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상정복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19초

소아에서의 전위된 경골극 골절의 관절경적 치료 (Arthroscopic Treatment of Displaced Tibial Spine Fracture in Children)

  • 최남용;정형국;고해석;한석구;나기호;송현석;김배균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48-153
    • /
    • 2005
  • 목적: 소아에서 발생한 전위된 경골극 골절에 대해 관절경을 이용하여 정복 및 고정을 시행 후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 그 유용성을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2월부터 2004년 7월까지 경골극 골절로 내원한 소아 환자중 골편이 전위되어 수술적 가료가 요하였던 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3예, 여자가 2예였으며, 평균연령은 9.1세(8.3세${\sim}$11세)였다. Movers & McKeever 분류상 5예 모두 III형이었고, 수상 후 수술일까지의 기간은 평균 4.8일($3{\sim}8$일)이었다. 수술 방법은 3예에서 관절경하 정복 및 견인 봉합술을, 나머지 2예는 관절경하 정복 및 나사못을 이용하여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평균 추시기간은 38.2개월(13개월${\sim}$56개월)이었다. 술후에는 2주간 장하지 석고 고정후 단계적 관절운동을 허용하였으며 술후 6주에 완전 체중 부하를 허용하였다. 수술 후 임상적 평가는 관절 운동 범위, Lachman 및 Pivot shift 검사 KT-1000 관절계를 이용하여 전방전위 정도를 측정하였고, 슬관절 기능평가는 Lysholm 슬관절 점수와 modified Feagin 점수를 측정하였다. 결과: 술 후 5예 모두에서 골유합을 얻었고, 최종 추시시 슬부 전방 동통이나 자각증상은 없었으며, 정상 슬관절 운동범위로 회복되었다. Lachman 검사상 1예에서 경도의 양성 소견을 보였으나 나머지 4예에서는 정상 소견을 보였다. KT-1000 관절계를 이용한 전방 전위 검사에서는 술 후 평균 1.9 mm였고, Lysholm 점수는 술 후 평균 99.4점, modified Feagin 점수는 모든 예에서 양호 이상이었다. 결론: 소아에서 발생한 전위된 경골극 골절시 관절경을 이용한 정복 및 고정으로 특별한 합병증 없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견인 봉합이나 나사못을 이용한 고정술은 골편 고정에 모두 유용한 치료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비정복성 관절원판변위와 전치부 개교합 발생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and Development of Anterior Open Bite)

  • 허윤경;고명연;안용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3호
    • /
    • pp.293-303
    • /
    • 2007
  • 목적 : 비정복성 관절원판변위와 연관되어 전치부 개교합이 발생하는 원인과 교합장치 치료가 개교합 발생과 연관이 있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 2년간 경북대학병원 구강내과에 턱관절 질환으로 내원한 환자 중에 임상적으로 비정복성 관절원판변위로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파노라마, 측방 횡두개상 그리고 측방 두부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였다. 환자는 3군으로 나누었으며 1군은 처음 병원에 내원할 때 개교합이 있거나 교합장치 치료를 제외한 치료도중에 갑자기 개교합이 유발된 군(22명), 2군은 교합장치 치료 도중에 개교합이 발생한 군과 이 기간동안 예전에 이미 교합장치 치료도중 개교합이 발생한 후 정기적 관찰 환자를 포함한 군(16명). 그리고 3군은 교합장치 치료 후에도 개교합이 발생하지 않은 군(20명)으로 구성되었다. 측방 두부방사선 계측으로 개교합 발생과 안면부 골격 형태의 연관성을 한국인 정상 교합자들의 평균치와 각 3군 간의 t-test 비교와 ANOVA를 이용해 3군 간의 골격 형태를 비교 조사하였다. 결과 : 1. 1군과 2군은 정상 교합자들의 평균치와 비교했을 때 대부분의 경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1, 2, 3군 모두에서 하악의 크기와 형태를 나타내는 변수들과 더 작은 ANB, 더 큰 FMA 값을 보였다. 2. 세군 간의 비교에서 1군과 2군은 3군에 비해 더 큰 하악하연각 (a larger FMA, a larger SN to mandibular plane angle), 짧은 하악지, 더 큰 하악각을 가졌으며, 1군과 2군 간은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가 없어 비슷한 수직적 부조화가 큰 골격형태를 가졌으며, 3군은 1, 2군과는 달랐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1군과 2군은 수직적 부조화가 큰 안모 형태를 보여 저작근의 작용 방향과 저작근 부착 위치에 따른 하악의 후하방 회전의 결과로 전치부 개교합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수직적 부조화가 큰 경우일 때는 수직 고경의 변화를 일으키는 것은 좀 더 주의가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측두하악관절잡음을 이용한 악관절내장증 진단 (EVALUATION OF INTERNAL DERANGEMENT OF TMJ BY ANALYZING TMJ SOUNDS)

