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절주프로그램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2초

중장년층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예방행위 (Dementia Knowledge, Attitude and Preventive behaviors of Middle-aged Adults)

  • 이미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383-39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중장년층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예방행위에 대하여 조사하고 관련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P시에 거주하는 중장년층 남녀 297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치매에 대한 지식은 9.0점, 치매에 대한 태도는 2.98점, 치매 예방행위는 2.22점이었다. 치매에 대한 지식은 치매에 대한 예방행위와 치매에 대한 태도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치매 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흡연, 음주, 치매에 대한 지식, 월수입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요인들은 치매 예방행위를 39% 설명하였다. 그러므로 중장년층의 치매에 대한 예방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금연 및 절주에 대한 교육 및 치매에 대한 지식을 높이기 위해 중장년층을 위한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금연 및 절주를 위한 학교 공급자원 및 프로그램 (Study on school health promotion service and program for smoking cessation and acohol-reducing)

  • 장혜정;심재선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57-69
    • /
    • 2003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chool resources and programs for health promotion services, especially in areas of smoking cessation and acohol-reducing. The health of students is very important because of students' long life-span remained and their impacts on the community. A three-stage survey model was established. Three stages include a current status of school health resources and programs, an attitude to get rid of health risks at school, and a behavioral intention to provide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the near future. Three hundred and thirty-six schools filled up and returned the questionnaire by mai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cility and personnel for health management are equipped sufficiently in general, except in rural area located, small sized, or middle schools. But provided programs are not good enough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Frequently, schools provide the programs such as advertisement, mass education by internal lecturers, and individual. counselling. The programs of special lectures, group activities or rather active use of suppresants are provided rarely, because of the lack of special knowledge or financial supports at school. However, behavioral intention to provide such programs was high. Therefore, the role of health department at school should be fortified. The health teachers need to be trained as a consultant, and the education materials need to be provided to them The school also need to be supported with external experts for special lectures or group activities. In conclusion, schools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health risk of students and develop the effective and efficient school health programs for students' health.

건강증진사업을 위한 보건교육프로그램 개발 : 금연, 절주교육을 중심으로 (Developing Health Education Programs for Health Promotion: Development of a Training Guide on Prevention of Smoking and Excessive Drinking)

  • Bae, Kyunghee;Nam, Jungja
    •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001년도 제4회 국제학술 심포지움
    • /
    • pp.91-111
    • /
    • 2001
  • Background: Alcohol and tobacco use are two major behavioral risk factors implicated in increased morbidity and mortality. Since both substances are widely used in Korea, a concerted effort is currently underway to reduce the use of tobacco and alcohol in Korea. Objectives: Efforts directed toward educating health promotion planners and health educators from local health departments to organize and implement health education programs to reduce the proportion of people smoking and excessive drinking in the community. Methods: A training guide on prevention of smoking and excessive drinking has been developed. Comprehensive multi-media health promotion materials were developed based on health behavior theories and strategies for effective health behavioral interventions. To better control of behavioral risk and promote health enhancement, the materials were developed to introduce a user-oriented developmental approach by making messages more persuasive and organizing content in a user-friendly manner. Sections of the report explain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intervention, choosing goals and a target population, specific program activities to include in an intervention, development, organization, methods of making program content vivid and persuasive, and evaluation,.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The process followed in developing the health intervention materials is described in detail to assist practitioners who need to develop effective programs to reduce the use of tobacco and excessive alcohol. Health educators from all local health departments in the country were trained in the use of the materials, to enable them to develop community interventions to reduce smoking and excessive drinking.

