에서 검사 후 남은 정액을 100% 인간 난포액을 이용한 swim-down법과 SpermGrad를 이용한 밀도차 분리법을 적용하여 각각 처리하고 컴퓨터 정액분석기를 이용하여 정액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두 군 모두에서 운동성과 빠른 운동성 정자의 비율, VCL (curvilinear velocity), ALH (amplitude of lateral head displacement)치 및 과활동성 정자의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였고 LIN (mean linearity)치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100% 인간 난포액을 이용한 swim-down법에서 정자의 운동성이 SpermGrad를 이용한 밀도차분리법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81.2{\pm}4.7$ vs. $67.6{\pm}2.3$, p=0.02), 다른 변수들은 두 군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100% 인간 난포액을 이용한 swim-down법은 정자무력증을 보이는 경우 유용한 정자 처리법으로 사료된다.

Serratia marcescens 검출을 위한 PCR 기법 개발 및 돼지정액 유래균주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양상 (Specific Detection of Serratia marcescens Based on a PCR Assay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S. marcescens Isolated from Boar Semen)

  • 정지아;김애란;서병주;정석찬;김인철;정기화;정병열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9호
    • /
    • pp.1133-1139
    • /
    • 2013
  • 돼지 원정액의 채취나 희석정액의 제조과정 중 세균오염이 많이 발생하는데, 이는 정자활력의 감소뿐 아니라 모돈의 수태율 저하 등을 유발한다. 특히 Serratia marcescens는 환경에 널리 존재하며 비위생적으로 제조된 정액에 많이 분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 marcescens의 신속한 동정을 위하여 PCR 기법을 개발하였으며, 국내 돼지정액 유래 S. marcescens을 이용하여 최소생육억제농도(MIC) 등을 조사하고 유효 항생제를 선발하고자 하였다. 개발 PCR 기법은 S. marcescens에서만 306 bp의 특이 유전자 증폭산물을 형성하였으며, 기타 돼지정액에서 분리 보고된 균주나 Serratia 속균에서는 유전자 증폭 산물이 형성되지 않아 특이성이 인정되었다. PCR 기법의 민감도는 S. marcescens에서 추출된 DNA $50pg/{\mu}l$까지 검출이 가능하였다. 디스크확산법에 의한 국내 돼지정액 유래 S. marcescens의 항생제 감수성을 조사한 결과, gentamicin, ceftiofur, neomycin 등에서 80% 이상의 높은 감수성을 보였다. 한편 ceftiofur, enrofloxacin, gentamicin, neomycin의 $MIC_{90}$는 각각 8, 8, 8, $16{\mu}g/ml$로 나타났다. 따라서 개발된 PCR 기법은 S. marcescens를 동정하는 유용한 방법이며, gentamicin 등 선발된 항생제는 S. marcescens에 의한 정액 내 세균오염을 관리하기 위한 희석제용 항생제로 추천된다.

정액 내 Tumor Necrosis Factor-alpha 농도와 정자 DNA 손상과의 관련성 (Seminal Tumor Necrosis Factor-alpha Level and Sperm Nuclear DNA Integrity in Healthy Donors)

  • 김현준;지병철;문정희;이정렬;서창석;김석현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6권1호
    • /
    • pp.35-43
    • /
    • 2009
  • 목 적: 정액 내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농도와 정자 DNA 손상 및 정액 검사 소견과의 관련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정액 표본은 45명의 건강한 남성에서 자위에 의하여 획득하였다. 정자의 상태는 컴퓨터 정액 분석기를 이용하여 판정하였으며, 두부의 DNA 손상은 TUNEL 분석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TNF-${\alpha}$ 농도는 동결-융해된 정장액에서 ELISA법으로 측정하였다. 결 과: 정자 DNA 손상율은 1.9%에서 53% (mean ${\pm}$ SD, 12.4${\pm}$9.6%)로 매우 광범위하게 나타났다. 단변량분석에 의하면 DNA 손상 정도와 정자의 농도, 운동성과는 관련이 없었으나, 직진운동성 (linearity)과는 음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으며 (r=-0.325, p=0.03) 연구 대상 남성의 연령과는 양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r=0.484, p=0.001). 정액내에 존재하는 TNF-${\alpha}$ (>1 pg/mL)는 연구 대상 남성의 73.3% (33/45)에서 검출되었으며 평균 농도는 4.9 pg/mL, 범위는 1.1에서 22.6 pg/mL이었다. 정액 검사 상의 정자 상태와 정자 DNA 손상과는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정자 DNA의 손상이 남성의 연령과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나, TNF-${\alpha}$와의 관련성은 확인할 수 없었다.

