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보서비스 모형

검색결과 1,265건 처리시간 0.026초

업종중심의 응용시스템 운영비용 산정모형 개발;증권업 아웃소싱을 중심으로 (Developing an Industry-Specific Application Systems Operation Cost Estimation Model;A Model for Security Industry)

  • 최원영;김현수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9-105
    • /
    • 2002
  • 정보시스템 운영 아웃소싱 관련 기존 연구에서는 여러 업종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비용산정 모형을 구축하였기 때문에 업종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였으며, 따라서 산정 비용의 정확성이 높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시스템의 중요성이 매우 높은 산업분야 중의 하나인 증권업종의 응용시스템 아웃소싱 비용 산정 모형을 도출하였다. 업종의 특성을 반영하여 서비스 수준을 결정하는 요소를 정의하고, 기 구축된 기능점수 모형을 활용하여 비용산정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유비쿼터스 멀티 서비스 개발에서의 일반적 상황모형 구축을 위한 상황모형 비교 평가방법론 (A Context Model Comparison Methodology for Developing Generic Context Model used in Ubiquitous Multi-Services)

  • 박태환;권오병
    • 지능정보연구
    • /
    • 제13권1호
    • /
    • pp.29-47
    • /
    • 2007
  • 유비쿼터스 시스템의 중요한 목적은 사용자의 상황을 빠르고 정확하게 인식하여, 선응적인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해 주는 것이다. 또한 우수한 상황인식 시스템을 위해서는 상황모형이 시스템의 목적에 맞게 잘 설계되어야 한다. 특별히 유비쿼터스 시스템이 특정 도메인의 제약을 뛰어 넘어 통합 환경에서 서비스 제공하는 것을 지향하기 때문에, 기존의 단일 혹은 한정적 서비스만을 고려한 도메인 제한적 상황모형보다는 다중적 서비스에 활용될 수도 있도록 보다 더 일반적인 상황모형(generic context model)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다중적 유비쿼터스 서비스에 적합한 상황모형을 이용하여 이질적인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상황정보를 보다 잘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일반적 상황모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우리나라 통신서비스시장의 설비기반 경쟁효과 분석 (A Facility-based Competition Analysis in the Korean Telecommunication Services Market)

  • 김방룡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6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470-47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시내전화서비스시장을 중심으로 기존 사업자와 이 사업자와 경쟁관계에 있는 후발 사업자간의 복점경쟁 모형을 분석하고, 이 모형을 확대하여 시내전화서비스와 대체관계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이동전화서비스까지 분석모형에 포함하여 기존 및 후발 시내전화사업자와 이동전화사업자들이 시내전화서비스시장에서 별이고 있는 3자간 경쟁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

도서관의 이용자중심 서비스 질 평가와 측정에 관한 이론적 고찰 (A study on Evaluation and Measures of user-based Service Quality for Libraries)

  • 이상복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65-280
    • /
    • 1998
  • 도서관 서비스 질에 관한 현행 측정들은 도서관${\cdot}$정보센터의 서비스 질에 대한 이용자 인식을 적절히 포착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도서관 서비스의 질을 측정하는데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질 개념을 개발하고, 서비스마케팅 분야에서 연구되는 서비스 질 모형과 SERVQUAL 척도를 소개하며, 이러한 모형과 척도에 대한 도서관${\cdot}$정보센터에서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한다. 또한 이러한 모형과 척도를 활용할 때 고려해야 할 점과 후속연구 방안을 제언하였다.

  • PDF

서비스 수준 협약에 따른 정보시스템 운영감리 모형 (The Model of Information System Operating Audit for the Service Level Agreement)

  • 이성호;최진탁;김동수;김희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6호
    • /
    • pp.71-82
    • /
    • 2012
  • 정보시스템의 급격한 발전으로 IT아웃소싱에 따른 서비스수준협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효율적인 IT운영서비스 관리가 절실한 상황에서 정보시스템에 대한 운영 감리의 필요성 및 인식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IT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운영할 것인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현행 정보시스템 운영감리 지침으로 한국정보화진흥원 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지침이 존재하여 운영되고 있지만, 감리 현장에서는 감리원의 경험과 판단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운영감리를 위하여 한국정보사회진흥원의 운영지침의 정보시스템 감리 점검 프레임워크로 기반으로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운영감리 모형을 도출하였다. 서비스 계획, 서비스 제공, 서비스 지원, 서비스관리 영역에서 운영감리 점검항목을 도출하여 운영감리 모형을 제안하였으며, 전문가 설문 조사를 통하여 제안한 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 이용자의 지속적인 이용의도에 대한 영향요인 탐색 : 습관과 기대일치모형의 통합 (Predicting users' intention to continue mobile internet services usage : The integration of habit into the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 수실 쿠마르 무나;김승운;강희택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2008년도 추계 공동 국제학술대회
    • /
    • pp.404-428
    • /
    • 2008
  • 기대일치이론에 기초한 기대일치모형은 정보시스템 연구 분야에서 정보시스템의 지속적인 사용 혹은 사용의도를 설명하는 핵심 이론으로 언급되어 왔다. 이러한 기대일치모형과 더불어 최근에 정보시스템 분야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또 다른 개념은 자동화된 행동 경향을 의미하는 ‘습관’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개념들을 기초로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지속적인 이용 상황에서 습관과 기대일치모형을 통합하는 시도를 하였다. 이에 일치,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 용이성, 습관 등의 수용후 신념, 이용자 만족, 지속적 이용의도로 구성된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J도내 250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기대일치와 지각된 유용성이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의 이용자 만족에 대한 주요 요인으로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유용성, 이용자 만족, 습관은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지속적 이용의도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지각된 이용 용이성은 이용자 만족과 지속적 이용의도 모두에 대하여 아무런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메타데이터 기반 분담목록시스템 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국내 대학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odel for Shared Cataloging System Based on Metadata)

