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사각형 영역

Search Result 4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Strength of Square Shaped CFT Stub Column Considering the Confining Effect of Concrete (콘크리트 구속효과를 고려한 정사각형 CFT단주의 강도)

  • Hwang, Won Sup;Kim, Dong J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14 no.6
    • /
    • pp.813-822
    • /
    • 2002
  • The squash strength and design strength are smaller than the experimental strength of square shaped concrete-filled steel tubular columns in a short concentrically loaded column. This study presents an evaluation procedure accounting for the confining effect of concrete.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a confining effect of concrete, the 3D finite element method was used. The influence of parameters, width-thickness ratios, strength of the concrete and the yield strength of the steel, were examined. The suggested evaluation procedure that assembled three parameters was compared with previous experimental results. Also, the tendency of the confining effect of concrete was examined in the three types of load application.

Calculation of the Magnetic Field Homogeneity in the Induction coil for the Magnetic Field Immunity Test (자기장 내성평가용 유도코일의 자기장 균일도 계산)

  • 유권상;김창석
    • The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5 no.4
    • /
    • pp.64-70
    • /
    • 1994
  • the magnetic field homogeneities of the induction coils of various sizes and shape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prepare for the magnetic field immunity test under the power frequency, the pulse and the damed oscillatory fields recommended by the IEC.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magnetic field homogeneities in the two induction coils with $1m\times1m$, and $1m\times2.6m$, , and the double square coils with 0.8m and 0.6m spaced. The testing volume within $\pm$3dB in the double square coil with 0.8m spaced in twice bigger than single square coil with 1m side in the z-direction.

  • PDF

시뮬레이션을 통한 실리콘 나노선의 전기적 특성 연구

  • Go, Jae-U;Park, Seong-Ju;Lee, Seon-Hong;Baek, In-Bok;Lee, Seong-Jae;Jang, Mu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8a
    • /
    • pp.408-408
    • /
    • 2012
  • 반세기가 지나는 동안 우리는 반도체의 크기가 계속해서 작아지는 것을 경험해왔다. 반도체 디바이스들의 차원이 100 nm 이하로 작아지면서, 나노와이어나 나노튜브로 이루어진 나노 소자들은 필연적으로 양자효과[1] 같은 저차원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특히 1차원 반도체 구조에서는 전자상태 밀도의 변화에 수반되는 전자-포논의 상호작용이 감소되어 전자이동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고, 이러한 이동도의 증가는 그동안 나노와이어나 나노튜브의 전기 전도도 증가가 일어난 실험적 데이터를 설명하는 이론적 받침이 되었다[2]. 한편 일차원 반도체 구조 체에서는 채널의 저차원화에 따른 전기장의 불균일성이 심화되고 이로 인하여 벌크와 매우 다른 전기수송 특성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러한 점이 그동안 간과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양자효과를 배제한 정전기적인 저차원 효과만으로도 전기 전도도가 증가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우리는 푸아송 방정식과 표동-확산 방정식을 SILVACO사의 ATLAS 3D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풀었다. 이 시뮬레이션에 사용된 실리콘 나노와이어는 길이를 $2{\mu}m$로 고정시키고 다양한 정사각형 단면적을 가진 구조로 하였다. 여기서 정사각형의 한변을 10nm 에서 100 nm까지 변화시켰다. 실리콘 채널의 도핑농도가 $1{{\times}}1016cm-3$일 경우, 낮은 전압, 즉 < 0.5 V 이하 영역에서는 벌크와 같은 선형적인 전류-전압 특성이 나타나지만, 그 이상의 전압 영역에서는 전류-전압 그래프가 위로 휘어지며(super-linear) 전기전도도가 확연히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어 2 V에서는 벌크에 비하여 흐르는 전류가 2배나 더 향상되었다. 이런 비선형적인 성질은 높은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나노와이어 채널 전반에 걸쳐 charge neutrality가 깨지게 되고 전하밀도가 증가하여 전도도 증가가 일어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결과는 기존의 나노선에서의 전기전도도 증가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대안을 제공할 수 있다.

