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보서비스 모형

검색결과 1,264건 처리시간 0.023초

정보 서비스 품질 평가모형의 적용 : 라이브퀄 플러스를 중심으로 (Service Quality Model for Library and Information Center : Focusing on LibQUAL+)

  • 김윤실
    • 정보관리연구
    • /
    • 제33권3호
    • /
    • pp.1-26
    • /
    • 2002
  • 정보화의 물결은 도서관 정보센터의 서비스 형태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그러나 이용자의 입장에서는 어떤 형태의 서비스가 제공되더라도 기본적으로 이용자가 제공받는 서비스일뿐, 도서관 정보센터의 이용에 대한 정보 서비스의 만족도는 제공받은 서비스의 품질에 의해서 좌우될 수밖에 없다는 특성을 갖는다. 본 연구는 서비스 마케팅 분야에서 이용하는 서비스 품질 평가모형인 서브퀄(SERVQUAL) 모형을 도서관 정보센터에서 활용할 수 있는 모형으로 확장하기 위한 프로젝트인 라이브퀄 플러스(LibQUAL+) 모형에 대해 고찰하였다.

가입형 정보통신 서비스의 구매 후 고객선택모형 (Post-purchase Customer Choice Model for Subscription-based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s Services)

  • 이동주;류호철;안재현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159-179
    • /
    • 2006
  •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IT 아웃소싱의 확대로 인터넷접속 서비스, 응용프로그램 서비스, 컨텐츠 서비스, 저장 서비스 등 다양한 종류의 가입형 정보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시장의 성숙과 산업 간 융합에 따른 경쟁의 심화로 인하여, 이들 서비스 제공기업들에게 있어서 기존 고객을 유지하고 경쟁사 고객의 전환을 유도하기 위한 고객 관리가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입형 정보통신 서비스 제공 기업들의 효과적인 고객 관리를 위하여, 서비스 구매 후의 고객 선택(기존 서비스의 계속적 이용 또는 다른 서비스로의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영향의 주체와 영향의 성격에 따라 Holding 요인, Defect 요인, Inducement 요인, Hurdle 요인으로 유형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입형 정보통신 서비스의 구매 후 고객선택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제시된 모형의 활용 방안을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고객선택모형의 활용은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다양한 대체 서비스의 출현으로 빠른 수명 주기를 보이는 가입형 정보통신 서비스 시장에서 효과적인 고객 관리를 통한 경쟁 우위의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수요-공급자를 통합한 U-서비스 우선순위 평가모형 개발 (Development of Priority U-Service Model based on both Provider and Consumer Viewpoint)

  • 장재호;엄정섭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7년도 GIS 공동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42
    • /
    • 2007
  • 이 연구는 u-City의 성공적 조성을 위해 u-서비스 공급자 측면과 수요자 측면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u-서비스 우선순위 선정에 관한 체계적 연구의 필요성에서 시작되었다. u-서비스 우선순위 모형개발을 위해 선행 연구를 토대로 수요자와 공급자의 서비스 결정 요인을 탐색적으로 도출하고, 전문가와의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u-서비스 결정의 확정적 요인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요인들을 계층분석(AHP)모형으로 설정하고, 1차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요인별 가중치와 우선순위를 도출함으로써 공급자와 수요자를 고려한 u-서비스 우선순위 선정 모형을 제시하였다. 개발된 모형을 바탕으로 2차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u-지역정보화에서 제시한 대구지역의 특화서비스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대구지역은 지역물류 지원서비스, 시각장애인 길안내 서비스, u-텔레매틱스 서비스가 상위권을 차지한 반면, u-지역정보화에서 제시한 안전방재지원서비스와 산업특화거리 등의 서비스는 중위권을 차지하고 있어 공급자 위주의 u-서비스 선정과는 차별성을 보였다. 개발된 u-서비스 우선순위선정 모형은 u-서비스 제공 및 사용의도에 기반한 모형으로 u-서비스 우선순위 선정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어 향후 성공적 u-City 조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ASK_a 서비스 모형 개발 (The ASK_a Service Model for Public Library in Korea)

  • 남영준;이향숙
    • 정보관리연구
    • /
    • 제37권1호
    • /
    • pp.57-81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새로운 서비스 영역인 ASK_a 서비스 운영모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모형이 갖는 기능을 입력과 처리, 출력과정으로 구분하여 설계하였다. 최적의 입력 형식은 웹 폼형식을 제안하였고, 처리과정은 공공도서관의 혼합형(수평형, 계층형) 협력모델을 제안하였고, 출력 과정은 제공된 질문-해답정보에 대한 아카이빙 정책을 제안하였다. 특히 ASK_a 서비스가 성공적으로 운영되도록 하기 위해서 제안한 모형의 핵심을 공공도서관의 협력연계를 통한 외부 인력과 자원활용으로 하였다. 이러한 협력의 최종목표는 고도의 전문정보 서비스를 공공도서관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국가적 수준의 참고정보서비스 모형 및 가이드라인 요구분석 사례 연구 - 국립중앙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Needs Analysis for the Reference Service Model and Guidelines at the National Level: A Focus o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Case)