  • PDF

대학생 절주교육 프로그램(과음없는 캠퍼스 만들기) 개발: Intervention Mapping과 Transtheoretical Model의 적용 (Development of "Drink Smart" Alcohol Education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Application of the Intervention Mapping and Transtheoretical Model)

  • 김혜경;김명;이은희;권은주;조한익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145-160
    • /
    • 2011
  •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apply the Intervention mapping and Transtheoretical models to develop a program to promote moderate alcohol drinking in university students. Methods: Surveyed data from 1,137 university students were analyzed to identify personal and environmental determinants for alcohol drinking. Based on these determinants, program objectives were established. Crossing the objectives with related important determinants resulted in matrices of learning objectives for which educational strategies were developed. Subsequently, an intervention program were designed to achieve those objectives. Results: Identified personal determinants included awareness, attitudes, self-efficacy and behavioral skills. Environmental determinants were binge drinking behaviors of family members and peers, and social pressure for drinking. Program, impact and learning objectives were developed to change the identified determinants. Program activities included provision of information on positive and negative consequences of binge drinking, opportunities for assessing one's drinking pattern, increasing outcome expectancies of and skill building for monitoring drinking, resisting peer pressure and managing stress. To facilitate adoption and maintenance of the program, an intervention diffusion plan was suggested. An evaluation plan was developed by utilizing RE-AIM framework. Conclusions: In order to expand evidence bases for effective theory-based programs, the developed program should be tested in diverse university settings.

근로자 절주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iveness of a Reducing Alcohol Intervention Program for Workers)

  • 김금이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611-623
    • /
    • 2007
  • Purpose: To evaluate a reducing alcohol intervention program for workers. Method: The intervention program employed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ith repeated measuring by quasi-experimental study. The program was developed from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and evaluated from April 6 to June 22, 2006. Sixteen white collar male workers participated. At the beginning, the subjects were at the pre-contemplation stage (50%) and contemplation stage (50%). The intervention was applied personally or in group twice a week for 9 weeks. Results: The scores of each stage of change in the post-test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ose in the pretest. The scores of process (cognitive and behavioral) of change in the post-test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ose in the pretest. The score of self-efficacy of change in the post-test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at in the pretest. The score of pros-cons for drinking in the post-test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at in the pretest. The consumption of alcohol a week and a day in the post-test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at in the pretest. The levels in ALT, AST, GGT,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B.P. and BMI in the post-test did not decrease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ose in the pretest, but the level of FB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at in the pretest. Conclusion: The above result informs us that a stage-based reducing alcohol intervention program for workers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tages of change, the process of change (cognitive and behavioral) and self-efficacy, and decreasing pros-cons for drinking alcohol consumption and FBS, and it also has a value as an effective means of nursing for workers.

  • PDF

성인 여성 음주에 대한 긍정심리학적 조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sitive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Adult Women's Drinking)

  • 김나미;박경은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5권2호
    • /
    • pp.81-94
    • /
    • 2019
  • 이 연구는 성인 여성의 음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긍정심리학적 요인을 탐색하여 성인 여성의 음주율을 낮추고 단주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는 한국에 사는 20대부터 50대 성인 여성 340명을 온라인으로 무선표집하여 2018년 5월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연령이 낮을수록, 미혼, 별거 또는 이혼했을 때 AUDIT가 높았다. AUDIT는 우울과 스트레스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감사와 그릿과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연령, 감사, 그릿, 우울 순으로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성인여성의 음주를 예방하고 절주와 단주를 유지하기 위하여 긍정심리적 요인인 감사와 그릿과 같은 보호요인을 높임으로써 우울과 스트레스를 낮추고 음주를 적정하게 통제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더불어 성인여성의 음주를 예방하고 감소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긍정심리적 요인을 탐색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대학생의 음주 및 흡연과 손가락 길이비(2D:4D) (Alcohol intake, smoking, and 2nd to 4th digit ratio of university students)