  • 김태우;양원식;서정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23-439
    • /
    • 1996
  • 본 연구는 측두하악관절장애의 증상을 보이는 환자들의 $SONOPAK^*$을 통한 관절잡음의 분석결과와 자기공명영상 사진의 판독결과를 비교함으로써 SONOPAK의 악관절내장증에 대한 진단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측두하악관절장애 증상을 보이는 18명의 성인환자(남자 5명, 여자 13명)로 평균연령은 남,녀 각각 22.1세, 24.3세였다. 소아용 청진기를 사용하여 임상적인 clicking 및 crepitus의 유,무를 기록하였으며 SONOPAK을 사용하여 관절잡음을 기록하고 spectral analysis를 통해서 악관절내장증 단계에 대한 SONOPAK의 분석결과를 얻었다. 또한 모든 환자에서 자기공명영상사진을 촬영하여 그 판독결과를 SONOPAK의 해석결과와 비교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자기공명영상사진상 관절원판이 정상적인 위치와 형태를 보이는 경우 SONOPAK에 의한 false positive 진단은 없었다. 2. 자기공명영상사진상 관절원판의 전방전위를 보인 경우에는 정복성이나 비정복성 관절원판 전방전위 모두에서 SONOPAK 분석결과와 일치하지 않은 빈도가 높았다. 3. clicking의 유무만으로 관절원판의 정복성 전방전위와 비점복성 전방전위를 감별진단하거나, 관절잡음의 성질로 악관절내장증의 단계를 판정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며 임상증세, 자기공명영상사진등을 포함한 보조적 진단검사의 자료를 종합하여 판단할 때 SONOPAK의 관절잡음 분석결과의 진단적 가치는 증대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악관절 내장증 평가 시 경두개 방사선사진의 임상적 유용성: MRI와의 비교연구 (The validity of transcranial radiography in diagnosis of internal derangement)

  • 이인송;안석준;김태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36-144
    • /
    • 2006
  • 본 연구는 표준 경두개 방사선사진에서 나타나는 하악두/관절와의 위치 관계 및 형태 특징과 MRI에서 관찰되는 관절원판의 변위 여부를 비교함으로써 측두하악관절 내장증 평가 시 경두개 방사선사진의 임상적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성인 환자 76명(남자 26명, 여자 50명)의 113개 악관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MRI 자료를 기초로 하여 각 악관절을 정상군, 정복성 관절원판 변위군, 비정복성 관절원판 변위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최대 감합시의 경두개 방사선사진에서 관절와와 하악두 간의 전방, 후방 및 상방 직선 거리를 계측하여 상대적 위치 평가를 하고 형태적 특징을 판별하기 위해 악관절 경부와 두부간의 각도를 계측하였다. 또한 각 군에 따라 경두개 방사선 계측항목 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과 다중비교분석을 시행하였다. 표준 경두개 방사선사진에서 나타나는 관절와와 하악두의 위치 관계는 관절원판 변위 여부 및 진행 정도와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하악측두관절 경부와 하악두가 이루는 각도는 비정복성 관절원판 변위군에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이는 하악두각이 악관절 내장증의 진행에 따른 악관절의 구조적인 경조직 변화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으나 이것에만 근거하여 관절원판 변위 여부를 판단하기에는 근거가 미약하다.

