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성적 조사

Search Result 1,240,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우수저류시설 운영 개선방안 연구

  • Ahn, Jae-Chan;Kim, Yun-Tae;Jung, Do-Joon;Lee, Jae-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28-228
    • /
    • 2012
  • 우수저류시설 사업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녹색뉴딜사업" 추진방안 중 "대체수자원확보 및 친환경 중소댐 건설" 과제의 핵심사업으로 선정('09년)되어 추진하고 있는 사업으로 최근 기후변화에 의해 빈번하게 발생되는 국지성 집중호우에 의한 침수피해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저류된 빗물을 대체 수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국내의 우수저류시설 사업은 현재 시행 초기단계로서 제반 설계 및 유지관리 기술이 부족한 실정이며, 이로 인해 실제 운영시 많은 시행착오가 예상된다. 또한 전문가에 의한 시설 설치후 운영 등의 현황 분석 및 사업효과 분석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기설치된 우수저류시설을 대상으로 현지조사 및 담당자 인터뷰를 통하여 시설 설치와 운영, 모니터링 등의 분야에 대한 현 실태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시설 설치 분야의 경우 지역에 따라 스크린내 부유물 제거를 위한 제진기 설치, 원격조정시스템의 효율성 증진을 위한 CCTV 설치, 저류지 및 하류부 홍수위를 고려한 수문 및 여수로 운영계획 수립, 여수로 말단 하천 합류부에 유속감소시설 설치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시설 운영분야의 경우 지역에 따라 초기 강우가 저류조에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횡월류 위어 설치, 유량 및 수문관련 DB 출력 시스템 보완, 연속강우를 고려한 시나리오 작성, 저류시설의 운영 매뉴얼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계측시스템 분야의 경우 수위계, 유량계, 유속계 증설 또는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대부분의 지역이 시설 설치에 따른 피해 저감효과 분석에 필요한 DB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현 상태에서 저류시설 설치 전 후에 따른 침수피해 저감 영향에 대해 정성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bigcirc}{\bigcirc}$지구의 경우 호우사상이 유사한 2007년 태풍 "나리"와 2011년 7월 집중호우시의 침수범위를 비교할 때 시설 설치에 따른 홍수 저감효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 결과, 저류시설에 의한 침수피해 저감 효과가 높다는 것을 고려할 때 지역 특성을 고려하여 우수저류시설 운영에 필요한 수리구조물 설치 운영, 계측시스템 설치 및 운영매뉴얼을 수립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Agricultural Water Supply Benefits for Water Resources Projects (수자원사업의 농업용수 공급편익 산정 방안 연구)

  • Kim, Gil-Ho;Yi, Choong-Sung;Lee, Jin-Hee;Shim, Myung-P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550-1554
    • /
    • 2008
  • 우리나라에서 수리불안전답은 전체 답의 2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총 수자원이용량 대비 농업용수 이 용량은 50% 수준으로 아시아 또는 세계 평균에 비하여 매우 낮은 편이다. 또한, 과거 설치된 수리시설물이 노후화되었고, 국가의 균형적인 농촌사회 개발, 그리고 국내 농업경쟁력 제고 측면에서 추가적인 농업용수 공급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농업용수 공급사업과 관련된 타당성분석 사례를 살펴보면 편익항목의 설정, 분석방법 및 절차에서 일관성이 없는 경우가 많고, 이처럼 일관성이 결여된 분석은 사업의 타당성을 충분히 제시하지 못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사업의 신뢰도를 잃게 되어 투자의 우선순위에서 밀려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편익산정에 앞서 농업용수 공급이 가지는 정성적인 가치를 생산측면, 소득/소비측면, 고용측면, 식량안보측면, 환경측면으로 구분하였고, 이 가운데, 편익산정 시 반영할 항목으로 생산증대편익과 가뭄피해 저감편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농업용수 편익산정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타당성조사 시 편익을 보다 실제적이고, 적극적으로 반영하고자 하였고, 향후 관련 사업의 추진 시 사업이 갖는 타당성을 보다 현실적으로 반영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 판단된다.