  • 박종섭;이응봉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2년도 제9회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5-121
    • /
    • 2002
  • 인터넷과 웹 기술의 발전은 전자도서관의 목록정보나 목차정보서비스에서 원문정보서비스로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그러나 대학에서 생산하는 학문적 가치가 높은 학술지들은 웹을 통해 원문으로 서비스되고 있지만 상이한 OPAC 시스템과 목록을 위한 통일된 메타데이터의 부재로 원문정보를 공유$.$활용하기가 매우 힘든 실정이다. 본 고에서는 각 대학에서 생산하고 구축된 원문정보를 메타데이터 기반의 목록시스템을 이용하여 모든 대학의 학술지 논문정보를 검색하여 공유할 수 있는 분담목록시스템모형을 제시함으로써 대학 학술지 이용의 효율적 방안을 모색 해보고자 한다.

  • PDF

디지털도서관환경에서의 커뮤니케이션 모형 (Communication Model in the Digital Library Environment)

  • 조윤희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1999년도 제6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3-166
    • /
    • 1999
  • CMC환경에서 운영되는 디지털도서관(DL)은 전통적인 도서관(TL)의 정보서비스 확장이나 새로운 서비스 공간으로서의 독창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제공 환경의 변화에 따른 패러다임 이동은 DL환경의 정보서비스가 불특정 다수 이용자들에게 시공간을 초월한 즉시적이고 능동적인 상호작용 커뮤니케이션 장치의 설치를 가능하게 해 주었다. 본 연구는 DL환경에서 최종이용자의 피드백과 정보요구를 적시에 적절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모형을 개발하고, 상호작용적인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운영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오픈액세스 학술지의 차세대 서비스 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rvice Features for Next Generation Open Access Journals)

  • 최상희;최선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89-107
    • /
    • 2010
  • 오픈액세스 학술지는 무료로 원문에 접근할 수 있다는 특성을 부각시키면서 학술 연구자들이 학술정보를 찾는 주요 정보서비스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정보환경이 변화하면서 오픈액세스 학술지 서비스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서비스의 개선과 확장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환경적 변화를 반영하여 차세대 오픈액세스 학술지 서비스에 대한 방안을 기존 학술정보서비스의 서비스 요소를 분석하여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기존 학술정보서비스에서는 이용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서비스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개방성 역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픈액세스 차세대 모형을 위해 제시된 요소는 총 4개 영역으로 학술논문 구성 요소별 제공 및 멀티미디어 제공, 부가 정보 검색, 개방형 학술정보 공유 서비스, 모바일 서비스 등이다.

정량적 분석 기법을 적용한 IT 서비스 품질 개선 모형 개발 (The Development of the Model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IT Services Applying the Quantitative Analysis)

  • 서성웅;홍성용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1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8 No.1(D)
    • /
    • pp.202-205
    • /
    • 2011
  •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 간 이해관계를 유지하고, 제공되는 IT 서비스의 수준을 개선하기 위해서 서비스 수준관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무형의 IT 서비스는 정성적인 방법으로 평가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존재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사용자가 동의할 수 있는 정량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는 개선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연구를 살펴보고 서비스 수준 관리 체계를 정립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서비스 품질 개선 모형은 크게 4가지 방법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첫 번째 우선관리지표를 선정하기 위해 AHP기법을 활용하였고, 두 번째 통계적 관리기법인 관리도를 이용하여 서비스 기대수준을 정의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세 번째 측정되는 서비스 수준의 이상 유무 또는 이상 징후를 발견할 수 있는 관리도 사용방법을 설명하였다. 마지막 네 번째는 이상 원인을 해결한 후 서비스 기대수준을 재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향후 연구 결과를 실제 조직에 적용시켜 검증함으로써 완성도를 높여 나감은 물론, 원인 분석 및 해결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