WAP-EPO 유전자 도입 형질전환돼지의 계대번식시 유전자 전이효율에 관한 연구

  • 이연근;박진기;민관식;성환후;임기순;양병철;김광식;김진회;장원경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4-14
    • /
    • 2001
  • 본 연구는 생명공학 관련 기술개발에 의하여 신소재 물질을 생산하고 사람에게 안전하고 생리활성이 높은 고가의 의료용 단백질 생산기술을 체계화하며 형질전환 가축을 이용한 유용물질 생산에 따른 산업화와 부가가치의 극대화에 그 목적이 있다. 유즙으로 사람의 빈혈치료제인 EPO(Erythropoietin)를 분비할 수 있는 형질전환돼지를 생산하기 위하여 WAP(Whey Acidic Protein) Promoter(2.6kb) 하류에 사람의 조혈촉진유전자(EPO: 2.6kb)를 연결시켜 미세주입용 재조합 벡터(WAP-EPO : 약 7.8kb)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재조합 벡터를 1세포기 수정란에 약 2ng/ul 농도로 미세주입한 다음 외과적 방법으로 이식하였다. 이식 후 분만 모돈으로부터 생산된 자돈의 꼬리조직을 이용 게놈DNA를 추출하고 PCR 검정을 한 결과, 유즙으로 사람의 빈혈치료제를 생산할 수 있는 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돼지 $\boxDr$새롬이$\boxUl$ (♂)를 확인하였다. 또한 이렇게 꼬리조직으로부터 확인된 새롬이의 혈액과 정액을 채취, 게놈 DNA를 추출하여 외래 유전자 삽입여부를 PCR 방법으로 검정한 결과 꼬리조직과 마찬가지로 혈액 및 정액에서도 외래유전자가 삽입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게 생산된 형질전환돼지 $\boxDr$새롬이$\boxUl$를 이용 계대번식을 통한 F$_1$ 산자의 생산과 유전자 전이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boxDr$새롬이$\boxUl$정액을 이용한 인공수정을 실시하였다. 인공수정은 1999년 7월 1일부터 2000년 9월 8일 까지 총 78두의 모돈을 이용하였으며, 그 중 21두의 모돈이 분만하여 인공수정에 의한 분만율은 26.92%로 나타났다.(Table Omitted) Table 1에서와 같이 새롬이 정액을 이용한 인공수정에 의해 형질전환된 F$_1$ 자돈의 형질전환율은 17.98%로 나타났으며, 32두의 형질전환자돈 중 8두(암:4두, 수:4두)는 분만과 동시에 폐사하였거나 사육중 폐사하여 현재 24두(암:12두, 수:12두)가 생존하여 F$_1$ 간 교배계획에 의해 사육되고 있다. 이 중 암컷 4두는 현재 F$_2$ 자돈 생산과 함께 유즙내로 사람 빈혈치료제의 분비 유무를 검정중에 있으며, FISH 법에 의한 외래 유전자 삽입 검정을 확인 중에 있다.

  • PDF

한국인의 성분비액에서의 Phosphoglucomutase-1(PGM$_1$)아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hosphoglucomutase-1 (PGM$_1$) Subtypes in Sex Secretions in Korean)

  • 최상규;김문규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33-141
    • /
    • 1988
  • 본 연구는 polyacryiamide gel등을 전기영동을 응용, 보존시간에 따른 정액반, 질액반 등에서 PGM$_1$아형의 검출 및 효소활성의 안전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정액반의경우, 실온에서 보존후 7일에는 85%,14일에는 15%의 PGM$_1$아형의 판정이 가능하였고, 21일에는 전혀 판정이 불가능 하였다. (2). 질액반의 경우, 실온에서 보존 후 7일에는 675의 PGM$_1$아형의 판정이 가능하였으나, 14일에는 전혀 불가능 하였다. 한편, 질액에 정액이 혼합된 경우, 질액의 PGM$_1$아형을 판정함으로서, 정액의 PGM$_1$아형의 추정이 가능하였다. 이 결과를 통하여 실제 법생물학 분야에 활용이 가능하다고 인정하였다.