  • PDF

Association of food insecurity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한국 성인의 식품안정성과 우울증 연관성)

  • Lee, Kowoon;Yoo, Hye-So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1
    • /
    • pp.62-71
    • /
    • 2016
  • Food insecurity is associated with poor health outcomes. In particular, previous studies marked the adverse outcomes on mental health.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of food insecurity and mental health in Korean adults using the data from the 2013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The study population was 5,685 adults in Korea. Food insecurity was examined using 18-items. A diagnosis of depression was considered to be depression. Depressive symptoms were defined as more than 2 weeks of depression feelings.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s examined the associations between food insecurity and depression and depressive symptom. The overall prevalence of depression was 3.8% in the participants. Food insecurity was associated significantly with depression and depressive symptom in the unadjusted and age and sex adjusted model. Food insecurity was associated with depression, depressive symptoms in th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 (OR:3.49, OR:3.70). Marginal food insecurity was not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th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food insecurity i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depressive symptoms in adults. Multi-disciplinary interventions are needed including nutrition, health, health policy, and a healthy environment for the food insecurity group to achieve a better health outcome, especially mental health.

Study on design indicator for wood structure of forest engineering works in Japan(2) - Focus o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 (일본에 있어서 산림토목 목제구조물 설계지침에 관한 연구(2) - 설계 및 시공을 중심으로 -)

  • Kim, Min-Sik;Chun, Kun-Woo;Lee, Jin-Ho;Ezaki, Tuzio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v.22 no.1
    • /
    • pp.50-57
    • /
    • 2006
  • The design instruction put in the wood structure construction manual of forest engineering works issued in Japan in 2004 is composed of the introduction, the use and characteristic of wood, investigation, planning, design, and etc. We analyzed planing and construction. By the results, the contents for the design are shown about applied woody conditions and deterioration, structure, selection of tree, the standardization of the size displays in wood, safety and examination of intensity, intensity of wood, the ranges of wood size allowance, and etc. With respect to the construction of wood structure, there are detailed descriptions regarding security of wood quality, confirmation of wood quality by preservative treatment and security methods of function in wood structure, the regular investigation method, the qualitative standard criterion and the quantitative examination method on the deterioration of wood.

  • PDF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y on Virtual Makeup of Instant Beautifying Application - Focus on Color and Shape (화장품 앱에서 가상 메이크업 템플릿과 메이크업 룩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Oh, Seung Hyun;Jun, Chang Lim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9 no.9
    • /
    • pp.1653-1662
    • /
    • 2018
  • Inspired by the increasing popularity of cosmetic-related mobile application as a tool for instant beautification, the present study examined colors of virtual makeup templates and makeup looks. A survey study was performed by thirty-six respondents to determine the top three desirable virtual makeup templates among nineteen templates. The templates of 'Bella', 'Hilary' and 'Cara' were then analyzed by makeup specialists and color experts for the evaluation of their makeup design and colors. Each color feature of three makeup templates were also evaluat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of ANOVA on the measure of $L^*a^*b^*$ crossed with five types of face elements on three types of virtual makeup images. Overall results indicate that Korean female users in their 20s and 30s preferred a similar makeup concept appeared in makeup template and key worlds. They also preferred a pale skin tone with higher lightness and a slightly higher saturated lip color as an emphasis than other features.

A Study on the Meta Search System and the Curriculum-oriented Directory System for Youth in Science (청소년 대상 과학분야 메타검색시스템과 교과별 디렉토리시스템 연구)

  • Kwak, Seung-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8 no.2
    • /
    • pp.189-212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the meta search system and the curriculum-oriented directory system for youth in science and to prove the efficiency of the systems through evaluating the usability. To att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both of the quality and quantity research method were used and questionnaire, interview. observation, thinking aloud method were used to collect a data for research.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the meta search system supplying convenient information use environment about the distributed information sources has higher usability than the individual search system. And the curriculum-oriented directory system supplying accessibility related with the class has higher usability than the subject-oriented directory system.

The verbal analysis method of user′s self-concept for the design direction of product development (제품디자인 방향설정을 위한 사용자 자아개념의 언어적 분석방법)

  • 강범규;김성현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5 no.4
    • /
    • pp.399-408
    • /
    • 2002
  •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in quality of life and the progress of user's taste in this modern society, people great deal with the symbolic meaning of product which express user's self-concept(image). Therefore, this kind of information of users' image is needed to deal importantly for the product design development processes, particularly, the early stage of design development such as the concept design development stage. But, there is not much analysis tools which deal qualitative data of users for the design development. From this reason, the supply of information of user's image through the development of verbal analysis method of user's self-concept will help a designe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not only developed the twenty-one factors in order to evaluate user's self-concept, but also suggested that the new approach method that can classify user's group within the same characteristic of user's image using the twenty-one developed verbal measurement items with tools of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design direction of product. The developed this verbal analysis tool was testified through the case study in this research work.

