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서지식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23초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식물재배시스템 (Plant Cultivation System Using the IoT)

  • 이기영;김호현;정윤하;노한별;박용욱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657-662
    • /
    • 2017
  • 시간이 부족한 현대인들에게 식물은 정서적인 안정감을 주고 미세먼지와 같은 해로운 물질로부터 식물이 가지는 정화기능이 입증되면서 더 많은 관심을 받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식물이 영향을 받는 요소(온도, 토양습도, 조도)등의 기준을 정해 전문적인 지식없이 쉽게 실내에서 키울 수 있는 식물 재배 시스템을 만들고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식물 관리에 필요한 간단한 온도, 습도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식물 관리에 필요한 노하우를 얻을 수 있는 컨텐츠를 제공해주는 시스템을 연구하였다.

학생 정서·행동특성 검사 및 관리에 대한 학부모의 지식과 태도 (Parents' Knowledge and Attitudes Regarding a Screening Test for and Subsequent Management of Student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 김명희;서지민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3권2호
    • /
    • pp.207-218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ar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regarding a screening test for and subsequent management of student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Methods: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was used, and included disproportional stratified and cluster random sampling. The sample comprised 223 parent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d test, and ANOVA with SPSS/WIN 21.0. Results: Overall, parents responded that they knew of the goals, types, and tools of screening tests for student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In total, 64.6% of parents reported having information for the screening test in advance. Only 13.5%(n=30) of students had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in the last year. Among these students, 56.7%(n=17) were referred to mental health facilities but only 29.4%(n=5) of them received ongoing management from these facilities.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arents should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screening test for and subsequent management of student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Health professionals need to build strategies to provide ongoing management for students who hav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마음인문학의 사상적 정초: 필요성과 이를 위한 방법적 시론 (Theoretical Establishment of The Mind Humanities: Necessity and Methodological Approach)

  • 양대종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3호
    • /
    • pp.235-247
    • /
    • 2011
  • 상황에 따라 유동적이고 상호 모순적이기도 한 마음의 여러 층위와 국면들과 이들 사이의 메커니즘을 다뤄야 한다는 것이 마음인문학의 출발점이다. 마음이 아직 자세히 밝혀지지 않은 중층적이고 다면적인 사태라면 각각의 층위와 면들을 바라보는 관점들이 많아질수록, 우리가 마음에 대해 더 많은 정서로 담론을 전개할수록 마음이라는 개념이 갖는 미래의 객관성은 그만큼 더 완벽해 질 것이다. 역사 속에서 이미 여러 분야의 영역에서 이루어진 마음담론들의 각각은 마음이라는 사태를 바라보는 하나의 시선을 마무르는 작업이며 새로운 관점을 모색하기 위한 시도였다. 본 연구는 아직 명료하지 않은 마음개념의 정립을 위해 토픽맵과 세만틱맵에 근거하여 디지털 마음 지식지도를 구축할 것을 제안하며 한 가지 모델을 제시하고 있는 글이다.

수학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 개발 연구 - Perry의 발달도식과 Langer의 마인드풀니스를 기반으로 - (Development of the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Inventory based on Perry Scheme and Langer's Mindfulness)

  • 이규희;이지현;최영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4호
    • /
    • pp.775-79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수학에 대한 태도를 인지적 차원의 인식론적 신념과 능동적 차원의 행동 의도, 정서적 차원의 감정으로 개념화하여, 수학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인지적 차원의 수학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과 능동적 차원의 수학에 대한 마인드풀니스의 하부구인을 구성하기 위하여 Perry의 인식론적 신념 발달도식과 Langer의 마인드풀니스 이론을 고찰하였다.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거쳐 신뢰도와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검사도구는 수학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에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학에 대한 태도 측정 검사도구는 수학적 지식을 수동적으로 암기하는 수학 교수학습 상황을 진단하고 그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새로운 관점의 분석적 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어린이도서 수출현황으로 살펴본 한국의 어린이그림책 (An Analysis of Korean Picture Books Focused on the Current Status of Children's Book Export)

  • 민경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35-63
    • /
    • 2018
  • 한국의 어린이도서는 세계 출판시장에서 문화상품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국외에 소개되고 있는 한국 어린이도서의 출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중국에서는 어린이 학습용의 지식정보 그림책, 일본과 프랑스에서는 한국적 정서와 전통 문화를 다룬 전통문화 그림책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특히 프랑스는 다양한 장르와 테마를 다룬 판타지 그림책과 어린이문학의 경계를 확장한 다양한 시도의 작품들을 소개하고 있다. 도서관계는 이러한 현상을 기반으로 어린이그림책의 독서콘텐츠로의 역할은 물론 우수한 문화콘텐츠로서의 역할과 확대 방안 등을 검토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과학적 지식 탐색 과정에서 초등학생들의 인식적 정서와 이를 이끄는 인지적 평가 요인 탐색 (Exploring the Epistemic Emotions of Elementary-School Students and the Cognitive Appraisal Factors Leading Their Emotions in the Process of Scientific Knowledge Exploration)

  • 허민아;오필석;한문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4호
    • /
    • pp.496-509
    • /
    • 2019
  • This study explores the types of epistemic emotions that elementary-school students experience in science classes and the cognitive appraisal factors that affect these emotions. Thirty-two fourth-grade students of an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South Korea, participated in 20 science periods and wrote emotional diaries at the end of each class. In addition, the researcher conducted follow-up interviews to investigate the types of cognitive appraisal factors that caused the students to experience specific epistemic emotions that were recorded in their emotional diaries. The emotional diaries and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of qualitative analysi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tudents experienced various positive and negative epistemic emotions. In addition, the cognitive appraisal factors experienced by the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curriculum knowledge, experimental materials, experimental content, students, teachers, themselves, and integrated factors. We discussed that students' epistemic emotions are constructed cognitively and socially and that students inevitably experience negative epistemic emotions during science classes.

