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신병동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32초

완화병동에 입원한 말기 암 환자에서 우울증이 생존기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epression on the Survival of Terminal Cancer Patients in a Palliative Care Unit)

  • 손지성;김원형;이정섭;김혜영;강상구;최서현;배재남
    • 정신신체의학
    • /
    • 제27권2호
    • /
    • pp.138-146
    • /
    • 2019
  • 연구목적 말기 암 환자에서 우울증이 암의 경과 및 예후와 관련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암 환자의 생존율과도 부적 관련성이 보고된 바 있으나 국내에서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완화 병동에 입원한 말기 암 환자에서 우울 증상과 생존율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방 법 2015년 10월부터 2018년 8월까지 한 대학병원의 완화 병동에 입원한 291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대상자는 혈액종양내과 전문의가 최종적으로 진단 확정한 2개월 미만의 예상 생존 기간을 가진 말기 암 환자로 하였다. 생존기간은 완화 병동에 입원 후부터 완화 병동에서 임종 시까지의 기간으로 하였으며, 3일 이내 사망하거나 일반 병실로 전실 및 다른 병원으로 전원을 간 환자는 제외하였다. 입원 시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으로 우울증을 평가했으며, 291명의 환자 중 146명(50.2 %)이 PHQ-9를 완료했으며, 145명(49.8 %)은 의식 저하 또는 환자의 거부로 인해 평가되지 않았다. 결 과 Kaplan-meier 생존 분석에서, 4주 생존율은 우울하지 않은 군(PHQ-9<10)에서 45.4%, 우울증 군(PHQ-9≥10)에서 18.7%였다. 우울증의 중증도에 따라 Cox 비례위험 모델에서, 중등도(moderate), 중증(moderately sever) 및 고도(severe)의 우울증 군의 사망 위험은 최소(minimal) 우울증 군보다 각각 2.778, 1.882 및 3.423배 높았다. 결 론 완화 병동에 입원한 말기 암 환자 중, 우울증이 있는 군에서 우울증이 없는 군보다 생존기간이 짧았다. 우울증 치료가 말기 암 환자의 생존율을 증가시키는지를 알기 위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정신병동 입원환자가 지각한 간호사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간호서비스 만족도의 관계에서 신뢰감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Trustworthi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iatric Nurses' Nonverbal Communication and Clients' Satisfaction on the Nursing Services)

  • 위휘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82-390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nurses' nonverbal communication predict clients' service satisfaction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ir trustworthiness between nurses' nonverbal communication and clients' service satisfaction in psychiatric wards. Methods: A convenience sample of 206 psychiatric inpatients was obtained. Participants completed a demographic sheet and three study instruments.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nurses' nonverbal communication, trustworthiness and clients' satisfaction. Trustworthiness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onverbal communication and clients' satisfaction. Conclusion: Clients' perception of nurses' nonverbal communication, trustworthiness and satisfaction on the nursing services have a strong relationship. Findings contribute to a more comprehensive knowledge base regarding nursing services.

  • PDF

정신건강의학과 급성기 병동 공간계획을 위한 국외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ard Design Guideline Abroad for Architectural Planning of Acute Psychiatric Ward)

  • 지수인;박경현;채철균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9권1호
    • /
    • pp.53-62
    • /
    • 2023
  • Purpose: Recently, the number of severely mentally ill patients has been increasing rapidly in Korea, but there are no design guidelines for spatial planning of Korea's acute psychiatric wards. The study aims to clarify the areas and required rooms in Korea's acute psychiatric wards which are important in establishing the design guidelines for Korea's acute psychiatric wards. Methods: This study proposed a structural framework based on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acute psychiatric ward guidelines in the UK, Australia, and the U.S. and the areas and the required rooms of the wards stipulated in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cute psychiatric ward design guidelines in Korea. The design guidelines for overseas acute psychiatric wards are 'Adult Acute Mental Health' in the UK, 'Adult Acute Mental Health Inpatient Unit' in the Australia, and 'Specific Requirements for Mental Health Hospitals'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design guidelines for overseas acute psychiatric wards, the areas of wards applicable to acute wards in domestic psychiatric wards were access, patient, treatment, support, and employee areas. In addition, the required rooms for each area were defined around major considerations such as visibility, convenience, comfort, security, safety, patient observation, barrier-free design, and privacy protection.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be presented as a structural framework and basic data for establishing design guidelines for Korea's acute psychiatric wards, which is still absent.