  • PDF

Fabrication of periodic one-dimensional nano-structures (주기적인 1차원 나노구조의 제작)

  • 김은파;김성태;강세종;엄천일
    • Proceedings of the Korea Crystallographic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37-37
    • /
    • 2002
  • 반도체 소자의 집적도는 지난 수십년간 끊임없이 증가해 왔다. 이러한 추세가 계속 된다면 앞으로 수년 이내에 100 nm 이하의 선폭을 갖는 집적회로가 출현하게 될 것이다. 수-수십나노 미터 크기의 구조가 이와같이 제품에 실제로 응용되려면 수 나노미터의 길이에 대한 표준 측정 기술이 확보되어야 하고 이 측정 기술을 서로 비교 평가 할 수 있는 표준 물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 물질로 사용될 수 있는 1차원 나노 구조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1차원 나노 구조는 선폭이 90 nm인 네모난 산과 네모난 우물들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형태를 갖는다. 나노 구조가 제작된 총영역은 0.1 ㎜ × 0.1 ㎜의 정사각형 영역이다. 1차원 나노 구조는 전자빔 석판 기술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균일한 구조를 만들기 위해 전자 빔의 도즈량 최적화, 전자 빔의 비대칭성의 영향 최소화, 에칭 공정 변수 최적화 등 공정 조건을 선별하는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1차원 나노구조는 전자현미경의 배율 보정, Scanning Probe Microscope의 이미지 보정 등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rmal Sensor Allocation and Placement Algorithm on FPGA Based Design (FPGA 기반 설계의 온도 센서 최적 배치 알고리즘)

  • Hyeon, Cheol-Hwan;Nam, Hyoung-Wook;Kim, Yong-Ju;Kim, Tae-W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b
    • /
    • pp.292-297
    • /
    • 2008
  • 본 논문은 FPGA 기반 설계에서 주변보다 급격한 온도 변화를 보이는 hotspot들을 탐지하기 위한 열 감지 센서 수를 정하고, 센서의 놓여야 할 배치 장소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열 감지 센서로는 동적으로 설계가 가능한 ring oscillator 센서 기술을 사용한다는 가정 하에, 센서의 사용 개수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최적의 센서 배치 위치 찾는다. 기존의 연구의 단점은 센서가 감지하는 영역 범위를 적당한 크기의 정사각형으로 간주하였기에, 실제 원형의 관측 범위를 보이는 센서 감지 영역의 현실을 올바로 반영하지 못하였으며, 또한 잘 알려진 회로 분할(partition) 기법에 의존한 휴리스틱으로 최적의 결과를 보장하지는 못하였다. 이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센서의 관측 범위를 원형으로 할 수도 있게 함과 동시에 최적의 해를 보장하는 센서 할당 및 배치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 제안 알고즘에서는 소위 “Candidate Coloring 기법”을 통해 센서가 놓여야 할 모든 후보 영역을 표시하며, “Candidate Filtering 기법”을 통해 불필요한 후보 영역들을 완전히 삭제하여 탐색 공간을 줄이게 되며 (해의 최적 해는 항상 유지 되도록 하면서), 마지막으로 Branch-and-Bound 알고리즘을 적용해 최적의 센서 할당 및 배치 결과를 찾아내었다.

  • PDF

Extended Principal Domain for Discrete Frequency-Domain Quadratic Volterra Models (이산 주파수 영역 2차 Volterra 모델의 확장된 주영역)

  • Im, Sung-Bin;Lee, Won-Chul;Bae, Myung-Ji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5 no.1
    • /
    • pp.23-33
    • /
    • 1996
  • In this paper we point out that if the classical principal domain for bispectra is utilized to determine a second-order Volterra model's output, such and output will be incomplete. This deficiency is associated with the periodic nature of the DFT. For this reason,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n "extended" principal domain for Volterra kernels which leads to an improved estimate of the nonlinear system's response. In order to define the extended principal domain, we derive a new discrete frequency-domain Volterra model from a discrete time-domain Volterra model utilizing 2-dimensional DF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dratic component of the Volterra model and a square filter. The effect of the extended domain on the model output is interpreted in terms of the periodicity of DFT. Through computer simulations, we demonstrate the effects of the extended principal domain on the Volterra modeling. The simulation results indicate that the extended principal domain plays and important role in computing Volterra model outputs and estimating Volterra model coefficients.

  • PDF

A Study on Velocity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for Each Location and Effectiveness of Straight Duct Length in a Square-sectional 180° Bended Duct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 180° 곡관에서 위치별 속도분포특성 및 직관거리의 유효성에 관한 연구)

  • Chen, Jing-Jing;Yoon, Jun-Kyu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10
    • /
    • pp.618-627
    • /
    • 2016
  • This study numericall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locity distribution for each location of a square-sectional $180^{\circ}$ bent duct using a Reynolds Stress Turbulent model. The flow parameters were varied, including the working fluids, inlet velocity, surface roughness, radius of curvature, and hydraulic diameter. The boundary conditions for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nalysis were inlet temperatures of air and water of 288 K and 293 K, inlet air velocity of 3-15 m/s, inner surface roughness of 0-0.001 mm, radius of curvature of 2.5-4.5 D, and hydraulic diameter of 70-100 mm. The working fluid characteristics were highly affected by changes in the viscous force. The maximum velocity profiles in the bent duct were indicated when the $90^{\circ}$ section was in the region of X/D=0.8 and the $180^{\circ}$ section was in the region of Y/D=0.8. Lower surface roughness and higher radius of curvature resulted in a higher rate of velocity change. Also, an efficient measuring location downstream of the bent duct is suggested since the flow deviations were the most stable when the straight duct length was in the region of L/D=30. The minimum deviations at the same velocity conditions according to the hydraulic diameter were mostly indicated in the range of L/D=15-30 based on the standard deviation characteristics.