  • 채현수;전정현;이지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221-252
    • /
    • 2022
  • 본 연구는 국가적 수준의 참고정보서비스 모형 및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하여 실무자 및 이용자의 요구를 파악하고 분석한 결과를 종합하여 주요 요인을 도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문헌 및 사례 조사를 통해 참고정보서비스 모형과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탐색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실무자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참고정보서비스 관련 요구를 파악하고 분석하였다. 요구분석을 통해 주요 요인과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국가적 수준 참고정보서비스 모형 및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방향성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도서관들이 참고할 수 있는 참고정보서비스 모형 및 가이드라인 관련 주요 시사점과 개발 프로세스를 제시하였을 뿐만 아니라, 국가대표도서관인 국립중앙도서관의 참고정보서비스 모형 및 가이드라인 개발에도 직접적으로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맞춤정보서비스를 위한 MyCyberLibrary 모형 설계와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and Evaluation of the Model of MyCyberLibrary for a Customized Information Service)

  • 김현희;구내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1-158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이용자 연구와 국내외 기존 시스템의 기능을 분석한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맞춤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MyCyberLibrary의 모형을 설계한 후 이를 평가하여 좀 더 효율적인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MyCyberLibrary 모형은 최신정보제공서비스, 전자저널/e-book 관리, 데이터베이스 관리. 컬렉션 관리, 프로젝트 관리, 전자지정자료 관리, 도서관 정보서비스 관리, 파일통합 관리, 저작권 관리의 총 9개 서브시스템들로 구성된다. 또한 모형의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구성하여 40명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시스템의 만족도를 조사하고 시스템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세 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도서관 모바일 서비스 품질 평가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a Service Quality Evaluation Model for Library Mobile Service)

  • 한승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73-292
    • /
    • 2017
  • 이 논문은 서비스 품질 관점에서 도서관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평가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연구된 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평가 모형과 모바일 서비스 평가 연구에 대한 문헌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도서관 모바일 서비스 품질 평가에 필요한 4개 품질 차원, 10개 품질 요인, 39개 품질 측정 항목으로 구성된 평가 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델파이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4개 품질 차원, 9개 품질 요인, 37개 품질 측정 항목으로 구성된 모형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평가 모형은 도서관의 모바일 서비스 품질 진단 도구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도서관 모바일 서비스의 개선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DL-SQI 모형을 이용한 디지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rvice Quality Measurement of Digital Libraries with DL-SQI Model)

  • 황재영;이응봉
    • 정보관리연구
    • /
    • 제41권3호
    • /
    • pp.45-66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디지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표준화된 서비스 품질 측정도구(DL-SQI 모형)를 통해 실제 이용자가 지각하는 디지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지수를 측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결과 디지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측정방법을 고안하고 본 연구에서 표본으로 선정된 3개 디지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측정결과를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였다.DL-SQI 모형에서 밝혀진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DL-SQI 기대효과 모형을 개발하고 검증하였다.

정보통신시장의 수용예측을 위한 개념적 예측모형의 구성 (A conceptual model for forecasting innovation diffusion in informations and telecommunications market)

  • 강병용;황정연;임주환;한치문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1995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논문집; 전남대학교; 28-29 Apr. 1995
    • /
    • pp.455-468
    • /
    • 1995
  • 기술변화에 의한 상품의 대체과정과 수요 성장 추세를 설명하고자 개발된 기존의 통계학적 수요예측 모형들은 확률밀도함수 또는 특정한 수학적 함수의 외형적 특성을 이용한 함수적 접근방법을 사용한 결과 과거 데이터들의 단순 경향치의 추세 설명에 한정되고 상한치를 향한 무한 접근 성장으로 일관되는 함수적 제약을 안고 있으며, 수요의 영향 요인을 반영하지 못하므로써 데이터가 없는 신제품 서비스 예측에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시장에 처음 출하되는 새로운 재화 또는 서비스의 수요예측 및 포화수준 도달 이후의 체감 성장에도 적용가능한 방법론으로서 수용의 결정요인을 반영한 예측모형을 제시한다. 모형의 예측능력을 판단하기 위해 정보통신 분야의 몇가지 대표적 제품 및 서비스를 대상으로 기존 모형(peal 모형, weibull 모형, NUI 모형, compertz 모형)들과 NTPS 모형(Nonasymtotic Technological Product Subsituation Model)을 적용하여 예측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본 모형을 활용하여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 수요예측을 위한 모수의 특성에 대하여도 검토해 보았다.

  • PDF

EA 서비스 성과모형 개발 및 품질항목별 AHP 분석 (Development of Performance Model for EA Service and AHP Analysis of Quality Items)

  • 신다울;박일규
    • 정보화연구
    • /
    • 제10권4호
    • /
    • pp.467-478
    • /
    • 2013
  • 범정부 EA 정보를 활용하여 국가 및 개별기관 차원의 주요 성과가 대내 외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현 시점에서 EA 서비스 및 성과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로서의 EA'의 특징적 요소를 유형화하여 EA 서비스 성과모형을 개발하고, 성과모형을 구성하는 품질항목별 가중치 차이를 AHP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EA 서비스 및 성과, 공공서비스 품질 관련 광범위한 이론적 연구와 논리적 추론과정을 통해 범용적인 서비스 측정 도구로 활용되고 있는 SERVQUAL을 적용한 EA 서비스 성과모형을 개발하였고, 모형을 구성하는 품질항목간 상대적 가중치를 산출하였다. 가중치 분석결과, EA담당자-EA정보-EA교육-EA정책/제도-EA운영시스템 순으로 중요도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EA 성과향상을 위해서는 EA정책/제도 운영시스템과 같은 품질항목 보다는 EA담당자 정보 교육과 같은 품질항목을 비중 있게 관리해야 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본 연구는 서비스 품질 측정 평가 모델로 국내 외에서 각광 받고 있는 서브퀄 모형(SERVQUAL Model)에 공공부문 EA 서비스를 접목한 국내 최초의 연구로서 실무적 및 이론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