급성 비정복성 관절원판 변위에 따른 급성 교합변화의 증례 (Acute Occlusal Change Following Acute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A Case Report)

  • 정재광;허윤경;최재갑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7권4호
    • /
    • pp.205-211
    • /
    • 2012
  • 35세 여자환자가 갑작스런 개구장애와 함께 발생한 급성 교합변화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이전 수년 동안의 관절잡음의 병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관절잡음의 소실과 동시에 개구제한이 발생하였음을 보고하였다. 환자는 개구제한과 함께 개구시 우측 악관절의 통증을 호소하였으며 구강내 교합 검사 시 전치부의 개교합과 함께 하악이 우측으로 전위된 양상이 관찰되었다. 또한 좌측으로의 측방운동량 또한 감소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자기공명영상에서 우측 악관절에서 비정복성 관절 원판 전방 변위가 관찰되었으며 후방 관절강의 협착이 관찰되었다. 이 환자는 우측 악관절의 비정복성 관절원판 전방변위로 진단되었으며, 급성 교합변화는 변위된 관절원판에 의해 야기된 과두위치의 변화로 초래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처음 3개월간의 물리치료와 약물치료와 병행된 안정교합장치요법에서는 만족할 만한 치료결과를 얻지 못하였으나, 그 다음 약 8개월간 사용된 악간견인장치 치료를 통해서 통증 및 교합변화가 해소되었으며 정상적인 개구량으로 회복되었다. 술후 촬영된 자기공명영상에서 우측 과두가 재형성된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고들빼기 잎추출물이 흰쥐의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odulbaegi Leaf Extracts on $CCl_4$-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 배송자;김남홍;하배진;정복미;노승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37-143
    • /
    • 1997
  • 본 연구는 고들빼기를 분획별로 나누어 수층, butanol 층, hexane층, ethyl acetate층 분획 물들을 1주일간 흰 쥐의 복강내 주사 후 마지막날 사염화탄소를 복강내 1회 투여하여 간손상을 유발시킨 쥐의 간중량, 과산화지질, 항산화효소활성 및 간조직을 관찰하였다 체중에 대한 간중량 백분율은 간손상군중에서 n-hexane 분획물 투여군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혈청 중 GPT활성 역시 n-hexane 분획물 투여군이 거의 정상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떨어 졌다. 간 중 MDA함량은 고들빼기 분획물 투여군들이 모두 낮은 경향이었으며 그 중에서도 n-butanol 분획물 투여군과 n-hexane 분획물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간 중 GST활성은 정상군에 비해 간손상군이 떨어졌으며 간손상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ethyl acetate 분획물 투여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간조직 관찰에서는 정상군에 비 해 간손상군의 조직에 염증 및 괴사가 뚜렷이 나타났고 고들빼기 n-hexane 분획물 투여 후 간독성 유발 쥐의 간조직에서는 염증 및 괴사가 확실히 감소한 경향을 볼 수 있었다.

  • PDF

오픈소스 기반 수술항법장치의 하지 골절수술 응용검토 (Open Source-Based Surgical Navigation for Fracture Reduction of Lower Limb)

  • 정상현;박재영;박철우;오창욱;박일형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8권5호
    • /
    • pp.497-503
    • /
    • 2014
  • 골절 치료에서 최소 침습 수술 방법은 그 효용성이 입증 되었지만, 의료진이 골편을 직접 볼 수 없기 때문에 방사선 투시영상장치(C-armed fluoroscopy)에 의존하여 수술을 진행하게 된다. 최소침습 수술은 환자에게는 감염이 적고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지만 의료진에게는 과도한 방사선 피폭과 부정확한 골절정복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술 항법장치와 수술 지원로봇을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골편의 3D CT 모델을 실제 골편과 특징점을 이용해서 정합하는 오픈 소스 기반으로 구성된 수술 항법 장치와 2D 투시 영상에서 골편간의 회전 변위를 정상측 투시 영상과 비교하여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고, 모델 뼈를 이용한 실험으로 제안한 방법의 임상적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3D CT-기반 수술 항법 장치의 모델 뼈와 영상정합 정확도는 약 2mm 로 정형외과 수술에서 요구되는 사양을 만족했으며, 2D 투시 영상에서는 ${\pm}15^{\circ}$범위의 골편간의 회전에서 $2.5^{\circ}$이하의 변별력을 나타내었다.