  • 김수일;김금숙;조근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3983-3990
    • /
    • 2012
  • 과도한 음주와 흡연은 인체에 유해하며, 다양한 영향요인들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생물학적 요인인 손가락 길이비(2D:4D)와 음주 및 흡연과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대학생 435명(남자 121명, 여자 314명)으로 음주와 흡연 관련 설문에 응답한 후 복사기를 이용하여 손가락길이가 측정되었다. 연구 결과, 대학생들의 손가락 길이비는 남자 0.95, 여자 0.96으로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음주여부에 따른 손가락 길이비는 여자에서만 왼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흡연여부에 따른 손가락 길이비는 남자에서만 왼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음주 및 흡연과 손가락 길이비 사이의 관계는 왼손의 손가락 길이비가 낮을수록 음주량과 흡연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결론적으로, 모체내 테스토스테론의 영향을 받는 손가락 길이비는 흡연 및 음주 선호와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음주와 흡연 예방프로그램이나 절주와 금연프로그램의 진행시 참여자의 손가락 길이비도 하나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폐경기 여성에서 폐경 및 불안 증상과 구강자각 증상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Menopause, Anxiety Symptoms and Perceived Oral Symptoms in Menopausal Woman)

  • 유현주;오진영;강지원;김보미;김세희;이은지;이지연;최민정;한경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3-61
    • /
    • 2013
  • 폐경 전후의 만 45세 이상부터 60세 이하의 여성을 대상으로 폐경 및 불안 증상, 구강자각 증상을 파악하고 관련성을 검토하며, 구강자각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폐경 증상은 10.61점, 불안 증상은 9.13점, 구강자각 증상은 6.60점이었다. 2. 구강자각 증상 하위요인인 점막염증 증상, 치주질환 증상, 구강건조 증상은 폐경 증상(p<0.001)과 불안 증상(p<0.001)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고, 이들 요인들은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01). 3. 구강자각 증상 관련요인은 폐경 증상(odd ratio [OR]=3.72), 불안 증상(OR=2.14), 음주(OR=1.37), 배우자 동거(OR=0.83)이었다(p<0.05). 폐경기 여성들의 폐경 증상과 불안 증상을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건강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하며, 이때 구강건강관리와 절주 프로그램도 포함시켜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생활습관과 치주건강상태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yle and Periodontal Health Status)

  • 류혜겸;이정화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18-425
    • /
    • 2013
  • 본 연구는 생활습관과 치주건강상태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올바른 생활습관을 통한 치주질환의 예방 및 유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일부지역 치과의원에 내원한 40~50대 성인 남녀 총 326명을 대상으로 하여 구조화된 설문지와 치주건강상태를 측정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19.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흡연여부는 치은염 지수(p<0.01), 치주낭 깊이(p<0.001), 임상적 부착소실(p<0.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일일 흡연량은 치은염 지수(p<0.05), 치주낭 깊이(p<0.01), 임상적 부착소실(p<0.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흡연기간은 치은염 지수(p<0.05), 치주낭 깊이(p<0.01), 임상적 부착소실(p<0.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음주주기는 치은염 지수(p<0.05), 임상적 부착소실(p<0.05)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 흡연을 하는 경우(p<0.05) 임상적 부착소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치과진료기관은 환자들에게 건강한 치주상태를 예방 및 유지하기 위해서는 과도한 흡연과 음주는 치주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인식시킬 필요가 있으며 더불어 체계적인 금연과 절주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대학생의 음주실태와 음주문제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Use and Drinking Problems Among College Students)

  • 이미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619-4628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음주실태와 음주문제를 조사하고 음주실태와 음주문제와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경기도 소재 P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가보고 방식으로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2011년 9월 26일부터 10월 14일까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음주실태를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AUDIT)로 측정한 결과 40.2%가 정상음주, 36.7%가 문제음주, 6.8%가 고위험음주 그리고 16.3%가 알코올 의존 의심으로 나타났다. 음주실태와 음주문제는 성별, 연령, 거주형태, 처음 음주 시기, 음주이유, 음주 빈도와 음주량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음주실태는 전체 음주문제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사회적 기능손상(r=.601, p<.01), 행동문제(r=.579, p<.01), 가족 및 대인관계 손상(r=.637, p<.01)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음주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음주실태였으며(${\beta}$=.640, p=.000), 음주실태가 높을수록 음주문제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대학생의 음주와 음주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음주관련 규칙을 학칙으로 정하고 절주교육의 개발이 필요하다.