A Morphology Technique-Based Boundary Detection in a Two-Dimensional QR Code (2차원 QR코드에서 모폴로지 기반의 경계선 검출 방법)

  • Park, Kwang Wook;Lee, Jong Y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2
    • /
    • pp.159-175
    • /
    • 2015
  • The two-dimensional QR code has advantages such as directional nature, enough data storage capacity, ability of error correction, and ability of data restoration. There are two major issues like speed and correctiveness of recognition in the two-dimensional QR code.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morphology-based algorithm of detecting the interest region of a barcode. Our research conte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terest region of a barcode image was detected by close operations in morphology. Second, after that, the boundary of the barcode are detected by intersecting four cross line outside in a code. Three, the projected image is then rectified into a two-dimensional barcode in a square shape by the reverse-perspective transform. In result, it shows that our detection and recognition rates for the barcode image is also 97.20% and 94.80%, respectively and that outperforms than previous methods in various illumination and distorted image environments.

Performance Enhancement of Marker Detection and Recognition using SVM and LDA (SVM과 LDA를 이용한 마커 검출 및 인식의 성능 향상)

  • Kang, Sun-Kyoung;So, In-Mi;Kim, Young-Un;Lee, Sang-Seol;Jung, Sung-Tae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0 no.7
    • /
    • pp.923-933
    • /
    • 2007
  • In this paper, we present a method for performance enhancement of the marker detection system by using SVM(Support Vector Machine) and LDA(Linear Discriminant Analysis). It converts the input image to a binary image and extracts contours of objects in the binary image. After that, it approximates the contours to a list of line segments. It finds quadrangle by using geometrical features which are extracted from the approximated line segments. It normalizes the shape of extracted quadrangle into exact squares by using the warping technique and scale transformation. It extracts feature vectors from the square image by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t then checks if the square image is a marker image or a non-marker image by using a SVM classifier. After that, it computes feature vectors by using LDA for the extracted marker images. And it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feature vector of input marker image and those of standard markers. Finally, it recognizes the marker by using minimum distance metho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achieves enhancement of recognition rate with smaller feature vectors by using LDA and it can decrease false detection errors by using SVM.

  • PDF

해상 pedestal 크레인 메인 붐의 좌굴을 고려한 상세설계에 대한 연구

  • Kim, Chan-Seok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5.03a
    • /
    • pp.191-196
    • /
    • 2015
  • 해상 pedestal 크레인은 각종 운송물을 선박에 싣거나 내리는 해상 운송에 필수적인 장비이다. 따라서 구조적 안전성을 가지는 크레인 설계가 요구된다. 그의 일환으로 수행된 '해상 pedestal 크레인의 설계 개선을 위한 연구'에서는 기존 크레인의 기초 설계에 대해서 구조적 안전성올 평가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좌굴 안정성 향상을 위한 보강재 설계를 수행하였다. 하지만 상세설계 관점에서 미비한 점이 있어 이를 보완할 필요성이 있다. 안전성 평가를 위해 필요한 응력을 계산하기 위해 EDISON-CSD프로그램을 통해 유한요소모델 해석을 활용한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효율적인 해석을 위해 상세설계에 필요한 부분영역을 선택하여 모델링 하였으며 전체영역에서의 해석 결과 값을 등가 힘, 등가 모멘트로 환산하여 경계조건으로 부여하였다. 보강재간의 교차점 형상이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위해 stiffener와 diaphragm의 교차점 형상(반원, 정사각형, 사다리꼴)에 따라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였고, 안전 여유의 유효한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평가에 필요한 응력계산을 위해 또한 Diaphragm의 좌굴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설계 규격 DNV-RP-201 8장(Buckling of girders)을 분석하였고, 안전성 평가에 반영하였다. 또한 실제 현장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angle 형상 stiffener의 치수 도출을 위해 최적설계를 수행하였고, 모든 설계 제한조건을 만족하면서 최소의 무게를 가지는 합리적인 치수를 도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