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접근성공간

Search Result 1,60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nalyzing the Potential of legally protected Trees to Create Community Spaces in Rural Areas - Focusing on the Case of Gimchon City - (농촌마을의 커뮤니티 공간 조성을 위한 보호수 잠재력 분석 - 김천시를 중심으로 -)

  • Jung, Tae-Yeol;Kim, Eun-J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5 no.1
    • /
    • pp.73-81
    • /
    • 2017
  • During the 1990s, policy was put in place to create resting spaces in rural areas. This policy was associated with a government project to improve the rural residence environment and it attracted attention to outdoor spaces in rural areas. Many communities have gradually disappeared in rural areas but previous studies suggested that legally protected trees might provide resting and cultural spaces in a given rural community. The rural residential environment can be improved by legally protected trees and by doing so, these resources may then help to sustain many rural communities. Therefore, the creation of resting spaces or mini-parks created around trees that are protected by in rural communities should be considered. The value of trees that are protected by law can differ depending on the status of the trees or the surroundings. Nevertheless, there has not been systemic research regarding legally-protected trees in terms of rural communities. This study aims at evaluating the potential of these trees and at analyzing how these trees can be useful in the creation of community spaces in rural areas. The findings can be helpful in providing foundation data for creating these types of community spaces. Forty legally protected trees in Gimchon City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Nine items were used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the trees for creating community spaces. These items could be classified into five factors including accessibility, relation to public facilities, environment and safety, symbolism, and ease for creating community spaces. The potential of the legally protected trees was evaluated by 5-point Likert Scales in a given item. The overall potential was evaluated by the sum of individual item scores. Specifically, trees with over 20 points (max. 25 points) could be considered high potential. According to the empirical findings, the portion of legally protected trees with high potential is five percent (No.7 and No.12 trees). Therefore, the priority is to protect or use the trees for the creation of community spaces that can help make a better residential environment for rural communities.

Development of Selection Model of Interchange Influence Area in Seoul Belt Expressway Using Chi-square Automatic Interaction Detection (CHAID) (CHAID분석을 이용한 나들목 주변 지가의 공간분포 영향모형 개발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를 중심으로 -)

  • Kim, Tae Ho;Park, Je Jin;Kim, Young Il;Rho, Jeong Hy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9 no.6D
    • /
    • pp.711-717
    • /
    • 2009
  • This study develops model for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major node (Interchange in expressway) and land price formation of apartments along with Seoul Belt Expressway by using CHAID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first, regions(outer side: Gyeongido, inner side: Seoul) on the line of Seoul Belt Expressway are different and a graph generally show llinear relationships between land price and traffic node but it does not; second, CHAID analysis shows two different spatial distribution at the point of 2.6km in the outer side, but three different spatial distribution at the point of 1.4km and 3.8km in the inner side. In other words, traffic access does not necessarily guarantee high housing price since the graphs shows land price related to composite spatial distribution. This implies that residential environments (highway noise and regional discontinuity) and traffic accessibility cause mutual interaction to generate this phenomenon. Therefore, the highway IC landprice model will be beneficial for calculation of land price in New Town which constantly is being built along the highway.

the Design Character of Ando Tadao's Church Architecture (안도 타다오 교회건축의 디자인특성에 관한 연구)

  • 이규백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6 no.1
    • /
    • pp.45-52
    • /
    • 2003
  • Modem church architecture in korea have many problems in the shape and composition of space and design method. Many church were built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identity of the christian religion. The characters of Ando Tadao's church architecture are using the transition space, light and the symbol. The transition space similar to the approach process using in asian temple. It make a meditative space for the church during approach to the chapel. Ando Tadao make meditative space by using self-support wall. In here, Self-supporting wall devide space as the holly space and the common space. Light is very important element in church architecture. He introduce light and shadow in the chapel more significant element. Light and shadow make the space with very dignity. Also, Ando Tadao use symbol as important element. It make the identity of christian religion. He make that as a part of structure. The well-controled symbols change the simple space to more religious place.