정신과병동 간호사의 소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폭력경험, 폭력대처, 사회적지지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Burnout of Psychiatric Ward Nurses -Violence Experience, Violence Coping, Social Support-)

  • 서정원;강미란;제남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393-405
    • /
    • 2019
  • 본 연구는 폭력경험으로 인한 정신과병동 간호사의 소진을 감소시키고 문제 중심의 표준화된 폭력대처 중재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폭력경험, 폭력대처, 사회적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정신과 병원에서 근무하는 임상경력 1년 이상인 병동 간호사 204명이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18년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로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rogram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정신과병동 간호사는 언어적 폭력 92.2%, 신체적 위협 92.2%, 신체적 폭력 75.5%를 경험하고 있었다. 대상자의 폭력경험과 폭력대처(r=0.15. p<.027), 폭력경험과 소진(r=0.16, p<.017)은 정적 상관관계, 폭력대처와 사회적지지(r=0.30, p<.001)는 정적 상관관계, 사회적지지와 소진(r=-0.28, p<.001)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간호직 만족도, 사회적지지, 신체적 폭력경험이 나타났다. 소진을 설명하는 회귀모형은 약 33.3%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정신과병동 간호사의 폭력경험을 낮출 수 있는 예방교육과 사회적지지 강화를 위한 체계마련 및 간호직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환경을 조성한다면 소진을 감소시켜 양질의 간호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입원정신질환자의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in Psychiatric Inpatients)

  • 조명주;전원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308-317
    • /
    • 2014
  • 본 연구는 입원정신질환자의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C 대학병원 정신과 병동에 입원한 정신질환자 186명이었다. 구조화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WI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살사고는 결혼상태, 진단명, 자살시도 과거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우울, 자아존중감, 영성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일반적 특성 중 자살사고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결혼상태, 진단명, 자살시도 과거력을 통제한 상태에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우울과 영성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자살사고에 대한 설명력은 52.4%이었다. 결론적으로, 입원정신질환자들의 자살사고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이들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영성을 증진하는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청소년 병동에 입원한 비행 청소년의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UNRULY & DELINQUENT ADOLESCENTS ADMITTED TO A PSYCHIATRIC INPATIENT UNIT)

  • 이영식;김원정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8권1호
    • /
    • pp.70-82
    • /
    • 1997
  • 본 연구는 비행청소년의 사회심리적 특성을 파악하고 비행을 직접적으로 유발시키는 요소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청소년 병동에 입원한 환자 중 정신증 진단을 제외한 210명을 비행의 정도에 따라 경찰체포후 훈방된군(60명), 재판 판결을 받은군(35명), 이러한 사실이 없는 정서적으로 혼란된 비교군(105명)으로 나누어 인지-학습, 감정상태, 자살사고, 성격특성, 가족구조, 생활사건 영역에 관한 표준화된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공유진단을 파악하고자 이중 무작위로 60명은 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비행청소년은 비교군에 비해 1) 입양, 성생활의 문란, 가출, 정신과 입원력이 높았으며, 2) 언어성 지능지수 및 학습능력이 떨어지고, 3) 성격구조상 충동적이고 사회순응도가 낮으며, 강압적이며, 4) 가족단위의 여가활동이 적고, 낮은 종교 도덕관을 가진 가족의 특성을 보였으며, 5) 부정적 생활 경험이 많았고, 6) 품행자애, 반항장애,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진단율이 높았다. 우울, 불안, 자살사고는 3군중 훈방된군에서 가장 낮게 나왔다. 따라서 비행청소년을 다룰 때 비행에 관여하는 인지학습측면, 충동적인 성격구조, 가족구조, 부정적 생활경험, 파탄적 행동장애 측면에 관한 보다 집중적인 대처방안이 강구되어져야 하겠다.