  • PDF

소 난포란의 체외성숙과 체외수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N-Vitro Maturation and Fertilization of Bovine Follicular Oocytes)

  • 김상근;이만휘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2
    • /
    • 1992
  • 본 연구는 소의 난포란의 체외성숙과 체외수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미숙 난포란을 채취하여 형태적 분류를 통해 우수한 란을 공시한 후 난포의 크기, 정액의 형태, 수정능득법, 혈청, 호르몬, 난포액, 난구세포등을 첨가한 TCM-199 배양액에서 배양하면서 체외성숙 및 수정율을 조사하였는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소 난포란을 채취하여 배양을 통해 형태적 분류를 했을때 A형란은 61.4%, B형란은 12.1%, C형란은 19.2%, D형란은 4.2%였으며 발생중지 또는 퇴화란은 3.0%였다. 또한 A, B, C형란을 배양액에 배양했을때 난포란의 체외성숙율은 각각 89.1%, 78.0%, 52.6%였으며, 수정율은 각각 78.1%, 66.1%, 33.3%였다. 2. 소 난포의 크기를 1-2mm, 3-5mm 및 5mm이상으로 분류하여 채취한 난포란의 수는 각각 67개, 98개, 63개 였으며, 이를 TCM-199 배양액에서 배양했을때의 체외성숙 및 수정율은 각각 56.7%와 44.8%, 82.5%, 72.4%와 46.0%와 28.6%였다. 3. 소 난포란의 체외수정에 있어서 정소상체 미부정자, 희택정액 및 동결정액을 이용하여 매정하였을때 체외수정율과 분할율은 각각 63.3%, 73.3%, 70.0%와 32.7%, 37.8%, 38.3%였다. 4. 소 난포란의 체외수정에 있어서 m-KRB 처리법, HIS처리법, Ca-IA처리법, BFF처리법 및 heparin처리법으로 각각 수정능획득을 유기하였을때 체외성숙 및 분할율은 각각 53.1%, 28.1%, 33.9%와 17.7%, 50.8%와 26.2%, 48.1%와 22.8% 및 58.8%와 32.8%로서 heparin 처리법이 가장 높았다. 5. 소 난포란의 체외성숙과 수정에 있어서 각 농도의 우태아혈청과 FSH, HCG, $\beta$-estradiol을 첨가한 TCM-199배양액에서 배양했을때의 체외성숙 및 수정율은 각각 76.0-82.3%와 26.2-70.0%로서 무첨가에 비해 첨가가 높았다. 6. 발정우혈청 및 우태아혈청 5-20%를 첨가한 배양액에서 배양했을때의 체외성숙율은 각각 71.7-76.9%, 74.0-80.6%였으며 체외수정율은 51.9-58%와 26.2-30.0%로서, 체외수정율의 경우 발정우혈청의 첨가가 우태아혈청의 첨가에 비해 높았다. 7. 난포액20-30%를 첨가한 배양액에서 배양했을때의 난포란의 체외성숙율은 각각 68.0%와 64.6%, 수정율은 각각59.6%와 60.4%로서 난포액10%, 50%를 첨가한 배양액에서 배양시의 체외성숙율과 수정율에 비해 높았다. 8. 1$\times$10 6 /ml의 난구세포를 첨가한 배양액에서 배양했을때의 난포란의 체외성숙율과 수정율은 각각 76.5%와 61.7%로서 FCS 10%와 1$\times$10 4 -10 5/ml 와 1 $\times$10 8/ml난구세포를 첨가한 배양액에서 배양시의 체외성숙율과 수정율에 비해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