  • PDF

Distributed Web GIS Service Based On Inter-Operability (상호운영성 기반의 한 분산 웹 지리정보시스템 구현)

  • 김도현;김민수;장병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626-628
    • /
    • 2003
  • 웹 지리정보시스템은 사용하기 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로 하여금 공간 데이터의 접근과 분석기능을 쉽게 제공한다. 그러나 이들 시스템들은 독자적인 지리 데이터로의 접근만을 허용하고 분산되어 있는 지리 데이터로 접근할 수 없다. 이는 지리 데이터의 구조와 액세스 방법 등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OLE DB을 기반으로 한 분산 지리 데이터의 상호운영성에 대한 기술한다. 또한 분산 지리데이터 서버에서 전달된 데이터는 웬 기반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사용되기 위하여 XML 기반의 GML로 변환되어 진다. GML 은 지리정보시스템을 위한 XML기반의 웹 언어로 본문에서는 이를 기술한다. 본 시스템은 컴포넌트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구축 비용 및 다양한 사양한 요구사항을 효율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다.

  • PDF

Establishing Model for the Integrated Geospatial Portal (지리정보통합포털 구축을 위한 모델 수립)

  • Shin, Dong-Bin;Park, Si-Young;Jeong, Jin-Seok;Kim, Dong-Ha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189-19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시공간 제약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다양성에 따른 제약조건까지도 최소화하여 온라인상에서 지리정보 활용성을 제고하기 위해 기존의 국가지리정보유통망을 지리정보통합포털로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의 지리정보포털인 GOS(Geospatial One-Stop)를 모델로 하여 우리나라 국가지리정보유통망을 지리정보통합포털로 발전시키기 위한 모델을 수립하였다. 지리정보통합포털 모델은 개방형 분산프로세싱 시스템 구조에 대한 In 국제표준인 RM-ODP를 기반으로 하여 전사적 관점, 정보관점, 전산관점, 공학관점에서 수립하였다. 이를 통해 국가지리정보유통망을 기반으로 각종 지리정보 및 지리정보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제고함으로써 국가차원에서 GIS활용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POT Continuous Strip Image Modelling (SPOT 위성영상의 연속화상 모델링)

  • Lee, Yong-Ung;Sin, Dae-Sik;Jo, Bong-Hwan;Yu, Bok-Mo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7.12a
    • /
    • pp.17-25
    • /
    • 1997
  • 스트립 방식으로 촬영된 위성영상의 기하학적 모델링시에는 일반적으로 단위모델별로 위성영상에서 식별이 용이한 지점을 지상기준점으로 선정하여 영상에서의 좌표를 해석도화기나 컴퓨터 화면상에서 획득하고, 그에 대응하는 지상좌표는 현지측량이나 기본지도로부터 얻는다. 현지측량방법의 경우에는 정확하고 신뢰성있는 좌표를 제공해 줄 수 있는 반면에 현지로의 접근이 용이해야 하고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소축척의 기본지도상에서 직접 독취하는 경우에는 지도자체에 내재된 오차의 정도가 불명확하고 지상기준점으로 선정한 지점이 명확히 표기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으므로 영상좌표 측정시에 오차의 유발 가능성이 크다. 특히 영상 해상도 $5{\sim}10m$의 연속된 화상을 3차원 기하학적 모델링을 수행하기 위하여 현지측량에 의해 지상기준점을 획득하는 방법은 경제성 및 효율성 측면에서 불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삼각점 조서를 이용하여 연속촬영된 SPOT 위성영상을 스트립 단위로 모델링하여 영상해상도 수준의 위치정확도를 얻을 수 있는 연속화상 모델링기법을 제시하였다.

  • PDF

Document Replacement Policy for Improving of Cache Performance in the Web (웹에서 LRFU기법을 이용한 캐쉬(cache) 성능 향상을 위한 도큐먼트 재배치 정책)