창업자의 특성이 창업기업의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업팀 역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엄승권;황보윤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67-170
    • /
    • 2019
  • 최근에는 거의 모든 분야에서 ICT와 같은 기술기반 산업과의 융합을 통한 창업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어, 이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개인 수준뿐만 아니라 팀 수준의 특성을 함께 살펴보는 것이 더 현실적인 상황을 반영하고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판단된다. 팀창업일 경우 기업의 성과는 개인-팀 역량의 혼합 결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창업기업의 성공과 실패를 가름하는 다양한 요인들을 제시해왔으나, 이러한 요인은 창업자의 개인적 특성, 보유하고 있는 자원 등에서 찾는 선행연구가 대부분이다. 관련 연구들을 종합하면 창업기업의 성장은 창업가 특성, 자원, 전략, 산업, 그리고 조직 구조 및 시스템의 함수로 정리된다. 그러나 창업팀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기 창업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으로 창업가의 특성인 창업역량(entrepreneurial competency)에 초점을 두고, 창업팀의 역량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살펴본다. 개인의 특성에 집중해온 기존 연구에서 더 나아가 창업역량의 영향력을 창업가 개인 수준 및 팀 수준으로 구분하여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예비 창업가 및 초기 창업기업이 안정적인 사업화를 위해 팀구성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정부 지자체 민간 등에서 창업지원사업 운영 시 팀구성이 잘 된 창업기업을 선발하는 기준을 수립하기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참여 촉진하기 - 초등학생들의 긍정적 정서 구성을 돕는 과학 전담 교사의 실천적 지식 - (Facilitating Participation - A Science Subject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for Helping Elementary Students' Construction of Positive Emotion -)

  • 한문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2호
    • /
    • pp.244-26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practical knowledge used by a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acher during learner-centered science instruction can promote elementary students' construction of positive emotion. Using an auto-ethnographic approach over a period of three months, the researchers collected students' interest diaries, post interviews with students, video recordings in science classes, and students' personal diaries and analyzed them by means of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In this way, the researchers categorized the structure of the practical knowledge held by the teacher and explained how it was applied in learner-centered science instruction to promote students' construction of positive emotion. Three images of an elementary scienc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emerged and can be categorized under the following headings: 1) 'From science classroom to science $caf{\acute{e}}$', 2) 'Pleasant experiment class for all students and the teacher', and 3) 'A science class for students who were marginalized'. These images were backed up by principles and rules, and the teacher came to embody these images as he implemented these rules. This study also discusses how the impact of a scienc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on students' construction of positive emotions can be interpreted as promoting positive outcomes rather than negative sanctions, meeting students' expectation from lab activities, and meeting the specific needs of marginalized students in a science class.

과업 상호의존성과 정서적 조직몰입이 구성원의 양방향 커뮤니케이션과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ask Interdependence and Emotional Commitment on Employees' Two-way Communication and Their Knowledge Sharing)

  • 이승림;백승령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9권4호
    • /
    • pp.77-99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wo-way communication and knowledge sharing on the task performance of employees in the interdependent task structure in organizations. Based on the theories of social interdepende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hypothesized the effects of task interdependency and emotional commitment on two-way communication and knowledge sharing, followed by the effects of these variables on the task performance of employees. Design/methodology/approach Survey results show that task interdependence and emotional commitment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degree of two-way communication and knowledge sharing. Two-way communication also has a positive impact on knowledge sharing, and knowledge sharing also improved the task performance of members.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wo-way communication and task performance shows no significant impact. Findings Theoretical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process of task interdependence in relation to emotional commitment leading to task performance is theorized. In practice, this research suggests it is important to improve employees' two-way communication and knowledge sharing in order to lead to increase task performance in the interdependent task environment.

대학 교수자의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 관련 요인: 인식론적 신념과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Factors Related to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TPACK) of College Instructors: Focusing on the Epistemological Beliefs and the Social Support)

  • 양미석;조영선;김지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1-12
    • /
    • 2016
  • 급속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대학 학습자의 특성 변화에 따라 대학 교수자의 다양한 수업개선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은 통합 테크놀로지 기반의 수업설계를 위해 교수자가 갖추어야 할 역량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TPACK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관한 대학 교수자의 인식을 알아보고, 이와 관련된 변인으로 인식론적 신념,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264명의 교수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대학 교수자의 TPACK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PACK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과 사회적 지지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 하위요인 중에서 정서적 지지는 TPACK 중요도 인식에, 정보적 지지는 TPACK 실행도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 교수자의 TPACK 역량 개발 및 지원을 위한 방안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으로, 무엇보다도 교수자의 사회적 지지 향상을 위한 교수지원 전략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