  • PDF

소아청소년 정신과병동 입원아동의 학대에 대한 임상 연구 (CLINICAL STUDY OF THE ABUSE IN PSYCHIATRICALLY HOSPITALIZED CHILDREN AND ADOLESCENTS)

  • 이수경;홍강의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0권2호
    • /
    • pp.145-157
    • /
    • 1999
  • 이 논문은 소아청소년 정신병동에 입원한 아동에서 신체적, 정서적 학대와 방임이 동반된 아동을 선별하여 이루어졌다. 입원 아동중 이에 해당하는 아동이 얼마나 되는지 살펴보았으며 학대가 아동의 정서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다양하고 가족의 특성과 발달과정에 따른 영향이 서로 상호 작용할 것으로 생각되어 특징적 증상과 발달력, 학대의 특성, 학대자의 특성, 가족역동, 정신병리의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았다. 1995년 9월부터 1997년 8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 소아청소년 정신과 병동에 입원한 아동 중 주치의의 면담과 병록지를 참조하여 학대와 방임이 뚜렷하다고 판단된 아동, 22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1) 아동의 인구학적 특징:성별은 남아가 1:6.3의 비율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평균연령은 $11.1{\pm}2.5$세였다. 형제순서는 첫째가 12명(54.5%), 둘째 5명(23%), 셋째는 2명(9%)이었고 독자는 3명(13.5%)이었다. 2) 가족의 특징:사회경제적 상태는 중상 3명(13.5%), 중 9명(41%), 중하 9명(41%), 하 1명(0.5%)이었다. 가족 수는 3인 이하 3명(13.5%), 4∼5인이 17명(77.5%), 6∼7인 2명(9%)이었다. 부가 직업이 있는 경우는 18명(81.8%)이었고 모가 직업이 있는 것은 7명(32%)이었다. 결혼상태는 이혼과 별거가 5명(23.0%), 재혼 2명(9%)이었고 심각한 부부불협화는 19명(86.5%)에서 보였다. 부에서 반사회적 행동은 7명(32%), 알콜 중독은 10명(45.5%)이었다. 모의 알콜남용이 5명(23%)이었고 우울은 17명(77.3%)에서 보였으며 정신과 진료력이 6명(27%)에서 있었다. 3) 학대의 특징:신체적 학대가 18명(81.8%), 신체적 방임과 정서적 방임은 4명(18.2%)이었다. 학대 시작시기는 3세 이전이 15명(54.5%) 3세 이후가 5명(27.5%), 학령기가 1명(5%)이었다. 학대가 부에 의해서만 일어나는 경우는 2명(9%)이었고 모에 의해서만 일어나는 경우는 8명(35.4%)이었으며 부모에 의해 동시에 일어나는 경우는 8명(35.4%)이었다. 배우자 구타가 동반된 것은 7례(27%)에서 였고 배우자 학대의 피해자는 자녀에 대해 신체적 학대나 정서적 학대를 가하고 있었다. 형제자매가 같이 학대를 받고 있는 것은 4명(18.2%)이었다. 4) 학대아동의 일반적 특징 및 발달력:원하던 아이로 태어난 것은 10명(45.5%)이었고 원하지 않는 아이로 태어난 아동이 12명(54.5%)이었다. 학대이전에 언어나 운동발달상의 이상을 보인 아동은 9명(41%)이었으며 공존하는 발달장애가 있는 아동은 모두 15명이었는데 이들 중 학대이전에 뚜렷한 발달지체의 증거가 없었던 경우는 6명(27.5%)이었다. 또 학대이전 과잉운동을 보인 아동은 9명(41%), 키우기 어렵게 지각한 아동이(difficult child) 6명(27.5%)이었다. 뇌파의 이상소견은 5명(23%), 두뇌의 컴퓨터단층촬영이나 핵자기 공명술 이상소견은 4명(18.2%), 벤더-게스탈트검사에서 기질성 뇌장애를 의심할만한 소견은 14명(63.5%)에서 보였다. 지능검사의 결과는 평균이상 IQ는 12명((54.5%), 지능지체 및 경계선 지능은 9명(41.0%)이었다. 5) 주 진단 및 공존진단:주 진단으로는 행실장애가 6명(27.3%), 경계선장애(borderline child) 5명(23.0%), 우울병 4명(18%),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 4명(18%), 달리 분류되지 않는 전반적 발달장애 2명(9%), 선택적 함구증 1명(5%)이었다. 모든 대상 아동이 주 진단 이외의 2∼6개 이상의 다양한 공존진단을 보였다. 공존진단에는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 우울병, 경계선지능 및 정신지체, 학습장애, 언어발달장애, 적대적 반항장애, 만성 틱장애, 기능성 유뇨증과 유분증, 달리 분류되지 않는 불안장애, 해리 장애, 기질성 성격장애순이었다. 6) 치료경과:이들 아동의 입원기간은 평균 2.4개월(${\pm}1.5$)이었고. 이들 중 권유에 의한 퇴원은 14명(63.5%), 조기거역퇴원은 6명(27.3%)이었고 증상의 호전을 보인 것은 모두 11명(50%)이었고 변함이 없는 경우도 11명(50%)였다.