김 다당류 porphyran의 급이가 흰쥐의 혈청과 간의 효소활성 및 마우스의 면역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rphyran isolated from Laver, Porphyra yezoensis, on Liver Lipid Peroxidation in Hyperlipidemic Rats and on Immunological Functions in Mice)

  • 정규진;정복미;김선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25-329
    • /
    • 2002
  • 남해안에서 다량 생산되고 있는 김(Porphyra yezoensis)의 생리활성 물질은 porphyran을 분리 추출한 후, 흰쥐에서 고지혈증 및 고 콜레스테롤혈증을 유발시켜 간장의 항산화 효소활성 및 면역능을 측정하였다. 간의 효소활성 측정을 위해 Sprague-Dawley계 흰쥐를 9마리씩 5군으로 나누어 1군은 정상군, 2군은 대조군(고지혈증 유발군), 3, 4 및 5군은 porphyran 급이군으로서 대조군에 porphyran을 각각 1%, 5% 및 10%의 비율로 사료에 첨가하여 4주간 사육하였다. 면역능은 Balb/c female mouse를 이용하여 3마리씩 4군으로 대조군 및 porphyran 1%, 2% 및 5%로 조제된 시료를 실험동물에게 2일에 1회 1mL씩 복강 주사를 연속적으로 20일간 투여한 후 비교하였다. 혈청중의 alanine aminotransferase(ALT),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alkaline phosphatase(ALP) 및 lactic dehydrogenase(LDH)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porphyran 급이군에서 낮았으며, porphyran의 급이 수준이 증가할수록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경향을 보였다. 간장의 superoxide dismutase와 catalase활성은 정상군에 비하여 대조군이 유의하게 높았으나, 대조군에 비해 porphyran 급이군에서는 낮았으며, 특히 10% porphyran 급이군에서는 정상군 수준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TBARS 역시 대조군에 비해 porphyran 급이군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정상군 수준이하로 감소되었다. Interleukin-1농도는 porphyran 2% 및 5%를 투여한 흰쥐의 혈청에서 정상군보다 각각 26.81%, 77.95%의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Interleukin-2는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 porphyran 급이는 고지혈증을 유발한 흰쥐에서 과산화물 농도를 저하시켜 항산화 효소활성을 낮추었으며, 면역능에서 일정한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Porphyran 음료 투여가 고콜레스테롤 유발 흰쥐의 혈청과 간중의 콜레스테롤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rphyran Drink on Serum and Liver Cholesterol Contents in Hypercholesterolemic Rat)

  • 정복미;정규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9호
    • /
    • pp.1357-1361
    • /
    • 2005
  • 본 연구는 김에서 추출한 porphyran을 음료로 이용하여 Sprague-Dawley계 흰쥐를 5군으로 나누어 정상식이에 물,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물,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1, 2, $3\%$ porphyran 음료를 4주간 급여하여 혈액과 간중의 지방과 콜레스테롤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혈청중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porphyran 음료군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 이는 섭취수준이 높을수록 더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혈청중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군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나 porphyran 음료 섭취수준이 높아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간중의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 함량 역시 대조군에 비해 porphyran음료 섭취수준이 높을수록 유의하게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이들 결과로 볼 때 고 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시킨 흰쥐에서 김에서 추출한 porphyran 을 음료의 형태로 섭취 시 체내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을 낮추어 지방개선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청색증으로 내원한 간폐증후군 1예 (A Case of Hepatopumonary Syndrome with Cyanosis)

  • 류대식;정복현;정상식;김호동;유철희;강길현;김남현;정승문;박만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3호
    • /
    • pp.420-425
    • /
    • 1999
  • 저자들은 심한 청색증을 동반한 만성 간질환에서, 폐 내 동정맥 단락과 동맥혈 저산 소혈증을 보인 간폐증 후군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단순흉부 X-선 사진에는 망상결절이 하엽 기저부에 주로 분포하였고 고해상 전산화 단층영상에서 확장된 폐혈관이 늑막까지 연장되어 보이고, 특히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폐혈관종말지의 확장이 늑막하 폐에 분포하였다. 핵의학 관류검사 및 조영 심초음파 검사를 통해 폐내 단락을 진단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