  • PDF

A Case Study on the Information Capacity Assessment Index of local Residents Using Score Card (스코어카드를 활용한 개인 및 지역정보화 수준 측정 사례연구)

  • Jeong, Hyeong-Chul;Cho, Young-Im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1 no.6
    • /
    • pp.1077-1091
    • /
    • 2008
  • In this study, we consider to assess the information ability of individuals related to local information. Questionnaire surveys are frequently used for studies on the measuring of information index and such specified indexes of society development. However, if questionnaire papers measured individuals' abilities and such parts of quality, the subjective judgments of respondents cannot but be intervened. Therefore a method which will enable subjective points to be comparatively objectified is needed. In this study, when an attempt is being made to measure individuals' information capacity through questionnaire surveys as the process for calculating the standards of regional information levels. Cases have been looked at for times when, by using a scorecard, individuals' subjective survey result have been be changed to be comparatively objectified scores and such process. The logit model was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scorecard. In this study, we have presented a clue which enables the comparative measurement about regional information gaps by using characteristics of regional population statistics.

Development Scheme of the Domestic Education System for Hydrological Survey Experts (수문조사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국내 교육체계의 발전 방안)

  • Han, Hak Young;Jang, Bok Jin;Jung, Sung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82-582
    • /
    • 2016
  • 최근 이상기후와 높아지는 물 수요 등으로 인하여 물관련 문제가 전 세계적으로 심각해지고 있다. 따라서 많은 국가에서 깨끗한 물을 국민에게 공급하고 물로 인한 재해로부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국가적 체계와 정책은 이제 당연한 중요과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물 관련 문제에 대하여 적극적이고 합당한 대안의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신뢰도 높은 수문자료가 중요한 기초자료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수문자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조직체계, 충분한 예산, 높은 기술력 등과 함께 전문인력이 필수조건이다. 이러한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교육과 경험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국토해양부(현재 국토교통부)는 수문조사 전문가 수요를 충족시키고자 2008년 4월 하천법을 전부 개정하여 수문조사 관련 업무 종사자에 대한 교육을 명시화하고 이를 시행토록 의무화하였다. 교육을 수행할 기관으로 한국건설기술연구원(유량조사사업단)과 한국수자원공사(K-Water 교육원)를 선정 후 위탁하여 2009년부터 교육기관별로 매년 2회 이상 수문조사 종사자 교육훈련이 실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수문조사 관련 업무 종사자는 교육대상자로써 전문인력으로 발전되고 국가로부터 관리되고 있다. 현재까지도 수문조사 종사자는 수문조사 관련 업무에 종사한 날부터 2년 이내에 30시간 이상의 교육을 받아야 하고, 3년마다 재교육을 받아야 함을 규정(하천법시행령 제13조) 하고 주기적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수문조사 종사자 교육훈련이 처음 실시된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총 1,311명이 수료하였다. 교육수료자수는 최대 277명(2009년)에서 최소 155명(2013년)으로 7년 평균 188명으로 집계되었으며, 이중 재교육수료자는 2015년까지 총 260명으로 집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수문조사 전문가 양성을 위해 국토교통부에서 실시한 수문조사 종사자 교육훈련의 성과와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국외 수문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관련 선진사례로서 프랑스의 물 전문가를 위한 국립교육센터(CNFME)를 선례로서 조사하였다. 그리하여 향후 우리나라의 수문관련 전문가 양성을 위한 우리나라 교육체계의 발전방안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 PDF

지표레이다(GPR) 탐사에 의한 하상퇴적물 조사

  • Jang, Hyeon-Sam;Jeong, Seong-Tae
    •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 /
    • v.5 no.1
    • /
    • pp.51-62
    • /
    • 2002
  • Investigation of underwater sedimentary layers has been carried out with GPR(Ground Penetration Radar) survey. FPR survey has been proved to be very satisfactory since the target area has shallow water depth of about 2.5 m, is a lake with no water flow, and the thickness of mud layer, which is a main survey target, is relatively thin. The results clearly showed the underwater sedimentary layers, which includes mud, sand, gravel and basement layer. Specially, the distribution and total amount of mud layers from the survey results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dredging of mud layer in the a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