  • PDF

종합병원 간호사의 소진개선을 위한 소시오드라마의 활용 (Application of Sociodrama for Reducing Burnout of Nurses in General Hospital)

  • 신은희;정현강;은홍배;정경희;임세원
    • 정신신체의학
    • /
    • 제17권2호
    • /
    • pp.62-67
    • /
    • 2009
  • 연구목적 : 집단 치료 방법 중의 하나인 소시오드라마가 종합병원의료종사자의 직무 만족도와 소진정도를 개선할 수 있는지와 직종 및 직종 내의 갈등, 직무만족도, 그리고 소진정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0명에게 정신과 전문의가 소시오드라마에 참여를 권유하여 동의한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소시오드라마 시행 1주후 병동조직특성척도(ward organizational feature scale)과 소진척도(Maslach burnout inventory)를 작성하게 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소시오드라마 시행군과 동일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들 중 소시오드라마에 참여하지 않았던 20명에게 동일한 척도를 시행하기를 권유하였으며 17명이 척도를 완성하였다. 결과 : 소시오드라마 시행군(N=15)은 대조군(N=17)에 비해 소진정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간호사/의사관계와 직무만족도 및 소진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회귀분석을 통해 변인간 상호작용을 통제하였을 때에는 직무만족도만이 소진에 대한 유의한 예측변인이였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소진정도를 개선하는데 있어 소시오드라마의 시행이 긍정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향후 본 연구의 제한점을 개선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 PDF

정신건강의학과 안정병동 내 병원학교교실 참여자의 학교복귀율과 만족도 (Successful Schooling Rate and Satisfaction of the Inpatient Hospital School Participants among the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Inpatients in the Closed Ward)

  • 이미경;방수영;안준호;박장호;최현경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4권3호
    • /
    • pp.141-150
    • /
    • 2013
  •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report is to identify the utilization of hospital school service during hospitalization among patients in their childhood and adolescence with psychiatric disorders.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who were hospitalized during March 2009 through October 2012. We compared the one-year successful schooling and outpatient follow up rate between users and nonusers of the inpatient hospital school service. The hospital schooling experiences of the users were investigated upon follow-up visits to the outpatient clinic. Results : Sixty-three students received hospital school service during hospitalization among total 122 child and adolescent inpatients. Hospital school participant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chool reentry rate (61.9%) than non-participants (40.7%).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on follow up rate between the two groups. More than 60% of the 22 interviewed participants expressed an above-average level of satisfaction about hospital school service. Conclusion : Many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experience difficulty in receiving school education during treatment. That induces deterioration in disease, academic failure, poor social skills, low self-esteem, economic difficulties, and future job opportun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hospital school service and offer useful guidance for hospital school operation.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정신간호역량, 정신질환자 간호업무 스트레스가 일반 병동간호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rses' Attitudes toward Mental Illness Patient, Psychiatric Nursing Competency and Nursing Work Stress on Burnout of Nurses in General Ward)

  • 이선미;윤정숙;신성희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8권1호
    • /
    • pp.31-40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burnout of nurses caring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 in general hospital wards.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186 nurses in general wards with more than one year of clinical experience working at three general hospitals in Seoul,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1.0. Results: The factors influencing burnout were nursing work stress (β=.30, p<.001), attitude towards people with mental illness (β=-.25, p<.001), religion (β=-.21, p=.001), psychiatric nursing competency (β=-.16, p=.016), experience of nursing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 (β=.14, p=.023), and gender (β=.14, p=.026), explaining 33.5% of the total variance (F=16.53, p<.001).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n education program to lower nurses' work stress, to create positive attitude towards people with mental illness, and to enhance psychiatric nursing competency for prevention and mitigation of burnout of nurses caring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