  • 윤태완;장태무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a
    • /
    • pp.10-12
    • /
    • 2001
  • 웹에서 도큐먼트 재배치 정책은 캐쉬(cache)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중의 하나이다. 이 방법을 웹 캐쉬 공간이 한정되어 있으며 새로운 도큐먼트를 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 어느 도큐먼트를 축출(remove)[2]할 것인가를 결정하고 새로운 도큐먼트를 갱신(update)[6]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도큐먼트 재배치 정책으로는 LRU(Least Recently Used), LFU(Least Frequently Used)등과 같은 방법이 보편적을 사용되고 있으나, 웹에 적용하기에는 몇 가지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LRU, LFU등의 도큐먼트 재배치 정책을 이용하면서도 웹에 적용하기 위해 몇 가지 단점을 보완한 LRFU(Least Recently/Frequently Used)[4]기법을 사용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internet) 사용자의 지수적인(exponential) 증가와 이로 인한 병목현상(bottleneck)의 발생을 전제로 하여, 캐쉬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각적인 시도로 지역성(locality), 일관성(consistency)[7][5], 확장성(scalability)[5]등의 문제에 관한 논의와 기존의 방법과는 다른 도큐먼트 재배치 정책에의 접근을 시도한다.

The Cr*-Tree Supporting a Circular Property of Objects (객체의 순환 속성을 지원하는 Cr*-트리)

  • Seon, Hwi-Jun;Kim, Hong-Ki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0D no.7
    • /
    • pp.1077-1088
    • /
    • 2003
  • To increase the retrieval performance in spatial database systems, it is required to develop spatial indexing methods considered the spatial locality. The spatial locality is related to the location property of objects. The previous spatial indexing methods are not considered the circular location property that objects will be taken. In this paper, we propose a dynamic spatial index structure called $Cr^*$-tree, and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index structure. This is a new spatial index structure considered the circular location property of objects in which a search space is constructed with the circular and linear domains. By the simulation results, the $Cr^*$-tree shows that the number of disk across is low and the bucket utilization is high regardless of object distribution and bucket capacity.

Survey on Coexistence Problems in WBANs (WBAN 공존성 문제에 대한 연구동향)

  • Kim, BeomSeok;Lee, Hwa-Min;Kim, Seokhoon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6.04a
    • /
    • pp.544-547
    • /
    • 2016
  • WBAN (Wirless Body Area Network)은 IEEE 802.15.6에서 정의한 통신 표준으로 인체 내/외부 및 표면에 장착되는 무선 센서 장치들을 통해 의료 및 비의료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WBAN은 인체 중심 구성과 네트워크 내부의 이동성 및 네트워크 단위의 이동성을 가지는 특성으로 인해 다수의 WBAN들이 좁은 공간에 공존할 수 있으며, 상호 간섭으로 인해 성능 저하와 같은 문제에 노출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EEE 802.15.6에서는 공존 상황을 이동성에 따라 3가지로 세분화 하였으며, 세분화된 각 상황에 적합한 공존성 해결 방안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표준에서는 세분화한 공존 상황을 인지하는 알고리즘과 각 공존성 문제 해결방안의 상세 방안이 결여되어있다. 또한, WBAN의 공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기존의 연구들은 표준에서 정의한 공존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있어 추후 표준 기반의 WBAN의 구현시 호환성이 결여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WBAN의 공존성 문제 해결에 대한 연구방향의 재조명이 필요한 때 이다.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5.6 표준과 기존의 공존성 문제 해결 방안을 소개하며, 기존 연구의 연구 접근 방법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제시한다. 또한, WBAN의 공존성 문제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법과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Environmenal Design Value of Underground Space & Design Factor by Evaluation Model (지하공간의 환경디자인적 가치와 평가모델에 의한 디자인요소 추출)

  • 최병오;채완석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1 no.2
    • /
    • pp.117-126
    • /
    • 1998
  • The underground space which has been highlighted anew in view of urban scenery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through the control of ground development and solution of urban problems through making the utility of urban space efficient can promote the urban service, amenity, stability and others by arranging the urban function of ground area to the underground which is anticipated to be demanding the more in the future an also can be effective measures of confrontation in the solution of traffic, the complex in the heart of the city and lack of land through effective construction of the structure of urban space. But it has been understood to be extremely negative space at this time as limited to negative and fragmentary development and it has faced the necessity of constructing pleasant environment by overcoming every problem. After all, through the general research of underground space, this dissertation is reconsidering the development value of environmental design on the basis of the case study in international city development of underground space, and trying to extract design factors which should be treated in developing the underground space by establishing the evaluation model on the functional, techinical and behavioral elements facto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